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서문 8

방법론 11

약어 설명 15

주요 메시지 18

총괄 요약 20

1장 2020년 세계 식량안보 및 영양 현황 32

1.1. 기아 및 식량불안 목표에 대한 진전 상황 34

1.2. 국제 영양목표에 대한 진전 상황 56

1.3. 식량안보와 영양성과간 중요한 연계성 : 식량 소비와 식단의 질 71

1.4. 결론 92

2장 모든 사람들에게 가격 적정성을 갖춘 건강한 식단을 제공하기 위한 식품시스템의 변혁 94

2.1. 전 세계 건강한 식단의 비용 및 가격 적정성 96

2.2. 숨겨진 건강 및 환경 비용 126

2.3. 영양가 있는 식량의 비용을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150

2.4. 영양가 있는 식량의 비용을 낮추고 건강한 식단의 가격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들 174

부록 198

부록 1 199

부록 1A. 제1장의 통계표 199

부록 1B. 식량안보 및 영양 지표에 대한 방법론적 주석 228

부록 2. 방법론 제1장 241

부록 3. 섹션 2.1에 대한 설명, 데이터 및 방법론 254

부록 4. 건강한 식단의 비용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국가 식품기반식생활지침(FBDGs) 271

부록 5. 섹션 2.1에 대한 추가적 표 및 그림 276

부록 6. 국가그룹의 정의 281

부록 7. 섹션 2.2에 대한 설명, 데이터 및 방법론 282

부록 9. 용어해설 293

주석 298

판권기 344

표목차

표1. 2015-19년 세계 영양부족인구 비율(PoU) 40

표2. 2015-19년 세계 영양부족인구수 42

표3. 2014-19년 식량불안경험척도로 측정한 심각한 수준, 중간 또는 심각한 수준의 식량불안인구 비율 50

표4. 2014-19년 식량불안경험척도로 측정한 심각한 수준, 중간 또는 심각한 수준의 식량불안인구 비율 51

표5. 세계보건총회에 의해 채택된 국제 영양목표 및 2030년까지의 연장 57

표6. 대부분 지역이 일부 진전을 보이고 있지만 국제적 목표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음;... 59

표7. 2017년 건강한 식단의 비용은 영양소가 충분한 식단의 비용보다 60% 높고, 충분한 에너지를... 109

표8. 2017년 전 세계 30억명 이상이 건강한 식단을 경제적으로 감당할 여유가 없었다 117

표9. 지속가능성 고려사항을 포함한 건강한 식단으로의 전환은 토지와 에너지 및 물 사용에 대한... 139

표10. 과일 및 채소가 아프리카의 7개 국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식량가격 계절성을 나타낸다(2000-2012) 158

표11. 저소득국가의 농업 생산은 불이익을 받는 반면, 중·고소득국가의 농업 생산은 지원을 받는다(2005-2016) 166

표12. 전 세계적으로 정부는 설탕, 쌀 및 동물성 제품의 상산을 가장 많이 지원하는 한편, 영양분이... 168

표A1.1.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에 대한 진전 : 영양부족·중간 수준 또는 심각한 식량불안·일부 영양불량·완모수유·출생시 저체중 인구 비율 199

표A1.2.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에 대한 진전 : 영양부족·중간 수준 또는 심각한 식량불안·일부 영양불량·완모수유·출생시 저체중 인구의 수 214

표A2.1. 보고서에 사용된 지역적·세계적 차원의 영양목표 달성을 위한 모니터링 규칙과 진전상황 분류 243

표A2.2. 식단 평가에 사용되는 데이터 출처 : 세계적 평가를 진행하는 경우의 강점 및 한계점 248

표A2.3. 분석에서 사용된 식품군 분류 250

표A3.1. 30세 여성을 위한 영양소 섭취량 256

표A3.2. 2017년 국가별(170개 국가), 지역별, 국가 소득그룹별 및 인구(백만명)별 3가지 식단 비용 및 가격 적정성 264

표A3.3. 2017년 지역 및 국가 소득그룹별 각 식단의 비용을 경제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인구 비율과... 270

표A4.1. 건강한 식단 비용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 기반 식단 지침 273

