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I. 서론 12
제1장 연구의 배경, 필요성 및 목적 12
II. 연구내용 및 방법 14
제1장 사업의 범위 14
제2장 연구방법 및 추진체계 15
III. 연구결과 18
제1장 대기오염측정망 동향 및 향후 개선 방향 18
제1절 대기오염측정망의 변천과정 18
제2절 해외 대기오염측정망 운영 현황 조사 및 고찰 22
제3절 최근 국내 대기오염측정망 현황 및 시사점 54
제4절 국내 대기오염측정망의 향후 개선방안 61
제2장 대기오염측정망 운영체계 및 계획 개선(안) 63
제1절 측정망별 목적에 따른 측정망 재구성 및 운영계획 방안 제시 63
제2절 대기오염측정망 재구성(안) 64
제3절 측정소별 항목 조정 및 운영체계 재정립 93
제4절 측정망별 입지 및 설치 기준(대표반경 등)의 구체적 조건 제시 99
제3장 대기오염 측정망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 104
제1절 자동과 수동측정 대기오염측정 자료 비교를 통한 자동화 타당성 평가 및 자동측정의 데이터 품질 확보 방안 제시 104
제2절 미세먼지 측정 관련 등가성평가에 따른 측정망 자료의 처리방안 도출 108
제4장 대기오염 측정망 설치운영의 전과정 프로세스 개선 111
제1절 대기측정망 효율적 운영방안 제시 111
제2절 국가 대기질 데이터 확정 가이드라인 개선 및 통계처리 절차 프로그램 고도화 118
IV.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126
V. 결론 128
VI. 참고문헌 132
VII. 부록 134
[부록 1] 국가 측정망별 분포 현황 136
[부록 2] 도시대기측정망 신설개수(안) 139
[부록 3] 도로변측정망 후보 도시(인구수 20만 명 이상 도시) 146
[부록 4] 행정구역별 도로변대기측정망 확충계획(안) 147
[부록 5] 유해대기오염물질측정망 현황(2019.11 대기환경월보) 150
[부록 6] 도시지역 분류 유해대기오염물질측정망 및 신설 후보 지역 151
[부록 7] 대기중금속측정망 현재 및 신규 지점 현황 152
[부록 8] 유해대기측정망과 중복위치인 대기중금속측정망 153
[부록 9]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154
[부록 10] 대기오염자동측정망 및 대기오염이동측정차량 운영관리방법 155
[부록 11] 대기오염측정망 평가단의 운영 156
[부록 12] 대기오염측정망 내부정도관리 157
[부록 13] 국내 대기오염측정망 데이터 확보 및 관리 방법 160
그림 1. 대기오염측정망 확충 계획 12
그림 2. 연구 추진 방법 15
그림 3. 연구팀 구성 및 연구추진 체계 15
그림 4. 대기오염측정망 변천사 19
그림 5. 2000년 측정망 운영 기본계획 및 2006-2010년 측정망 운영계획 20
그림 6. 2011-2015 측정망 운영계획 20
그림 7. 전세계 대기오염측정망 분포 22
그림 8. 미국의 대기오염물질 관리 권역 24
그림 9. 미국의 대기오염측정망 종류 25
그림 10.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미국의 측정망 분류체계 25
그림 11. National Core(NCore) Multipollutant Network(updated as of July 2011) 26
그림 12. 미국의 대기오염측정망 구분 27
그림 13. 미국의 대기오염측정망 레벨별 측정항목 및 측정주기 등 상세정보 28
그림 14. 미국의 대기오염측정망 1레벨 측정항목 및 측정주기 등 상세정보 28
그림 15. 미국의 대기오염측정망 2레벨 측정항목 및 측정주기 등 상세정보 29
그림 16. 미국의 대기오염측정망 3레벨 측정항목 및 측정주기 증 상세정보 29
그림 17. CSN site 분포(2018년) 31
그림 18. 미국의 대기질 관리 방법 32
그림 19. 오염물질별 환경기준 비달성 지역 공개 32
