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판권기
PROGRAM
목차
Session 1.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교원 정책 수립 방안 5
주제발표 I.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단위학교 교원의 선택과목 확대 방안 탐색 / 이상은 5
I. 서론 7
II.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교사의 전공 현황 및 담당 교과 확대에 관한 교사 인식 분석 13
III.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확대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 34
IV. 결론 및 정책 제언 44
참고 문헌 51
주제발표 II.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교·강사 제도 개선 방안 / 최수진 53
I. 서론 55
II. 고교학점제와 교·강사 제도 관련 이슈 57
III. 설문조사 결과 분석 59
IV. 교·강사 제도 개선 방안 73
참고문헌 89
주제발표 III.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 양성·연수제도 개선 방향 / 이동엽 91
1. 서론 93
2. 고교학점제와 교사의 전문성 94
3. 설문결과 분석 결과 99
4. 개선 방향 124
참고 문헌 131
지정토론 : 고교학점제 기반 선택과목 확대의 현실과 미래 / 최대옥 133
학생의 과목 선택에 대한 충분한 지도와 안내 136
다교과 다과목 지도를 위한 지원 방안 136
지정토론 :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교·강사 제도 개선 방안 토론문 / 주주자 139
참고문헌 148
지정토론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 양성·연수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한 토론 / 송경오 149
Session 2.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시설 개선 방안 155
주제발표 IV.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시설 재구조화 방향 / 박성철 155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7
연구 내용 158
연구 방법 158
고교학점제 정책 및 시설 운영 방향 159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시설 현황 163
소요 시설 산정식 개발 및 기준 163
스페이스 프로그램(Space Program) 개발 167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시설 환경 개선 모델 169
정책적 제언 173
주제발표 V. 고교학점제와의 연계를 위한 교과교실제 추진 방안 / 최하영 175
1. 고등학교 교과교실제의 긍정적 역할 177
2. 고등학교 교과교실제 운영상의 어려움 178
3. 고교학점제와의 연계를 위한 교과교실제 추진 방안 182
3. 소결 188
참고문헌 188
지정토론 : 학습자 중심의 자율적·창의적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종합 커뮤니케이션센터와 식당공간의 다효율성 모색 / 정진주 189
배경과 인식 191
단위 공간과 종합 커뮤니케이션 공간 192
도시사(同志社) 국제 중·고등학교의 종합 미디어센터 사례 193
식당 공간의 다효율성 모색 194
지정토론 :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시설 현황 / 안혜정 199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시설 현황 202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시설 관련 설문조사 204
학생 휴게 공간 마련 206
판권기 20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686398 | 379.155 -20-3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686399 | 379.155 -20-3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