표A5.1. 식품군별 평균 자체가격 탄력성 276

표A5.2. 2008년 식품군별, 국가소득그룹별 자체가격 탄력성 및 교차가격 탄력성 전망 277

표A7.1. 현재의 기준 식량 소비량(BMK) 및 지속가능성 고려사항을 포함한 네 가지 대체 건강 식단... 283

표A7.2. 2010년 식단 시나리오별 1인당 식품 소비(g/일) 및 킬로칼로리 섭취(kcal/일) 개요 - 세계 285

표A8.1. 벤치마크 식단에서 4가지 대체 건강 식단 패턴으로 전환시 2030년 사망률 감소에 대한 식단... 289

그림목차

그림1. 세계 영양부족인구수는 2019년에도 계속 증가세에 있으며, 최근의 추이가 반전되지 않을... 36

그림2. 아프리카의 소지역별 영양부족인구 비율(2030년까지 예측치 포함). 중앙아프리카 및... 41

그림3. 아시아의 소지역별 영양부족인구 비율(2030년까지 예측치 포함). 서아시아는 최근... 43

그림4. 중남미·카리브의 소지역별 영양부족인구 비율(2030년까지 예측치 포함). 영양부족... 45

그림5. 최근 추세가 지속될 경우 세계 기아분포는 크게 변화하여 2030년에는 아프리카에 가장... 46

그림6. SDG 지표 2.1.2 FIES로 측정된 식량불안 심각도에 대한 설명 49

그림7. 중간 수준 또는 극심한 식량불안은 세계 인구의 1/4에 영향을 미치며 지난 6년간... 52

그림8. 중간 수준 또는 심각한 식량불안 인구의 절반 이상이 아시아에, 1/3 이상이 아프리카에 거주 53

그림9. 세계 및 지역마다 여성이 남성보다 식량불안인구 비율이 높음 55

그림10. 대부분의 지표가 어느 정도 진전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2025 완모수유 목표만... 58

그림11. 대부분 지역은 아동 과체중 목표 달성 궤도에 올라있지 않으며, 성인 비만은 모든... 61

그림12. 사하라이남 아프리카는 성장지연 아동수가 증가 중인 유일한 소지역 65

그림13. 전 세계적으로 5세미만 아동의 21.3%가 성장지연을 겪고 있으며, 17개 중 7개... 66

그림14. 성장지연 인구 비율은 농촌지역 및 빈곤가계에서 높게 나타남 67

그림15. 중남미·카리브에서는 최빈곤층 가계 아동의 성장지연 인구 비율이 최부유층 가계 아동... 68

그림16. 건강한 식단의 원칙을 적용하는 다양한 방식 : 3개국의 예시 73

그림17. 2000~2017년, 세계 과일, 채소 및 유제품 가용성은 증가, 주곡 가용성은 안정적 78

그림18. 2000~2017년, 세계 두류 및 견과류, 가금류 및 생선 가용성은 증가, 적색육 가용성은... 79

그림19. 2000~2017년, 세계 가공육, 계란 및 유지 가용성은 증가, 설탕 가용성은 감소 80

그림20. 소비를 위해 가용한 식품군의 비율은 국가소득그룹별로 상이 : 2017년도 스냅샷 84

그림21. 도시 가계 및 부유한 가계의 아동이 보다 높은 식품섭취 다양성을 지님 85

그림22. 6~23개월 연령의 아동 중 최소식품섭취다양성을 충족하는 아동의 비율. 6~23개월 연령... 86

그림23. 세계 대부분의 아동이 곡물, 뿌리작물 및 괴경을 섭취하고 있으며, 소수의 아동만이... 87

그림24. 식량불안이 심각해질수록 식량소비 및 식품 에너지 섭취가 감소하며, 주곡이 식단에서... 90

그림25. 건강한 식단의 가격 부적정성은 식량불안과 다양한 형태의 영양불량(아동 성장지연 및... 99

그림26. 1인당 소득이 낮은 국가에서 식품 수요의 소득 탄력성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 103

그림27. 2017년 전 세계적으로 유제품, 과일, 채소 및 고단백 식품이 건강한 식단을 위한 가장 비싼 식품군 111

그림28. 2017년 세계 모든 지역의 빈곤층에 있어 건강한 식단은 경제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113

그림29. 대부분 남반구 국가에서 건강한 식단의 비용은 2017년 1인당 평균 국가 식량 지출액을 초과 115

그림30. 시간적, 지리적 요인에 따른 가격 차이 및 소득 차이로 인해 많은 국가 내에서 충분한... 121

그림31. 임산부, 수유기 여성과 청소년기 소녀의 식품에너지 및 철분 필요량은 상대적으로 높으며,... 124

그림32. 현재의 소비 패턴과 비교하여, 네 가지 대체 건강 식단 패턴을 채택하는 것은 2030년까지... 134

그림33. 현재의 식품 소비 패턴 하에서는 2030년 식단 관련 건강 비용이 연간 1조3,0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135

그림34. 네 가지 대체 건강 식단 패턴 중 하나를 채택하면 2030년까지 식단 관련 건강 비용이... 136

그림35. 네 가지 대체 건강 식단 패턴 중 하나를 채택하면 2030년 식단 관련 GHG 배출량이... 140

그림36. 일부 국가는 식품에너지 및 단백질 필요량을 충족키기 위해 GHG 배출량 증가가 불가피할 것 141

그림37. 식물성 식품 기반 식단 패턴의 채택은 2030년 GHG 배출의 사회적 비용을 41~74% 감소시킬 것 143

그림38. 네 가지 대체 건강 식단 패턴 중 하나를 채택하면 2030년까지 식단 관련 비용을 평균... 145

그림39. 보호무역 정책은 쌀과 같은 주식의 국내 생산을 보호 및 장려하나, 종종 저소득국가의... 169

그림40. 식품 및 농업에 대한 공공 지출은 생산자 보조금을 선호하며, 식량공급사슬 전반에 걸친... 170

그림41. 영양가 있는 식량의 비용을 낮추고 건강한 식단의 가격 적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179

