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상사대계 서언 양반, 유생儒生 사색四色 조선의 고서古書 이조 역대 양전안量田案 다이쇼大正 쇼와昭和 경지면적 영남嶺南 유생儒生 오대산 월정사 승려의 생활 승려의 종류 유학儒學은 아직 살아 있음 조선의 명현名賢 해동공자海東孔子, 주자朱子 유향儒鄕 조선의 종교 불교의 흔적 정감록 천도교 시천교侍天敎 단군교檀君敎 보천교普天敎 조선의 유학儒學
1. 태종의 교정敎政 정종定宗 및 중궁中宮의 봉불奉佛 태종이 문학을 좋아함 태허정집太虛亭集 불우헌집不憂軒集 태종의 척불斥佛 시책 6항목 태종 5~6년 토전土田과 장획臧獲 삭제 단행 양경兩京 잔류 각 12개 사寺 승僧 성민省敏 직소直訴 격쟁擊錚, 거화擧火 잔류 사찰의 전민田民 액수額數 액외額外 사찰의 전민 각 사司에 분속分屬 산중山中 명찰 보존 국사 왕사 폐지 도승度僧제 여행?行 능사陵寺 폐지
2. 세종의 교정
이조의 요순堯舜 흠정欽定 제서諸書 왕세자 입학의入學儀의 제정 세종 척불斥佛 8항목 세종 만년에 표변豹變 명제明帝 불사리佛舍利를 구함 사찰의 노비 혁파 승려 대명大明에 밀소密訴함 잔류 사찰 주승住僧의 태만 허조許稠 단지 선교禪敎 양종兩宗으로 함 선종禪宗ㆍ교종敎宗 36사寺 승록사僧錄司 폐지 신라 이래의 판교判敎 고려 말 이조 초의 종파 세종 혁종革宗 당시는 7종 존재함 시흥종始興宗의 고감考勘 시흥종 즉 연종蓮宗이라는 설 시흥종 즉 천태종이라는 설 흥천사의 대大공사 효녕대군ㆍ천태종사 행호行乎ㆍ노니老尼 사실師室 궁빈宮嬪 축발祝髮함 세종 점차 신불信佛함 세종대왕 신불을 자백함 여암如庵대사 조정의 척불과 궁중의 신불 호불好佛의 대관大官 배출 세조는 석가가 공자보다 뛰어나다고 함 문종
제3장 세조와 불교
세조 신불의 원인原因 호법의 세 가지 시책 대원각사大圓覺寺 중흥 13층 대大석탑 대승大乘 경문 언해
당시 승정의 2대 문제 이자吏子 관노官奴 도법度法의 복구 양성지梁誠之의 척불론 두 왕후의 신불信佛 호불好佛 성종 23년도에 도승법度僧法을 파함 니승尼僧 금도禁度에 이르지 못함 니승尼僧은 승도僧徒와 궁중의 매개자 양종兩宗 승과僧科는 아직 존재함
제6장 당시의 사족士族과 불도佛徒 호불好佛 문사文士 배출 산사에서 선비와 승려의 체교締交
제2편 이조 불교 제2기 승려 존재의 두 여건
제1장 연산군의 교정敎政
연산군은 공고한 척불주의 군주君主 양종 및 승과 폐지는 오랫동안의 현안 연산군 10년은 식년式年에 해당 승과의 자연 폐파廢罷
제2장 이조의 승과僧科
승계僧階 4급 이조의 문과_ 244
제3장 중종의 승정
중종 초년의 반동적 승정 승종僧種의 하락 도적 승단僧團의 발생 호패설號牌說이 나옴 승도를 국가의 토목공사에 사역함 대부분의 재궁齋宮은 사찰 호패의 폐해 사찰 철폐 표준의 구체화 승도의 부담 증가 은수誾修 사건 걸식승乞食僧 지운智雲 보담寶曇, 행사行思 궁중과 사찰의 교통 태학생 동맹 휴학 대비大妃와 왕비의 호불好? 여지승람 소재 이외의 사찰은 철훼 결정 임시과거 시행 파계승 발호 대찰大刹 훼철毁撤 인종仁宗
