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_5
미리보기·일러두기 _9

Ο. 《장사복진고》
(0) 총론 _20
(1) 상충上衝 _24
(2) 심번心煩 _28
(3) 심계心悸 _31
(4) 심기부정心氣不定 _34
(5) 심중오뇌心中懊惱 _36
(6) 흉만胸滿 _38
(7) 결흉結胸 _41
(8) 흉비胸痺 _45
(9) 흉협고만胸脇苦滿 _47
(10) 항배강급項背强急 _50
(11) 심하비心下? _53
(12) 심하비경心下?? _55
(13) 심하비견心下?堅 _57
(14) 심하비경만心下??滿 _59
(15) 구련拘攣 _60
(16) 복만腹滿 _64
(17) 제하불인臍下不仁 _67
(18) 소복급결少腹急結 _69
(19) 제하견괴臍下堅塊 _71
(20) 소복만돈상少腹滿敦狀 _73
(21) 동動 _75

Ⅰ. 《복증기람익》 初編·下冊
(1) 계지탕 발명發明의 설說(과 병인·병증의 변辨) _82
■ 부附 _94
■ 부방附方 2수首 _95
(2) 계지탕 두항강통頭項强痛의 도 (附: 항배강項背强) _96
■ 계지가갈근桂枝加葛根 _97
■ 갈근탕葛根湯 _98
■ 갈근황련황금탕葛根黃連黃芩湯 _100
■ 부附: 항배강급項背强急 이동異同의 변辨과 방 1수首 _101
(3) 소청룡탕의 도 _103
■ 대청룡탕大靑龍湯 _106
■ 마황탕麻黃湯 _108
(4) 계지탕 기상충氣上衝, 복구급腹拘急의 도 _111
(5) 계지가작약탕의 도 (가대황탕, 가작약생강인삼탕) _113
■ (계지)가대황탕加大黃湯 _115
■ (계지)가작약생강인삼탕加芍藥生薑人蔘湯 _115
(6) 소건중탕의 도 _117
■ 황기건중탕黃?建中湯 _120
■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_121
■ 대자충환大?蟲丸 _122
■ 부附: 허로노해虛勞勞咳의 변辨 _124
■ 부방附方 _126
(7) 당귀사역탕의 도(와 가오수유생강) _127
■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 _129
(8) 작약감초탕의 도 _131
■ 작약감초부자탕芍藥甘草附子湯 _133

Ⅱ. 《복증기람익》 二編·上冊
(9)-1 풍인탕증 발명發明과 도해 (附: 자석한식산紫石寒食散의 설) _136
(9)-2 풍인탕증의 도 _140
■ 자석한식산紫石寒食散 _141
(10) 계지가용골모려탕증의 도 _142
■ 천웅산天雄散 _144
(11) 오두계지탕증의 도 _145
■ 대오두전大烏頭煎 _147
■ 오두탕烏頭湯 _148
(12) 계지거작약탕증의 도 _151
■ 계지지실생강탕桂枝枳實生薑湯 _154
■ 계지거작약가조협탕桂枝去芍藥加?莢湯 _154
■ 계지거작약가용골모려구역탕桂枝去芍藥加龍骨牡蠣救逆湯 _155
■ 부附: 흉만胸滿 제증의 변辨 _156
(13) 계지감초탕증의 도 _158
■ 계지감초용골모려탕桂枝甘草龍骨牡蠣湯 _160
(14) 감초부자탕증의 도 _161
■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 _162
■ 계지거계가출부탕桂枝去桂加朮附湯 _163
(15) 계강조초황신부탕증의 도 _165
■ 지출탕枳朮湯 _173
(16) 계지가황기탕증의 도 _175
■ 황기계지오물탕黃?桂枝五物湯 _181
■ 황기계지고주탕黃?桂枝苦酒湯 _182
■ 방기황기탕防己黃?湯 _184
■ 방기복령탕防己茯?湯 _185
(17) 월비탕증의 도 _186
■ 월비가출탕越婢加朮湯 _188
■ 월비가출부탕越婢加朮附湯 _189
■ 월비가반하탕越婢加半夏湯 _189
■ 마황행인감초석고탕麻黃杏仁膏甘石草湯 _190
■ 마황행인의이감초탕麻黃杏仁薏苡甘草湯 _191
■ 문합탕文蛤湯 _191

Ⅲ. 《복증기람익》 二編·下冊
(18) 시호탕 제방諸方의 변辨과 도해 _194
(19) 소시호탕증의 도 _196
■ 부방附方 _204
(20) 시호계지건강탕증의 도 _205
■ 시호거반하가과루탕柴胡去半夏加括蔞湯 _207
■ 시호가계지탕柴胡加桂枝湯 _207
(21) 시호가용골모려탕증의 도 _209
(22) 대시호탕증의 도 _212
■ 부방附方 _217
■ 시호가망초탕柴胡加芒硝湯 _218
■ 사역산四逆散 _221
■ 시호음자柴胡飮子 _222
■ 일방一方: 지골피산地骨皮散 _223
(23) (附) 보중익기탕증의 도와 설說 _224
(24) 오수유탕증의 도 _227
■ 부방附方 _231
(25)-1 인삼탕증의 도 (일명 이중환理中丸) _233
■ 지실해백계지탕枳實?白桂枝湯 _236
■ 부방附方 4방方 _238
■ 인삼거출가계탕人蔘去朮加桂湯 _239
■ 계지인삼탕桂枝人蔘湯 _240
(25)-2 계지인삼탕증의 도 _242
(26) (附) 심하비경心下?硬 제증諸證의 변辨과 인삼에 관한 설 _243
(27) 백호탕증의 도 _247
■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蔘湯 _251
■ 백호가계지탕白虎加桂枝湯 _254
■ 백호가황련탕白虎加黃連湯 _254
(28) 죽엽석고탕증의 도 _255
■ 맥문동탕麥門冬湯 _256

