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부

이면지 ㆍ 13
둥근 모서리 ㆍ 14
이명(耳鳴) ㆍ 16
검은 귀가(歸家) ㆍ 18
딱풀 ㆍ 19
햇살의 힘 ㆍ 20
비교 ㆍ 22
돌아선 글자 ㆍ 24
녹슨 나사 ㆍ 26
무궁화 열차 안에서 ㆍ 28
위로의 방식 ㆍ 29
주름치마 ㆍ 30
골목길 ㆍ 32
기도라는 것 ㆍ 34
수제 손가방 ㆍ 36


제2부

둥?에 대하여 ㆍ 39
사나운 닭 ㆍ 40
고별의 변(辨) ㆍ 42
발치 ㆍ 44
빨랫줄 ㆍ 45
바람이 묻는다 ㆍ 46
삶은 그렇게 완성되리라 ㆍ 48
샤워 레시피 하나 ㆍ 50
참새와 허수아비 ㆍ 52
기다림 ㆍ 53
소나기 ㆍ 54
층간 소음 ㆍ 56
그 강물의 색 ㆍ 58
중고 장터 ㆍ 60
스테이플러 ㆍ 62


제3부

백자달항아리 ㆍ 65
찔레, 그 꽃 ㆍ 66
너의 꽃 ㆍ 67
돌아보지 않는 눈 ㆍ 68
삼색 볼펜 ㆍ 70
아지랑이 ㆍ 71
그냥 ㆍ 72
봄, 아시나요 ㆍ 74
목련 ㆍ 75
이 땅 어딘가에 ㆍ 76
비대칭에 기대어 ㆍ 78
@ ㆍ 79
물의 힘 ㆍ 80
made in 봄 ㆍ 81
무지개 ㆍ 82


제4부

종이접기 ㆍ 85
어둠도 빛이 ㆍ 86
혼자 먹는 밥 ㆍ 88
수소(水素) ㆍ 89
그들의 집 ㆍ 90
마스크 ㆍ 92
케미컬 라이트 ㆍ 93
주목(朱木) ㆍ 94
누구나 ㆍ 96
촛불 ㆍ 97
그리운 술 ㆍ 98
타인의 눈으로 ㆍ 100
배송 안내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의 기본형 ㆍ 102
사이다에 막걸리 ㆍ 104
기울어진 지구 ㆍ 106


해설
안부(安否)의 의미와 시적 기도(企圖)
고영(시인) ㆍ 107

이용현황보기

너의 안녕부터 묻는다 : 권순학 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40246 811.15 -21-67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40247 811.15 -21-67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안부(安否)의 의미와 시적 기도(企圖)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후 현재까지 영남대학교 기계IT대학 전기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권순학 시인의 세 번째 시집 『너의 안녕부터 묻는다』가 시인동네 시인선 144로 출간되었다. 권순학 시인은 공학도답게 물질에 천착하며 사물과 인간 존재의 현현을 극대화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는 격렬한 형태는 아니지만 여러 방식과 시도를 통해 시적 자기 기도, 즉 타자와의 관계 맺음에 망설이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누구나, 누구에게나 ‘안녕’을 묻고, 내가 늘 살아있음으로 변화를 기도하는 그만큼의 기도로 자신의 ‘안녕’을 묻는다.

■ 해설 엿보기

우연히 전기 콘센트나 방문 손잡이를 보고 사람의 얼굴을 떠올리는 것도 ‘진화 흔적’이라 한다. 인류의 ‘진화 흔적’ 대부분은 꼬리뼈나 사랑니처럼 몸에 남아 있지만, ‘얼굴’을 통해 상대의 존재를 파악하려는 시도처럼 무의식에 새겨진 것도 있다. 단순하게 말하면 ‘몸과 무의식’의 총화(總和)를 문화라 할 수 있고, 문화의 발달이란 바로 ‘몸과 무의식의 진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방향 설정이라 할 수도 있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권순학 시인의 이번 시집, 『너의 안녕부터 묻는다』는 존재와 타자의 관계 맺기에서 출발하여 그 의미를 묻고, 나아가 지향하는 ‘세계?삶’을 완성하려는 순수한 ‘기도’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오늘도 풀칠을 한다
천직이지만
하면 할수록 야위어 가는 몸

