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머리말 2
요약 13
제1장 서론 37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7
2. 연구 목적 및 주요 연구 내용 41
제2장 클러스터 기반 지역산업정책의 이론 및 동향 45
1. 클러스터 기반 지역산업정책 이론 개관 45
(1)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구조 연구 동향 46
(2) 지역 지식네트워크 클러스터의 구조적 특성 51
(3) 선호적 연결구조와 네트워크의 성장 54
(4) 지역혁신성장 네트워크의 구조 특성 59
2. 클러스터 기반 지역산업정책의 동향 62
(1) 지역산업클러스터 개념 62
(2) 지역산업클러스터 성장경로 65
3. 클러스터 기반 지역산업정책의 성과와 시사점 73
제3장 지역산업구조 변화와 향후 지역산업정책 기본 방향 77
1. 지역산업구조 환경 변화 77
(1) 코로나19 확산과 지역산업 불균형 성장경로 77
(2) 산업환경 변화와 공간집중화 79
(3) 지역산업구조 고착화(lock-in)현상 84
(4) 지역전략산업의 선택 88
2. 지역경제발전 경로의존성 93
(1) 경로의존적 지역성장 93
(2) 경로의존성을 통한 신성장경로 생성 96
3. 지역산업정책의 새로운 방향 검토 99
(1) 지역산업구조 차별성 기반의 전략산업 육성 99
(2) 신성장경로 생성을 위한 지역산업구조 고도화 103
제4장 기업거래와 산업 네트워크 형성 107
1. 기업거래 특성 설문조사 개요 108
2. 기업거래 결정요인과 지역산업클러스터 112
3. 기업거래 안정성과 지역혁신성장 115
4. 기업거래의 지속성과 산업클러스터의 성장 122
5. 소결 125
제5장 지역산업 네트워크 분석 : 산업 Atlas 모형 127
1. 산업 Atlas 개요 127
(1) 지역경제 구조분석을 위한 관계형 분석 방법의 필요성 127
(2) 산업 간 연관구조 모형화 검토 129
2. 산업 Atlas 모형 구축 133
(1) 기업거래 빅데이터 기반의 산업연관성 측정 방안 133
(2) 기업거래 빅데이터 기반의 지역산업 Atlas 모형 구축 예시 136
3. 지역산업 Atlas의 통계적 특성 146
(1) 산업 네트워크의 연결성 분석 정량지표 146
(2) 산업 네트워크의 내생적 혁신구조 분석 정량지표 149
4. 지역산업구조 분석을 위한 산업 Atlas 모형의 적용 154
(1) 지역산업의 구조적 특성과 스마트 특성화 전략 유형 154
(2) 지역 제조업 산업생태계 혁신성장 경로 분석 156
(3) 국가주력산업과 연계한 지역별 혁신성장 중심산업 발굴 161
(4) 국가주력산업의 지역별 중심산업 구조 특성 201
제6장 지역산업 혁신성장 전략과 정책과제 205
1. 혁신생태계 기반의 지역산업 혁신성장 전략 205
(1) 혁신생태계 관점의 지역산업 육성 205
(2) 핵심 전략산업 중심의 지역산업 성장경로 설계 207
(3) 지역 전략산업 중심의 혁신생태계 강화 209
2. 스마트 특성화 전략유형별 정책 211
(1) 정책 추진 방향 212
(2) 스마트 특성화 유형별 정책 추진방안 216
3. 지역산업 혁신생태계 강화 정책과제 218
(1) 신산업 기반 구축을 위한 기업연구소 집적화 촉진 218
(2) 지역산업 구조전환을 위한 기업규모 확대 바우처 지원 강화 219
(3) 산업다각화를 위한 지역의 지식 창출ㆍ성장 프로젝트 추진 및 투자액셀러레이팅 강화 221
(4) 지역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를 위한 지원수단의 메뉴 설정 222
4. 지역주력산업 고도화 및 산업다각화 정책과제 225