제4장 명종의 승정僧政(보우普雨 붙임)
1. 승정의 복고復古 유학儒學 융성 시대 문정왕후文定王后 수렴청정垂簾聽政 이조 불교 중흥기 보우普雨화상의 출현 양종兩宗 부흥 승정僧政은 두 가지 길 외에 없음 양종兩宗 승과僧科 도첩度牒의 부활 태학생 관館을 비우고 떠남 도첩 남수濫授 승과僧科 거행 도첩을 받아도 정전丁錢을 안 냄 중외中外의 영불?佛이 심함 문정왕후 승하하자 보우 몰락 윤원형尹元衡 보우와 결탁 내수사內需司의 개혁
2. 보우화상 사적事蹟 당시 봉은사奉恩寺의 번창 보우의 말로末路 『나암잡저懶庵雜著』 보우는 교종敎宗의 승려인가 보우는 화엄경을 극히 존중함 보우는 염불을 말하지 않았음 보우 유전儒典에 통섭通涉함 명종 또한 불법을 싫어하지 않음 명종 왕비의 호불 보우의 선교관禪敎觀
제5장 연산군에서 명종에 이르는 명승名僧
1. 벽송지엄碧松智嚴 행장 사師의 선풍禪風 선교겸수禪敎兼修
2. 경성일선慶聖一禪 임종게臨終偈
3. 부용영관芙蓉靈觀 가계家系는 천노賤奴에 속함 절세絶世 묵좌?坐 9년 그 제자 유석儒釋에 걸쳐 있음
제6장 서산西山대사 휴정休靜
1. 행장行狀 어려서 고아가 됨 마음을 심공급제心空及第로 돌림 대장부 남아로 출가出家 축발祝髮함 닭소리를 듣고 깨달음 승과에 급제하여 선교종禪敎宗 판사判事가 됨 사師의 근왕勤王 의승義僧 영규靈圭, 유정惟政, 처영處英 대흥사大興寺 표충사表忠祠 세 군데 묘사廟祠 『선가귀감禪家龜鑑』 명사名士와 교류함
2. 사師의 제자 4대 제자 송운松雲ㆍ편양鞭羊ㆍ소요逍遙ㆍ정관靜觀 뇌묵처영雷默處英 의엄義嚴ㆍ쌍익雙翼 보응해일普應海日 정관일선靜觀一禪 허한경헌虛閑敬軒 기허영규騎虛靈圭
3. 이조 불교에서 서산대사의 위치 교敎에 사문四門이 있고, 선禪에 역시 사문四門이 있음 여래선如來禪과 조사선祖師禪 서산 문파의 화엄가華嚴家 서산의 선교禪敎가 따로따로 전했다는 설
1. 효종에서 영조에 이르는 승정 현종顯宗이 자수원慈壽院과 인수원仁壽院 두 비구니 원院을 훼철毁撤함 진관사津寬寺 사적 요승妖僧 처경處瓊 사건 북한산성 경시經始 승도 번전番錢 반감 영조 니승尼僧의 도성 출입을 금함 사찰에 대한 주구誅求가 심함 묘향산의 지역紙役 통도사의 호역浩役 건봉사의 양역穰役 원당願堂 남설濫設 원당과 사찰 과세의 관계 정조의 원당 대大 혁파革罷
2. 정조의 승정 정조는 호불好佛의 왕 보경당寶鏡堂사일獅馹 석왕사釋王寺에 감사비感謝碑를 세움 선암사仙巖寺에서도 기도 드림 세 대사에게 시호諡號를 더 내림
