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복이 따로 있나 사랑의 눈빛 --- 14 지리산 --- 16 자연 친화론 --- 18 광야를 향하여 --- 20 갈바람 속에서 --- 22 삶의 뒤안길 --- 23 겨울 산 --- 24 버리며 살아가기 --- 25 연꽃 --- 26 길 위에서 --- 27 뜸질하기 --- 28 보살피는 일 --- 29 행복이 따로 있나 --- 30 채석강 소견 --- 32 밤꽃 피는 유월에 --- 33 수도꼭지 --- 34 아침 이슬이 피면 --- 35 사람 사는 것 이제 --- 36 삼복더위 --- 37 잡념의 단상 --- 38
2 그리운 사람들 마음의 여로 --- 40 그대가 그립다 --- 41 팔순을 맞으며 --- 42 꽃무릇 --- 44 기차 마을 --- 45 이게 인생이야 --- 46 따뜻한 아랫목 --- 47 산다는 의미 --- 48 사랑한다는 것 --- 49 그리운 사람들 --- 50 내가 왜 이럴까 --- 52 아카시아 그늘에서 --- 53 푸른 숲에서 --- 54 순천만에서 --- 55 삶의 그늘 --- 56 세월의 통증 --- 57 바람의 노래 --- 58 가을은 왔는데 --- 59 차 한 잔의 여유 --- 60 너를 기다린다 --- 61
3 향기는 너울을 타고 광한루에서 --- 64 나그네 --- 65 뒤늦은 후회 --- 66 산수유 마을 --- 68 그림자 --- 69 그 곳에 가면 --- 70 들꽃의 향연 --- 71 물리 치료실 --- 72 세상 사는 일 --- 73 인연을 붙잡고 --- 74 양지 발에서 --- 75 속단하지 마라 --- 76 그 어떤 죽음 --- 77 회한의 눈물 --- 78 생명의 터전 --- 79 고구마 --- 80 노을빛 가슴에 앉고 --- 82 세상이 뭔지 모르고 --- 83 향기는 너울을 타고 --- 84 발길에 채인 돌이라면 --- 85
4 풀꽃 같은 마음으로 하늘 우러러 한 점 --- 88 마음 밭을 갈고 닦아 --- 89 자학의 변 --- 90 가을 햇살 한줌 앉고 --- 91 갈대의 노래 --- 92 누가 누구를 탓하랴 --- 93 지팡이의 변 --- 94 살다보면 그리워지는 것을 --- 95 생각의 나래 --- 96 찔레꽃 --- 97 지게의 예찬 --- 98 시상이 요상허시 --- 99 하늘빛 고운 눈으로 --- 100 성묘길에서 --- 101 순리의 辯 --- 102 비탈길 돌고 돌아 --- 103 풀꽃 같은 마음으로 --- 104 저-하늘에 형상의 빛이 --- 105 길손 이고파 --- 106 돌아보는 여유 --- 107
5 가슴에 번지는 미련 길을 열어라 --- 110 자기성찰의 믿음으로 --- 111 숲속의 연가 --- 112 흔들림의 사유 --- 113 호들갑 떨지 마라 --- 114 순수의 빛깔을 따라 --- 116 생각 좀 해보게나 --- 117 가슴에 번지는 미련 --- 118 내 것처럼 보아라 --- 119 나루터에서 --- 120 화분들의 속삭임 --- 121 살구꽃 피는 마을 --- 122 꽃 피우는 들풀아 --- 123 사랑의 미로 --- 124 계절의 순환 속에 --- 125 빛과 그림자 --- 126 아내의 병상일기 --- 127 화원의 햇살 --- 128 그리움의 나래 --- 129 하얀 길이 있다 --- 130 돌산 갓김치 --- 131 그게 뭐 별거더냐 --- 132 아쉬움은 언제나 --- 133 별빛의 여운 속에 --- 134
|해설| 존재방식의 탐구와 성찰의 미학/강경호 - 135
이용현황보기
가슴에 번지는 미련 : 지한주 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35794
811.15 -21-60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35795
811.15 -21-60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이번 시집에서 지한주 시인의 존재방식을 묻는 질문은 보다 내밀하고 깊다. 이는 팔순의 연륜에 이르면서 곡진한 삶의 본질을 보다 진정성 있고 깊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한주 시인의 이번 시집의 또 다른 축은 황혼에 이르른 인생을 뒤돌아보며 회한에 잠긴 모습을 보여주는 시편들이다. 이 또한 그동안 살아온 삶을 보다 인간답게 살고자하는 마음과 더불어 남은 생을 후회하지 않게 살기 위한 의지의 발현이다. 그리고 이번 시집의 또 다른 시적 경향은 유년의 추억과 고향에 대한 향수, 그리고 가슴 속 깊이 남아있는 가족애를 보여주는 시편이다. 서정시에서 유년과 고향을 뒤돌아보는 것은 그 시절이 때 묻지 않은 순수하고 맑은 동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되돌아갈 수는 없지만 그 시간과 공간을 뒤돌아보면서 자신을 사려보고 마음을 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지한주 시인의 이번 시집은 노년에 이른 시인이 많이 남지 않은 시간을 보다 인간답고 의미 있게 보내겠다는 의지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강경호(시인,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