족보야 찾으면 있겠지만
생긴 모습으로 보나
하는 일로 보나
무독성 고집으로 보나
그는 딱, 풀일 수밖에 없다

찾아오는 누구든
어느 하나 묻거나 따지지 않는다
짧은 혓바닥으로
목젖 보일 때까지
벌어진 사이나 틈
마르고 닳도록 핥아준다
- 「딱풀」 전문

인용한 작품의 대상은 아무리 요리조리 살펴봐도 문구용품인 ‘딱풀’이다. 표면에 드러난 대로 ‘딱풀’의 용도와 성질, 외형의 변화를 특별한 수식이나 기교 없이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점은 두 가지라 할 수 있다. 하나는 낮은 강도에서 ‘의인법’이 사용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2연의 마지막 행 “그는 딱, 풀일 수밖에 없다”는 구절의 ‘딱, 풀’이라는 일종의 언어유희다. 이름, 제품의 일반명사를 특정한 성질이나 성향의 고유명사로 만드는 것이다.
주지의 사실이지만, 의인법을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대상을 새롭게 발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을 통해 인간 행위의 어떤 부분이나 행태를 비판하거나 돋보이게 하기 위함이다. 이 작품의 경우, ‘천직’, ‘족보’, ‘고집’과 같은 개념 어휘와 ‘혓바닥’과 ‘목젖’ 같은 신체 용어가 의인화를 반증하면서 동시에 ‘딱풀’의 의미가 중층적임을 암시한다. ‘그’라는 3인칭으로 호명되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딱풀’이 호명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쓰고 폐기하는 사물이 아니라 관계로써 대자(對自)의 자리를 허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유사한 다른 작품들을 통해서도 충분히 납득이 가능하다.

악어의 입을 가진
본명보다 더 굳은 별명 가진
수없이 이 악물지만 늘 빈손이다
철의 여인답게
또박또박 뱉는 말마다
그 누구도 거역할 수 없고
오히려 귀 맞대게 하는
철심 박혀 있다
접힌 허리지만 정갈한 마음 가졌다
겸손한 노동으로
팔짱 낀 장정 두 팔 벌린 아낙 품에
조무래기들 줄줄이 딸린
한 가족이 탄생한다
바람 불고 계절 바뀌어도 도망치지 않는다
- 「스테이플러」 전문

공교롭게도 ‘딱풀’, ‘스테이플러’는 다 그것이 동질과 동질이든, 이질과 이질이든 ‘무엇과 무엇’을 결합하는 데 사용하는 사물이다. 또한, 이 나열은 결합의 강도를 지시할 수도 있고, 그것의 사용 가능 햇수에 따라 나열할 수도 있다. 시인은 ‘딱풀’의 희생에 이어, ‘스테이플러’의 안정성을 말한다. 스테이플러를 “팔짱 낀 장정 두 팔 벌린 아낙”으로 의인화함으로써 거기 묶인 것들을 ‘한 가족’으로 묶어내는 것이다.
― 고영(시인)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가진 것 많아도 쓸 데 없는 이쪽과
가진 것 없어도 쓸 데 많은 저쪽

밤의 책장을 넘기듯
꼬기작꼬기작 접힌 이면지를 펼치면
비록 팽팽하진 않지만
빛과 그림자가 나타나죠

그때 이쪽과 저쪽을
엄지와 검지로 아주 살살 비벼 보아요
어둔 골목길 담벼락에 머리 기대고
기도하는 사람이 보일 거예요

종이 뒤에 선 사람의 숨결이 만들어내는
무소유의 세상
그 세상이 얼마나 따듯한지
금방 알게 될 거예요
― 「이면지」 전문
참 익숙하지만 무거운 그 말

누구나 무엇이든 적어도 한번쯤은
그 제물로 바쳐졌겠지만
SNS의 화젯거리 ‘계란 판과 갓 나온 종이 신문’
그들 효용성을 비교한다

바늘구멍으로 보거나 그냥 보면
한 줄 깨진 6x6 한 판
가까이 보면
평생 밟은 세상 다해봐야 신문지 반쪽에 들 로봇
뿌린 씨앗 품을 자리 서른이나 보인다
조금 더 자세히 보면
비닐도 벗기지 못한 채 끌려간 밤새 품은 따끈한 소식
중독성 윤전기 기름 냄새 모두 잃은 조상님이 보인다
뉴스 사설 스포츠 연예 광고까지
밤새 누군가의 손길 눈길 기다렸을 그들이건만
누군가의 배경이 된 그들

효용성 비교 전
너의 안녕부터 묻는다
― 「비교」 전문
울다가 웃는 것이 기도고
웃다가 우는 것도 기도다
감각 없는 시간 울림 없는 공간일지라도
하늘이든 땅이든 뭐든 울려야 기도다
울릴 수 없다면 너라도 울어라
무엇이든 울릴 수 있어야 기도고
함께 우는 누군가 있어야 기도다
어떤 이는 어제를 지우려 기도하고
또 어떤 이는 다시 올 어제를 위해 기도한다
닿지 않는 기도는 불평등한 음모
오지 않는 은총은 잘못된 주소
누군가는 들을 이를 위해 기도하고
누군가는 기도를 위해 기도한다
누구나 하는 것이 기도고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기도다
닿을 듯 말 듯 하는 것이 기도다
이루어지지 않는 기도라도
이루어질 수 없는 기도라도
해야 기도다
삶이 기도고 기도가 삶이다
― 「기도라는 것」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