그림 20. 미국 AIRNOW의 측정망 분포, 대기오염 및 기타 정보공개 33
그림 21. SLAMS 사이트 37
그림 22. 풍향 패턴 분석 38
그림 23. 영국의 대기오염측정망 관리 체계 39
그림 24. 영국의 대기오염측정망 현황 40
그림 25. 일반 대기질측정소(Urban site)의 측정항목 41
그림 26. 런던의 대기오염측정망 분포 41
그림 27. 런던 저배출지역 적용사례 42
그림 28. 실측값과 예보값의 비교를 통한 예보 정확성 확인 44
그림 29. 벨기에 자동측정망 배치 현황 46
그림 30. 벨기에 BelATMO 인덱스 47
그림 31. 독일 대기오염도 공개 49
그림 32. 일본 대기오염측정망 개소수 분포(2011년 기준) 50
그림 33. 일본 대기오염 정보공개 51
그림 34. 국내 대기오염측정망 운영체계 54
그림 35. 대기오염측정망 확충 계획 55
그림 36. 국내 대기오염측정망 분포('19년 11월말 기준) 56
그림 37. 국내 대기오염 관리기관 현황 60
그림 38. 본 연구에서의 대기오염측정망 구성(안) 64
그림 39. 도시대기측정망의 적정 개수 범위 66
그림 40. 도로변대기측정망의 개수 적정 범위 70
그림 41. 유해대기오염물질측정망의 성격별 분류 73
그림 42. 유해대기오염물질측정망 적정 개소수 범위 75
그림 43. 신설 유해대기오염물질측정망 분포도('20년 기준) 82
그림 44. 도서, 국경, 항만, 선박 측정망 운영계획 83
그림 45. 국내 주요 항만 84
그림 46. 항만측정소 위치 및 확충 사업 내용 85
그림 47. 선박측정망 위치 및 확충 사업 내용 86
그림 48. 도서지역 측정망 분포 87
그림 49. 도서지역측정망 확충 사업 내용 87
그림 50. DMZ 측정망 분포 88
그림 51. DMZ지역측정망 확충 사업 내용 88
그림 52. 북한의 연료별 1차 에너지 공급 89
그림 53. 북한의 지역별 초미세먼지 연간 배출량 및 배출원별 기여도 90
그림 54. 측정소 설치 후보지역(안) 91
그림 55. 측정 목적에 따른 측정 항목의 조정 93
그림 56. 대기오염측정망의 설치 목적 및 측정항목 101
그림 57. 교차로 주변 설치 도로변대기측정망 위치 변경(안) 102
그림 58. 수동측정을 통한 자동측정 데이터 품질 확보 방안 도출 104
그림 59. 국가 대기오염측정망 정도관리 전산화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품질향상(안) 106
그림 60. 미국 NAEMS 연구과제에서 수행된 즉정사이트 Maintenance checklist 예시 107
그림 61. 국내 미세먼지 등가성 평가 실시 체계도 108
그림 62. 등가성평가 결과에 따른 데이터 처리방안 예시 110
그림 63. 일반 대기측정망 자료처리 방법 112
그림 64. 대기오염측정망 운영개선 설문조사 113
그림 65. 대기오염측정망 설치 운영기관의 역할 114
그림 66. 대기오염측정망 1차 확정시 가이드라인 유무 115
그림 67. 지자체 연월보 작성시 사용되는 Tool 116
그림 68. 대기오염측정자료 생산·수집·제공 흐름도 118
그림 69. 이상자료 선별방법 119
그림 70. 일반대기오염측정망 자료 확정 알고리즘 122
그림 71. 통계처리 절차 프로그램 고도화 123
그림 72. 측정소 검색 기능 개선 123
그림 73. 장기간 농도 추세 변화 기능 개선 124
그림 74. PM₁₀, PM₂.₅ 자료 검색 기능 개선 124
그림 75. NO, NO2, Nox 자료 검색 기능 개선 125
그림 76. 최종확정 자료 저장 기능 개선 125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45726 | 628.53 -21-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745727 | 628.53 -21-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