제5장 당시 승계僧界의 상황 모운慕雲ㆍ회암晦庵 교종敎宗의 대종사大宗師 지리산 일대에 벽암碧巖계가 많음 대흥사大興寺의 12 대종사와 12 대大강사 용암龍巖 『진언집眞言集』을 지음 환속자還俗者 적지 않음 출가한 자 또한 많음 이성호李星湖의 강개慷慨 화욕火浴 후 사리가 나옴 염불 더욱더 성盛함 선禪ㆍ교敎ㆍ정토淨土로 교계 3분됨 만일회萬日會 화주化主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 언해諺解 거사居士의 증가 남학南學 승려 개개인이 논밭을 사유私有함 탁발托鉢, 기도, 개간開墾이 승려의 생업 부자 절 범어사의 치부致富 원인 승계의 진화 발달 호암약휴護巖若休 의화계義火? 공명첩空名帖의 발행 이조 궁중의 신불信佛 전래 자수원ㆍ인수원 양 이원尼院의 세력 현종이 궁중에서 불교식 추천追薦 의식을 행함 유불儒佛 융화론 승려 간에 성함 현종顯宗 36년 과문科文에 불교의 문자 사용을 금함 동학당 야소교耶蘇敎 들어옴 야소교의 포교는 천당ㆍ지옥설에 바탕을 두었음 정두경鄭斗卿, 김만중金萬重 각종 소설에 보이는 불교 사상, 3교敎 중 불교사상이 가장 높음 언문소설에는 불교사상이 들어 있음
2. 삼종선三種禪 논쟁 삼구三句, 삼인三印, 삼선三禪 조사선祖師禪과 여래선如來禪의 근원 여래선은 오취悟臭가 있는데, 이 오취를 떨쳐버리면 조사선임 조사선은 사사무애事事無碍를 투과透過함 조선의 특수한 두 가지 선禪의 명의해名義解 보조국사의 의리선義理禪 사상 『선문강요禪門綱要』의 삼선설三禪說 대혜大慧 『서장書狀』에 의리선이라는 단어가 나옴 백파가 느낀 바의 삼선三禪 삼구도시三句圖示
제8장 정조 이후의 승정 불교의 현상 안도 속리산 법주사의 두 완문完文 이태왕李太王 32년 4월 승려 입성 금지를 완화함 광무3년 원흥사元興寺를 동문東門 밖에 세움 광무6년 7월 사찰령寺刹令 발포發布 도첩度牒 성급비成給費 2냥 도첩 지대紙代 4푼, 승세僧稅 매년 2냥 학교설립의 예비기 잡역을 혁파 사찰령은 매 책에 2냥 융희4년 각황사覺皇寺를 경성 전동?洞에 세움 메이지明治 44년(1911) 총독부 사찰령 발포 각 본산本山의 교학敎學 제도 사미과沙彌科, 사집과四集科, 사교과四敎科, 대교과大敎科 합해서 12년 법계法階 제정 본산 30개 사찰을 지정 주지 선거 자격 과거 현재 미래에 걸친 조선불교의 총 결산 부기 : 메이지 28년(1895) 을미 4월 조선승도 입성해금入城解禁의 시말始末
제9장 순조 이후의 승려의 상태 승무僧舞의 기원 이판理判 사판事判의 발생 선禪, 교敎, 염불 세 가지 분립分立 교종敎宗 승려만 학식이 있음 교정敎正 7명 중 6명이 교종敎宗 만화萬化화상의 사업 승려의 생업이 발달함 승려 제자의 일곱 가지 제자로 받아들이는 것이 전라도와 경상도는 같지 않음 승려 사후의 재산 처분법 조선 사찰의 2대 재액災厄 환속還俗의 관습 주지 선임의 세 가지 방법 사찰령으로 인한 신분의 비약적 상승 경우의 순역順逆이 일변一變함
제10장 원종圓宗 임제종臨濟宗의 종론宗論 일본 사원의 조선 사찰 관리 시작됨 일진회와 승려의 접근 다케다 한시田範之화상 원종 종무원의 고문이 됨 조동종曹洞宗과 원종圓宗의 연합조약 조인 연합반대운동 크게 일어남 다케다화상 원종육제론圓宗六諦論을 저술 사찰령으로 조선 불교 자립함 30본산 연합 제규諸規 부기 : 다케다 한시武田範之 화상과 조선 불교 『오해구현鰲海鉤玄』 히오키 모쿠센日置默仙
