원표제: Myth of the social volcano : perceptions of inequality and distributive injustice in contemporary China 참고문헌: p. [334-343]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서론 심화되는 불평등이 중국을 "사회적 화잔"으로 몰아가는가?
제1부 중국인은 현재의 불평등에 대해 얼마나 분개하는가?
제1장 중국의 탈사회주의 이행과 불평등 심화 제2장 불평등 및 분배 정의에 관한 중국 전국 조사 제3장 중국인은 현재의 불평등에 대해 어떤 점이 공정하고 어떤 점이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가? 제4장 비교적 관점에서 본 중국인의 불평등 인식
제2부 분배 정의에 대한 사회적 윤곽들
제5장 불평등에 대한 중국인들의 태도 제6장 현재의 불평등에 대한 인식 제7장 평등과 불평등에 대한 선호도 제8장 계층화와 계급 갈등에 대한 시각 제9장 사회정의와 기회에 대한 시선
결론 사회적 화산이라는 신화를 넘어서
참고문헌
이용현황보기
사회적 화산이라는 신화 : 오늘날 중국의 불평등과 분배 불공정에 대한 인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70268
305.095209045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70269
305.095209045 -2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이 책은 중국인들이 평가하는 중국 사회의 불평등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개혁기 중국은 적어도 소득분배라는 점에서 볼 때 비교적 평등한 사회에서 매우 불평등한 사회로 바뀌었다. 그리고 심화되는 불평등이 중국을 ‘사회적 화산’으로 변모시킬 위험성이 있다는 시각이 중국과 서양에서 모두 광범위한 입지를 확보했다. 현대 중국사회 연구의 권위자인 저자는 이러한 시각이 정확한 것인지를 질문하면서, 불평등과 분배 불공정 문제에 대한 중국인의 태도를 밝히는 최초의 체계적인 전국 조사 결과에 기반한 연구를 제시하고 있다. 광범위한 조사 자료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저자는 대다수의 중국인들은 개혁개방으로 인해 만들어진 새로운 시장 논리와 그로 인해 파생된 불평등에 대해 용인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불평등에 대한 높은 수준의 대중적 분노를 찾을 수 없었고, 중국이 ‘사회적 화산’을 향해 나아간다는 어떤 징후도 찾을 수 없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저자의 분석은 동시대 중국 사회에 대한 피상적 이해를 넘어서, 논쟁적인 주제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개혁개방이 중국 사회의 구성원들의 삶과 인식에 가져온 변화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극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