Ⅳ. 《복증기람익》 三編·上冊
(29) 대승기탕의 변辨과 도해 _260
■ 대승기탕의 도圖(1) _261
■ 대승기탕의 도圖(2) _262
(30) 후박대황탕의 도와 소승기탕 _280
(31) 후박칠물탕의 도 _283
■ 후박생강반하인삼감초탕厚朴生薑半夏人蔘甘草湯 _284
■ 부附: 《고금녹험古今錄驗》유기탕遊氣湯 _285
(32) 조위승기탕의 도 _287

Ⅴ. 《복증기람익》 三編·下冊
(33) 도핵승기탕의 도 _294 (34) 대함흉탕의 도 _300 (35) 대함흉환의 도 _307
■ 부附: 대함흉탕 1방方 _309
(36) 소함흉탕의 도 _311 (37) 감수반하탕의 도 _314 (38) 대황감수탕의 도 _318 (39) 십조탕의 도 _322

Ⅵ. 《복증기람익》 四編·上冊
(40) 치자시탕의 설과 도해 (附: 허실의 변辨) _328
■ 허실 진복診腹의 도圖 _331
■ 치자시탕의 도圖 _332
■ 치자감초시탕梔子甘草?湯·치자생강시탕梔子生薑?湯 _338
■ 지실치자시탕枳實梔子?湯 _339
■ 치자대황시탕梔子大黃?湯 _339
■ 치자후박탕梔子厚朴湯 _340
■ 치자건강탕梔子乾薑湯 _340
■ 치자벽피탕梔子蘗皮湯 _340
■ 인진호탕茵蔯蒿湯 _341
■ 부附 _342
■ 마쓰가와 세토쿠松川世德 치자시탕의 치험 _342
(41) 대황황련사심탕의 도 _344
■ 부자사심탕附子瀉心湯 _347
■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 _348
■ 부附: 심번心煩의 제증諸證에 관한 변辨 _349
(42) 반하사심탕의 도 _354
■ 생강사심탕生薑瀉心湯 _357
■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 _358

Ⅶ. 《복증기람익》 四編·下冊
(43) 선복화대자석탕의 도 _362
(44) 황련탕의 도 _365
(45) 조기음調氣飮의 도 _368
■ 조기음의 방 _369
■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 _369
(46) 황금탕의 도 _371
■ 황금가반하생강탕黃芩加半夏生薑湯 _372
■ 육물황금탕六物黃芩湯 _372
■ 건강황련황금인삼탕乾薑黃連黃芩人蔘湯 _373
(47) 대건중탕의 도 _374
(48) 오령산의 도 _377
■ 인진오령산茵蔯五?散 _382
■ 추고追考 _382
(49) 저령탕의 도 _384
(50) 영계출감탕의 도 _388
■ 복령감초탕茯?甘草湯 _393
(51) 영강출감탕의 도 _394
(52) 복령계지감초대조탕의 도 _397
(53) 복령행인감초탕의 도 _399

이용현황보기

(長沙腹診考, 腹證奇覽과 함께 읽는) 腹證奇覽翼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92613 619.31 -20-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92614 619.31 -20-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본서는 《복증기람익》만을 번역한 책이 아니다. 《복증기람익》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당대의 연관된 의서를 아울러 살펴봐야 한다. 《장사복진고》《복증기람》를 완역하여 《복증기람익》의 관련된 부분에 재배치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서 《腹證奇覽翼》(고방복진의 이해02)에서는 총론으로서 〈고방복진의 이해01〉을 바탕으로 吉益東洞의 직계인 奥田鳳作 《長沙腹診考》의 21개 복증을 통해 복증별로 복진을 정리하고, 각론으로서 《腹證奇覽翼》의 53개 그림, 50개 대표처방을 통해 처방별로 복진을 정리하였다.
○ 《腹證圖彙》, 《腹證奇覽》, 《讀腹證奇覽》, 《腹證圖解》, 《腹證奇覽翼》의 순서로 복진의 발전사와 함께 처방별·복증별로 상한론계 복진의 정수를 담았다.
○ 귀한 복진서 판본 중에 도해와 해설이 있는 것이 《腹證奇覽》과 《腹證奇覽翼》이며, 이 두 책은 가장 널리 유포된 복진서이다.
○ 〈고방복진의 이해01〉에서 《복증도휘》를 개정·증보한 《복증기람》과, 《복증기람》을 신랄하게 비판한 《독복증기람》과, 《독복증기람》의 부족함을 메우는 《복증도해》를 통해 복진 임상 실제를 정리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고방복진의 이해02〉에서 《長沙腹診考》, 《腹證奇覽翼》을 통해 복증별·처방별로 고방 복진을 정리·완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