(1) 정책추진 개요 225
(2) 미래선도산업-중추산업-연계협력산업의 구조화 226
(3) 지역산업진단을 위한 지역산업종합진단시스템 구축 235
5. 신산업 기반 구축 및 지역산업 구조전환 정책과제 237
(1) 네트워크에 기반한 지역산업ㆍ기술생태계 구축 강화 237
(2) 산업연관구조의 확대를 통한 혁신플랫폼 및 공간연계형 자립적 산업생태계 구축 241
(3) 첨단스마트산단과 인접 도시를 연결한 도시형 첨단융복합스마트 지구 설정 244
참고문헌 246
[부록 1] 기업거래 설문지 257
[부록 2] 기업거래 설문조사 결과 분석 267
[부록 3] 12대 국가주력산업 분류(10차 5KSIC 기준) 281
[부록 4] 14개 광역시도 제조업 중심성 분석 결과 291
Abstract 351
판권기 356
〈그림 1-1〉 글로벌 경제환경의 대전환과 주요 이슈 38
〈그림 1-2〉 연구 흐름도 43
〈그림 2-1〉 네트워크 구조 유형 54
〈그림 2-2〉 네트워크 형성 메커니즘 57
〈그림 2-3〉 제1ㆍ2차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 산업클러스터 구축도 68
〈그림 3-1〉 산업별 승수의 추이 81
〈그림 3-2〉 경제규모(인구)와 복잡성, 소득증가율 간의 관계 83
〈그림 3-3〉 기존 상품 대비 기술적 거리와 이윤 변화 및 기업 수 간의 관계 86
〈그림 3-4〉 시군구별 고도화 수준의 2010년/2018년 비교 87
〈그림 3-5〉 시군구별 산업다양성과 보편성 수준의 비교(2018년) 91
〈그림 3-6〉 경로의존적 지역성장 경로 양상 98
〈그림 3-7〉 초기 산업의 진입에 따른 생산성 충격, 투입구조로의 역할, 네트워크 구축 101
〈그림 3-8〉 지역발전의 긍정적 'lock-in'과 부정적 'lock-in' 104
〈그림 4-1〉 최초 거래 결정요인 113
〈그림 4-2〉 거래지속 요인 114
〈그림 4-3〉 거래 시 중요도 115
〈그림 4-4〉 거래관계 유지 기간 117
〈그림 4-5〉 대표적 거래처와의 거래관계 유지 기간 118
〈그림 4-6〉 거래지속을 위한 요인 및 대표적 거래처와의 거래 요인 118
〈그림 4-7〉 대표적 거래처에 대한 만족도 121
〈그림 4-8〉 거래처로서의 경쟁력 수준 응답 121
〈그림 4-9〉 거래관계 변화 영향 요인 124
〈그림 4-10〉 기업거래 안정화 정책수요 124
〈그림 5-1〉 상품공간 132
〈그림 5-2〉 스웨덴 제조업 산업공간(2002년) 133
〈그림 5-3〉 판매 및 구매거래의 상대성 개념도 137
〈그림 5-4〉 산업 Atlas의 일반적 형태와 에고 네트워크 추출 145
〈그림 5-5〉 네트워크 중심성 147
〈그림 5-6〉 네트워크 구조적 공백 148
〈그림 5-7〉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을 구분하는 통계량 153
〈그림 5-8〉 지역제조업 특성 기반 스마트 특성화 전략 155
〈그림 5-9〉 제조업 개방혁신성 및 산업선도성 지역분포 158
〈그림 5-10〉 국가주력산업 개방혁신성 및 산업선도성 지역분포 160
〈그림 5-11〉 매개산업의 구조적 특성 162
〈그림 6-1〉 지역산업의 성장경로와 혁신성장 전략 207
〈그림 6-2〉 지역산업 생태계 형성을 위한 체계도 23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73010 | 338.9519 -21-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773011 | 338.9519 -21-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