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인사말 / 고학찬 4
인사말 : 自畵像, 美로서 獨立을 향한 그 元年의 시작 / 김종원 5
기획취지 9
나를보다 自畵像 - 변혁기變革期 우리 예술의 횡단면 / 이동국 9
기획취지 요약 9
I. 문제제기 -단절이 아니라 도약이다. 10
II. 반성-서(書)는 모든 예술(藝術)의 토대이자 궁극이다 14
III. 전시취지/구성 16
IV. 결론을 대신하여 - 21세기 한국예술의 향방 31
자화상 II - 나를 보다 / 장여진 38
도판 41
I. 전통 계승과 전복 - 개항(開港)과 대한제국(大韓帝國) 41
II. 피보다 진한 먹물, 그리고 이데올로기 - 3·1 독립운동(獨立運動)과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29
III. 먹과 오일, 정신과물질 - 조선미술전람회와 일본작가·재야작가 199
IV. 평등(平等)과 자유(自由) - 월북(越北) 작가와 월남(越南)작가 289
논고 327
일제강점기 한국미술, 어떻게 볼 것인가 / 박춘호 328
I. 20세기, 서화에서 미술로 전환기 328
II. 유화(油畵)에서 서양화로 328
III. 화공(畵工)에서 지식인으로 329
IV. 書와畵의 분리, "書와 四君子는 소인(素人)(비 전문인) 예술에 불과" 330
V. 두 가지 향토색 331
VI. 시대정신 '축지보조(縮地步調)' 332
VII. 삶과 유리된 미술 333
한국 수묵화의 근대적 전환 / 채홍기 335
1. 화원제도의 변화와 '서화'의 등장 335
2. 서화교육기관과 작가의 탄생 335
3. 양화의 도입과 서양화법의 영향 336
4. 수묵화에서의 '근대성'의 탄생 336
결론 337
일제강점기 한국 화단과 일본인 화가돌 / 황정수 339
1. 일제강점 초기 일본인 화가들의 활동 339
2. 일제강점기 미술단체로 본 한국화단의 구성 339
3. 일제강점기 학교 미술교육을 담당한 일본인 화가들 340
4. 일제강점기 한국인 화가들의 일본 유학 342
지사화가, 그 망각과 복권의 일대기 / 최열 344
지사화가 찾기의 기원 344
근대미술사의 의문 344
조사와 연구 과정 344
지사화가 선별 기준 345
출품작가 관견 346
사군자의 시대가치 348
근대미술사 다시쓰기 348
석지 초상화(肖像畵)의 거울상징과 사진수용에 대하여-'태상황제사십구세어용초본(太上皇帝四十九歲御答初本)'으로 간기된 〈정면상〉과 〈거울을 보고 있는 고종황제〉그림, 그리고〈기로소 대신들의 인물상〉등을 중심으로- / 이동국 350
1. 글을 시작하면서 350
2. 유물에 대한 기존기록 고증 350
3. 제작시기 351
4. 거울 속 황제의 상징과 의미 351
5. 구도와 기법-어진과 기로소대신의 초상 비교 352
만주, 러시아지역의 독립운동, 그 현장을 가다 / 박환 354
I. 만주지역 한인 독립운동 354
II. 러시아지역 한인 독립운동 356
참고문헌 359
판권기 36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691614 | 759.9511 -20-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691615 | 759.9511 -20-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