그림A4.1. 2017년 세계 모든 국가에 10개 FBDGs 및 4가지 기준 식단 패턴을 적용한 건강한... 272

그림A5.1. 2017년 건강한 식단의 세계 평균 비용(달러)에 대한 식품군별 평균 기여율 278

그림A5.2. 2017년 국가소득그룹별 건강한 식단을 위한 각 식품군의 하루 1인당 비용 및 총 비용 중 비중 279

그림A5.3. 2017년 세 가지 기준 식단을 경제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인구 비율 280

그림A8.1. 현재 식량 소비 패턴이 지속될 경우 식단 관련 건강 비용은 2030년... 289

그림A8.2. 네가지 대체 건강 식단을 채택할 경우 2030년 식단 관련 온실가스(GHG) 배출량은... 291

그림A8.3. 2030년 다양한 배출량 안정화 시나리오에 대한 현재 식량 소비 패텬에 따른 온실가스... 292

그림A8.4. 현재 식량 소비 패턴 하 온실가스 배출의 사회적 비용의 3/4은 2030년 육류와... 292

박스목차

박스1. 중국에 대한 정보 업데이트로 전 세계 기아 추정치의 정확도 개선 37

박스2. 영양부족인구 비율(PoU) 추정치 및 2030까지의 예측치에 대한 수정 자료 44

박스3. COVID-19 팬데믹이 세계 기아에 미치는 영향 47

박스4. COVID-19 팬데믹이 영양불량에 미치는 영향 63

박스5. 건강한 식단을 위한 기본 원칙 74

박스6. 현재의 식량 소비 패턴은 국가 식품기반식생활지침(FBDGs) 권장사항과 어떻게 비교할 수 있는가? 벨기에의 사례 연구 76

박스7. COVID-19 팬데믹이 영양가 있는 식량과 전반적인 식단의 질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 82

박스8. 여성을 위한 최소식품섭취다양성 : 세 개의 국가에서 나온 증거 83

박스9. FIES에 기초한 식량불안과 새로운 매트릭스에 기초한 식단의 질 사이의 연관관계 : 가나와 탄자니아에서 수집된 증거 88

박스10. 비용 및 가격 적정성 분석에 사용된 세 가지 식단에 대한 설명 105

박스11. 비용 및 가격 적정성 분석에 사용된 세 가지 식단의 최저 비용 계산 107

박스12. 세 가지 기준식단의 가격 적정성 계산 112

박스13. 장기화된 위기 상황에 처한 국가들은 건강한 식단의 가격 적정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막대한 도전과제에 직면 118

박스14. 건강 및 기후변화 비용에 대한 가치 평가 : 기준 데이터 및 평가 방법 130

박스15. 현재의 식단 패턴에서 지속가능성 고려사항을 포함한 건강한 식단으로의 전환 : 인도네시아의 식단의 균형 재조정 목표 및 상쇄 효과 147

박스16. COVID-19 팬데믹은 건강한 식단의 식품가격 및 가격 적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151

박스17. 에티오피아 정부의 농업에 대한 정책 및 투자가 충분한 영양소를 갖춘 식단의 비용에 미치는 영향 156

박스18. 타지키스탄에서는 기후 및 송금과 관련된 계절성이 충분한 영양소를 갖춘 식량의 가격 및 가격 적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157

박스19. 일부 아프리카 국가의 사례 : 도로망에 대한 공공 투자를 통한 충분한 영양소를 갖춘 식단의 가격 적정성 제고 161

박스20. 탄자니아에서는 열악한 도로 인프라와 먼 이동거리로 인해 다양한 지역 전반에 걸쳐 건강한 식단의 비용에 커다란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163

박스21. COVID-19의 영향 : 영양가 있는 식량의 비용 증가를 막고 가격 적정성을 갖춘 건강한 식단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 권고사항 175

박스22. 건강한 식단의 가격 적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로드맵 - 식품시스템 변혁의 핵심 단계 176

박스23. 인도네시아의 사례 : 수산양식업 가차사슬에 대한 투자를 통한 보다 공정한 소득 및 건강한 식단의 달성 183

박스24. 중미의 사례 : 무역 자유화를 통한 충분한 영양소를 갖춘 식단의 비용 절감 185

박스25. 케냐 난민 캠프의 사례 : 식량공급사슬의 효율성 개선을 통해 케냐 난민 캠프에 거주하는 최취약층 인구를 위한 건강한 식단의 가격 적정성 개선 및 접근성 강화 186

박스26. 건강한 식단의 가격 적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엘살바도르에서 사용된 사회보호 접근법 189

박스27.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및 남아시아 지역의 사례 : 최소 식품섭취 필요량의 가격 적정성 및 건강 관련 우려사항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정된 재정 정책 192

박스28. 건강한 식단을 장려하는 보완적 정책 193

박스29. 지속가능성 고려사항을 포함한 가격 적정성을 갖춘 건강한 식단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 연구 195

이용현황보기

(2020) 세계 식량안보 및 영양 현황 : 가격 적정성 있는 건강한 식단을 위한 식품시스템 변혁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47518 IO 338.19 -21-3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이용가능
0002747519 IO 338.19 -21-3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