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시시인의 말

1 행복이 따로 있나
사랑의 눈빛 --- 14
지리산 --- 16
자연 친화론 --- 18
광야를 향하여 --- 20
갈바람 속에서 --- 22
삶의 뒤안길 --- 23
겨울 산 --- 24
버리며 살아가기 --- 25
연꽃 --- 26
길 위에서 --- 27
뜸질하기 --- 28
보살피는 일 --- 29
행복이 따로 있나 --- 30
채석강 소견 --- 32
밤꽃 피는 유월에 --- 33
수도꼭지 --- 34
아침 이슬이 피면 --- 35
사람 사는 것 이제 --- 36
삼복더위 --- 37
잡념의 단상 --- 38

2 그리운 사람들
마음의 여로 --- 40
그대가 그립다 --- 41
팔순을 맞으며 --- 42
꽃무릇 --- 44
기차 마을 --- 45
이게 인생이야 --- 46
따뜻한 아랫목 --- 47
산다는 의미 --- 48
사랑한다는 것 --- 49
그리운 사람들 --- 50
내가 왜 이럴까 --- 52
아카시아 그늘에서 --- 53
푸른 숲에서 --- 54
순천만에서 --- 55
삶의 그늘 --- 56
세월의 통증 --- 57
바람의 노래 --- 58
가을은 왔는데 --- 59
차 한 잔의 여유 --- 60
너를 기다린다 --- 61

3 향기는 너울을 타고
광한루에서 --- 64
나그네 --- 65
뒤늦은 후회 --- 66
산수유 마을 --- 68
그림자 --- 69
그 곳에 가면 --- 70
들꽃의 향연 --- 71
물리 치료실 --- 72
세상 사는 일 --- 73
인연을 붙잡고 --- 74
양지 발에서 --- 75
속단하지 마라 --- 76
그 어떤 죽음 --- 77
회한의 눈물 --- 78
생명의 터전 --- 79
고구마 --- 80
노을빛 가슴에 앉고 --- 82
세상이 뭔지 모르고 --- 83
향기는 너울을 타고 --- 84
발길에 채인 돌이라면 --- 85

4 풀꽃 같은 마음으로
하늘 우러러 한 점 --- 88
마음 밭을 갈고 닦아 --- 89
자학의 변 --- 90
가을 햇살 한줌 앉고 --- 91
갈대의 노래 --- 92
누가 누구를 탓하랴 --- 93
지팡이의 변 --- 94
살다보면 그리워지는 것을 --- 95
생각의 나래 --- 96
찔레꽃 --- 97
지게의 예찬 --- 98
시상이 요상허시 --- 99
하늘빛 고운 눈으로 --- 100
성묘길에서 --- 101
순리의 辯 --- 102
비탈길 돌고 돌아 --- 103
풀꽃 같은 마음으로 --- 104
저-하늘에 형상의 빛이 --- 105
길손 이고파 --- 106
돌아보는 여유 --- 107

5 가슴에 번지는 미련
길을 열어라 --- 110
자기성찰의 믿음으로 --- 111
숲속의 연가 --- 112
흔들림의 사유 --- 113
호들갑 떨지 마라 --- 114
순수의 빛깔을 따라 --- 116
생각 좀 해보게나 --- 117
가슴에 번지는 미련 --- 118
내 것처럼 보아라 --- 119
나루터에서 --- 120
화분들의 속삭임 --- 121
살구꽃 피는 마을 --- 122
꽃 피우는 들풀아 --- 123
사랑의 미로 --- 124
계절의 순환 속에 --- 125
빛과 그림자 --- 126
아내의 병상일기 --- 127
화원의 햇살 --- 128
그리움의 나래 --- 129
하얀 길이 있다 --- 130
돌산 갓김치 --- 131
그게 뭐 별거더냐 --- 132
아쉬움은 언제나 --- 133
별빛의 여운 속에 --- 134

|해설| 존재방식의 탐구와 성찰의 미학/강경호 - 135

이용현황보기

가슴에 번지는 미련 : 지한주 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35794 811.15 -21-60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35795 811.15 -21-60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번 시집에서 지한주 시인의 존재방식을 묻는 질문은 보다 내밀하고 깊다. 이는 팔순의 연륜에 이르면서 곡진한 삶의 본질을 보다 진정성 있고 깊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한주 시인의 이번 시집의 또 다른 축은 황혼에 이르른 인생을 뒤돌아보며 회한에 잠긴 모습을 보여주는 시편들이다. 이 또한 그동안 살아온 삶을 보다 인간답게 살고자하는 마음과 더불어 남은 생을 후회하지 않게 살기 위한 의지의 발현이다. 그리고 이번 시집의 또 다른 시적 경향은 유년의 추억과 고향에 대한 향수, 그리고 가슴 속 깊이 남아있는 가족애를 보여주는 시편이다. 서정시에서 유년과 고향을 뒤돌아보는 것은 그 시절이 때 묻지 않은 순수하고 맑은 동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되돌아갈 수는 없지만 그 시간과 공간을 뒤돌아보면서 자신을 사려보고 마음을 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지한주 시인의 이번 시집은 노년에 이른 시인이 많이 남지 않은 시간을 보다 인간답고 의미 있게 보내겠다는 의지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강경호(시인,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