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제출문
요약문
Executive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13
1. 연구 필요성 13
2. 연구목표 및 내용 15
2.1. 연구목표 15
2.2. 연구내용 15
3. 연구 추진체계 및 전략 16
3.1. 추진체계 16
3.2. 추진전략 16
제2장 선행연구 조사 17
1. 조류의 다양한 활용 17
2. 조류의 회수 20
3. 생물비료분야 22
제3장 유기성 생물비료 개발 25
1. 특허동향조사 결과 25
2. 녹조활용 유기성 생물비료 Prototype 개발 26
2.1. 개요 26
2.2. 녹조 회수 27
2.3. 전처리 28
2.4. 조류토양개량제(Algae Soil Conditioner: ASC) 가공 41
2.5. 식물성장실험 및 적용결과 42
제4장 결론 및 기대효과 56
1. 결론 56
2. 기대효과 57
3. 활용 및 향후 연구계획 59
참고문헌 62
서지자료 67
Bibliographic Data 68
판권기 69
그림 1. 여름철 녹조 대응 예방 13
그림 2. 호수 및 하천에서 사용되고 있는 녹조제어제 예시 14
그림 3. 최종 목표 및 연차별 연구내용 15
그림 4. 조류 회수와 비료·토양개량제의 선순환 체계 16
그림 5. Algae의 활용성 17
그림 6. 조류 활용 분류 19
그림 7. Algae의 biofuel 생산을 위한 과정 20
그림 8. Pilot-scale 조류 생산 pond 21
그림 9. 조류 생산 모식도 21
그림 10. Effects of biofertilizers on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soil 22
그림 11. 조류 활용 비료 적용 과정 24
그림 12. 국내 현장에서 회수된 조류 현황 28
그림 13. 회수된 조류의 건조 및 현미경 관찰 결과 28
그림 14. ASC prototype 개발 예시 31
그림 15. ASC prototype device 및 운영 예시 33
그림 16. 조류 샘플의 XRD, SEM 분석 결과 35
그림 17. 조류 샘플 및 보조재료의 FTIR 분석 결과 38
그림 18. 부숙 후 ASC의 Py-GC/MS 분석 결과 39
그림 19. ASC2의 RT 18.4 min 지점의 squalene의 mass spectra 결과 예시 40
그림 20. 퇴비화 과정에서 ASC의 온도변화 42
그림 21. ASC의 부숙화에 따른 영양성분 변화 46
그림 22. ASC의 부숙과정 및 초기/부숙완료 사진 47
그림 23. ASC에서 부숙기간 동안 미생물 변화 50
그림 24. 퇴비 부숙과정 중의 미생물상 변화 예시 50
그림 25. 부숙완료 후 ASC에서의 미생물 SEM 사진 51
그림 26. 비해실험에서 무처리구와 blank 54
그림 27. 비해실험에서 기준구 ASC1, 2 55
그림 28. 비해실험에서 기준구 ASC3, 4 55
그림 29. 비해실험에서 배양구 ASC1, 2 55
그림 30. 비해실험에서 배양구 ASC3, 4 55
그림 31. 향후 연구계획 예시 60
그림 32. 조류 활용 생물비료 기술 개발 체계 예시 60
그림 33. 관련 연구 결과의 적용 가능 사례 예시 6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