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제1장 서론 2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2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2

2) 연구목적 31

2. 연구범위 및 방법 32

1) 연구대상 및 범위 32

2) 연구방법 36

3) 연구수행과정 39

3. 선행연구 검토 40

1) 관련 선행연구 검토 40

2) 본 연구의 차별성 43

제2장 미세먼지 관련 제도 현황 분석 및 문제점 도출 46

1. 미세먼지 관련 정책 기본 방향 및 법제도 현황 분석 46

1)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 46

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2020~2024) 52

3) 미세먼지 관련 법제도 개정 현황 분석 55

2. 국내 미세먼지 관련 대응 매뉴얼 시행 현황 및 한계 분석 59

1) 통합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매뉴얼 분석 59

2) 어린이집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매뉴얼 분석 64

3) 학교시설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매뉴얼 분석 68

4) 미세먼지 대응 매뉴얼 이행 현황분석 71

3. 미세먼지 저감 지원 프로그램 현황 및 한계 분석 74

1) 서울특별시 지원 사업 74

2) 세종특별자치시 지원 사업 76

3) 기타 지자체 지원 사업 79

4) 주요성과 요약 및 분석 84

4. 미세먼지 정책 관련 인지도 및 만족도 분석 86

1) 미세먼지 관련 제도 및 정책 인지도 현황 분석 86

2) 미세먼지 관련 정책 만족도 및 평가 86

5. 소결 89

제3장 미세먼지 민감군 시설 건축물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91

1. 미세먼지 민감군 관련 시설의 계획 기준 및 설비 기준 분석 91

1) 어린이집 계획 기준 및 설비 기준 91

2) 학교시설 계획 기준 및 설비 기준 93

3) 미국학교 공기정화설비 가이드라인 분석 97

4) 시설별 계획 기준 항목 비교 석 및 종합 분석 100

2. 미세먼지 민감군 관련 시설 현장조사 및 개선 요구 사항 분석 104

1) 실내공기질 현황 및 공기질 관리 현황 분석 104

2) 실내공기질 데이터를 활용한 사전조사 및 현장조사 분석 109

3) 미세먼지 설문을 통한 청정구역 요구도(우선 적용 순위) 분석 125

4) 현장조사 및 개선 요구 사항 종합 분석 127

3. 미세먼지 저감 및 회피 관련 사례 기술 분석 129

1)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사례 분석 129

2) 미세먼지 회피를 위한 사례 분석 135

4. 소결 146

제4장 미세먼지 민감군 시설 계획 기준 마련 149

1. 시설 계획 기준의 기본방향 149

1) 개요 및 기본방향 149

2) 계획 기준 도출 방법 151

2. 시설 계획 기준 마련 153

1) 시설 계획 기준 구분 및 세부 항목 설정 153

2) 시설 계획 기준 필요성 및 항목별 중요도 분석 153

3) [1단계] 시설 계획 기준 및 세부 내용 초안 154

4) [2단계] 시설 계획 기준 및 세부 내용 구체화 158

3. 시설 계획 기준 효과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163

1) 시뮬레이션 개요 163

2) 시뮬레이션 대상 163

3) 시뮬레이션 방법 163

4)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176

4. 소결 189

제5장 결론 192

1. 연구 결과 요약 192

2.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194

1) 범부처 통합 시설 계획 기준 마련 194

2) 미세먼지에 대한 중장기적이며 근본적인 대응방안으로 시설 계획 기준 마련 195

3) 미세먼지 민감군 시설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설비 성능 조건과 정보를 제공 195

4)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 195

참고문헌 196

SUMMARY 206

[부록] 미세먼지 민감군을 위한 공공건축물 시설계획 기준 설문조사 내용 213

1. 설문조사 개요 213

2. 민감군 및 시설운영관리자 그룹 설문조사 주요결과 216

1) 미세먼지 인지와 정책 참여 216

2) 시설계획 기준의 필요성 및 중요도 221

3) 시설계획 기준의 세부사항 223

4) 시설의 운영ㆍ관리 방안 238

3. 전문가 그룹 설문조사 주요결과 요약 242

1) 미세먼지 시설계획 기준의 필요성 242

2) 시설계획 기준의 세부 사항 243

판권기 2

이용현황보기

미세먼지 민감군을 위한 공공건축물 시설 계획 기준 연구 = Public building design criteria for groups sensitive to fine dusts : focusing on day care centers,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43356 727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43357 727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