제11장 최근 조선 불교의 정황 797
1. 중앙통제기관 다이쇼大正 4년(1915) 30본산本山 연합 제규制規 다이쇼 11년(1926) 조선 불교 중앙교무원中央敎務院 쇼와昭和 4년(1929) 종헌宗憲 제정 교정회敎正會, 교무원敎務院, 종회宗會의 출현
2. 교육기관 다이쇼 11년(1926) 중앙학림中央學林 폐지 두 차례 흥학興學 방침의 실책 쇼와 3년(1928) 불교전수학교佛敎專修學校 설립
3. 신구新舊 사상의 부조화 사찰령이 사중寺中의 구관舊慣을 파괴 사찰령 철폐를 주장하는 신인단新人團 평의원회評議員會의 신설
제1장 이조의 사찰 토전土田의 변천 이조에 들어와 토지의 사유권私有權을 인정하지 않음 사전寺田은 수조권收租權의 부여로 이해해야 함 이조 국초의 사전의 광대함과 그 점진적 개혁 태조는 고려 역대 왕의 불교 관념을 이어 받았음 세종과 세조는 오히려 사전을 증급增給함 연산군의 사전寺田 회수 중종의 위전位田 환급還給 현종은 사전寺田을 전부 회수함
제2장 이조 승직僧職의 변천 승계僧階의 최상위는 국사國師 다음은 왕사王師 승계 외에 승직이 있음 연산군이 삼보三寶를 유린함 선조 이후 승계를 없애자 승직이 생겨남 의승義僧 도총섭都摠攝 축성築成 총섭 이태왕 갑오(1894)에 남북한산성을 폐지 실록實錄 수호 총섭 4대 사찰의 총섭 표충사表忠祠 도총섭 5도총섭 및 수 많은 총섭 용주사龍珠寺 도총섭 사판事判, 이판理判 전라도에 규정소糾正所가 설치됨 승직의 모칭冒稱 규정 제도 혁파 5규정소糾正所 신설 5규정소 관할 구역을 나눔 사찰령에 따른 승계 승직의 설정設定
제3장 조선 승려의 수계受戒 신라의 대율사大律師 자장慈藏 고려 율종律宗의 본사는 개국사開國寺(신라 고려 이조초에는 율종이 성행함) 서산대사 구족계具足戒를 받음 대승학자의 병폐 대은大隱ㆍ초의草衣ㆍ백파白坡 3율사律師 백파白坡의 『작법귀감作法龜鑑』 사미沙彌 10계 비구比丘 10계 사미계는 신구업身口業을 다스리고, 비구계는 의업意業을 다스림 조선 노승老僧 지나支那 남북의 대계단大戒壇에 올라 수계受戒함 지나支那 불법 수계의 의儀
제4장 조선 사찰의 연구
1. 조선 가람의 특색 대부분이 심산유곡에 존재함 단가檀家는 하나도 없음 사찰에 있는 재산으로 유지함 속인의 산문 출입은 드묾 대찰大刹 주승住僧의 수효가 많음
2. 승려의 생활 극히 무사하고 한가함 무학승無學僧이 다수임 대부분이 각자의 재산을 지님 사중 제규制規는 엄함 대외적으로 일치 협동함
3. 최근 조선사찰의 변화
4. 조선 가람의 장엄莊嚴 풍부한 만다라 그림 종파宗派는 선명치 않음 도교道敎의 영향 부기1 : 화엄華嚴만다라 부기2 : 송대宋代에 이미 옥황상제를 제석천帝釋天에 배配함
역자후기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경성제국대학 교수가 쓴) 조선시대 불교통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