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수록 2016년 네이버만화발전기금의 재원으로 네이버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 저술되었음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스마트 미디어 시대, 웹툰의 미래를 보자 01뉴미디어 시대, 만화와 웹툰, 영화 콘텐츠 02웹툰의 진화와 확장성, 다양한 시각효과 03웹툰의 구성 요소와 웹툰 플랫폼의 특징 04웹툰의 상상력과 디지털 세대의 사유 방식 05트랜스미디어 영화 콘텐츠의 특성 06트랜스미디어 영화의 스토리텔링 07이용자 오감의 확장과 감성 기술 08영화 트랜스미디어의 성공과 실패 사례 09웹툰 기반 영화 트랜스미디어의 핵심 전략 10인공지능 웹툰, 트랜스미디어 영화의 미래 용
이용현황보기
웹툰의 영화 트랜스미디어 전략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1121
741.5 -21-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1122
741.5 -21-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웹툰의 진화, 영화 트랜스미디어를 위한 전략서
쌍천만 영화 <신의 함꼐>는 웹툰을 원천 소스로 한다. <신과 함꼐>뿐만이 아니다, <강철비>, <이웃사람> <내부자들> <은밀하게 위대하게> 등등, 웹툰을 원천 콘텐츠로 하는 영화들은 흥행에서 높은 성적을 내고 있다. 각각의 문법이 다른 웹툰과 영화가 하나의 콘텐츠로 진화하는 것, 바로 트랜스미디어다.
트랜스미디어는 하나의 콘텐츠가 미디어 간의 경계를 허물고 서로 결합되고 융합되는 현상이다. 원천 콘텐츠의 캐릭터,스토리, 세계관 등이 새로운 매체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변화와 융합이 이루어져야 가치 있는 콘텐츠로서 트랜스미디어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최근 공통된 세계관 안에서 웹툰과 영화가 동시에 제작되거나 이미 출시된 게임의 비하인드 세계관을 웹툰으로 연재 혹은 전개하는 트랜스미디어 작품들의 수가 늘면서 콘텐츠 시장에서의 가능성을 키워 가고 있다.
이 책은 성공적인 영화 제작을 위해서 웹툰을 어떻게 트랜스미디어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한 영화 콘텐츠 기획 방법론을 제시하는 전략 이론서다. 웹툰의 특성과 관련된 요소들과 웹툰 플랫폼의 특징과 웹툰을 영화화하기 위한 전략의 근간이 되는 영화 콘텐츠의 특성 및 스토리텔링을 살펴본다. 이어 영화 장르의 다양한 감성 요소들이 관객들에게 어떻게 오감을 자극하고 감동을 주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웹툰을 영화화한 성공과 실패 사례 분석을 통해 웹툰을 기반으로 한 영화 트랜스미디어 전략을 제시한다.
대학에서 영상 · 애니메이션을 가르치는 한편 애니메이션 제작을 꾸준히 해오고 있는 저자는 “이 책이 웹툰의 영화화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저력 있는 한국의 웹툰이 한국 영화의 가치를 한층 더 높여 줄 것”이란 기대를 피력했다.
책속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트랜스미디어 전략은 SNS 등 다양하게 분화하는 현재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최적화하기 위해 수용자가 개입할 수 있는 이야기 진입점을 확보하고 능동적 참여를 기반으로 이야기 공급자와 수용자가 상호작용을 통해 브랜드 세계관을 구축,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리했다. _ “스마트 미디어 시대, 웹툰의 미래를 보자” 중에서
웹툰과 첨단 기술의 융합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등장과 함께 본격화되었다. 스마트 기기의 등장 후 웹툰을 스마트폰으로 보는 독자가 증가하면서 스마트툰, 효과툰, 컷툰, 더빙툰, 무빙툰, AR툰, VR툰, 인터랙션툰 등 다양한 기술 융합형 웹툰들이 선보이고 있다. _ “02 웹툰의 진화와 확장성, 다양한 시각효과” 중에서
웹툰이 영화로 제작되는 경향이 점점 늘고 있다. 인기 있는 웹툰이 영화로 만들어지면 이슈가 되고 그것이 인기로 이어지는 것이 당연한 공식이 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웹툰이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되는 이유는 웹툰의 공감과 상상력의 매력에 그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_ “04 웹툰의 상상력과 디지털 세대의 사유 방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