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 01 삶과 죽음을 함께 생각하다 | 김옥라 … 13 Lecture 02 죽음, 철학으로 다가가기 | 정진홍 … 25 Lecture 03 무교, 유교, 불교, 그리스도교의 죽음이해 | 김경재 … 43 Lecture 04 죽음은 가장 값진 삶의 선물 · 로고테라피적 관점에서 | 김미라 … 59 Lecture 05 한국인의 삶과 죽음에 관한 세계관 | 최준식 … 75
PART2 상실의 지혜, 생애 주기별 죽음교육 〉〉어린이·청소년·성인·노년·생애 말
Lecture 06 어린이 죽음이해와 돌봄 | 류경숙 … 111 Lecture 07 청소년기 죽음교육 | 강선보 … 129 Lecture 08 중년의 죽음이해와 새 판 짜기 | 이민선 … 147 Lecture 09 노년기 죽음준비교육 | 이기숙 … 164 Lecture 10 죽음 과정에서 호스피스 필요성 | 정극규 … 183
PART3 웰다잉, 죽음을 준비하는 다양한 통로 〉〉제도·법률·문화·예술
Lecture 11 존엄한 죽음과 연명의료결정 제도 | 이윤성 … 201 Lecture 12 유언과 상속의 법률 효과 | 신현호 … 218 Lecture 13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죽음 이미지 | 박영택 … 230 Lecture 14 죽음은 문인가, 벽인가? | 정현채 … 245 Lecture 15 죽지 않으면 행복할까? · 영화와 죽음 | 구미정 … 262
PART4 죽음은 삶에 대한 학습, 돌봄의 기록 〉〉상실·애도·용서·자살·의례
Lecture 16 죽음의 신체적 증상과 돌봄 | 김문실 … 279 Lecture 17 상실과 애도상담 | 윤득형 … 299 Lecture 18 죽음 이후 용서와 회복 | 박순 … 322 Lecture 19 생명의 소중함과 자살예방 | 장진원 … 342 Lecture 20 누구를 향한 의례인가? · 장례와 추모 | 전병식 … 364
이용현황보기
죽음준비교육 20강 : 삶이 행복해지는 죽음이해, 돌봄에 대한 가르침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48233
155.937 -2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48234
155.937 -2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77349
155.937 -21-3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죽음준비교육의 표준을 세우다! 알폰스 디켄 박사의 열다섯 가지 목표를 바탕으로.
죽음교육은 삶의 교육, 이에 관한 20가지 주제의 표준 강의안 어떻게 죽음을 바라볼 것인가, 생애 주기별 죽음 교육, 죽음을 준비하는 다양한 통로들에 대해 소개하고, 상실과 애도, 용서와 회복에 이르는 전 과정을 총제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학문적이며 실제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20명의 저자들은 죽음준비교육을 길게 20년, 또는 여러 해 동안 강의하였으며, 자신의 학문 분야에서 죽음을 연구한 학자이거나 관련 영역의 활동가들이다. 한국 사회의 죽음 문화가 다양한 관점으로 인식되고 변화하는 동안 깊이 있는 담론을 제시하였다. 미래 시대를 내다보며, 알폰스 디켄 박사의 죽음준비교육 목표가 기준이 되다. 30년 전 창립 초기부터 죽음 문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를 거듭한 삶과죽음을생각하는회의 결실이자 매듭인 이 책은, 죽음과 종교, 법률, 슬픔치유 상담과 돌봄, 임종과 호스피스, 존엄한 죽음, 장례문화 등이 집필된 기초자료로서 알폰스 디켄 박사의 교육 목표가 바탕이 되었으며, 현대 사회에 필요한 삶과 죽음의 주제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펼쳐나가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책속에서
[P.24] 인간도 일생 동안 수없는 변화를 겪는다. 마지막 변화가 죽음이다. 나는 강원도 시골에서 자라면서 누에를 길러 본 경험이 있다. 누에가 네 번 자고 성충이 된 다음에 스스로 자기 입에서 나오는 실로 고치를 만든 후 그 속에 번데기가 되어 죽는다. 그리고 어느 날 나비로 변화하여 고치를 열고 날아 나온다. 생명의 변화와 신비를 배운다.
[P. 42] 죽음에의 철학은 배워 지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에게 가장 정직한 사색의 결과로 저절로 고백되는 언어에 담기는 것이다. 죽음에의 철학적 접근은 ‘이것이 죽어야 하는 이유’라고 고백하는 그 내용에서, ‘이렇게 죽어야 한다’라고 고백하는 그 내용에서 완성되는 것이다. 이 일이 쉽지는 않다. 사랑을 고백하는 일이 그렇듯이. 그러나 그래서 우리는 죽음에의 철학적 접근을 쉬지 말아야 한다고 말해야 한다.
[P. 44] 죽음 현상이 현대 사회에서 자주 발생하는 일상적 사건들이 되고 죽음 과정과 사후 시신 처리가 지극히 사무적이고 기계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지면, 그 사람이나 가족과 문회 사회의 삶도 그렇게 된다. 죽음을 소외시키면 삶도 소외된다. 죽음을 순수한 생물학적이고 물질적 과정으로만 생각하면 삶도 그렇게 생각하게 되어 사회 전반이 약육강식의 동물왕국으로 변하게 된다. 한마디로 죽음에 대한 외면과 소외는 비인간화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