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발간사 / 성현주 4
프롤로그(Prologue) : 삼국시대 일상이 담긴 마을을 만나다 7
삼국시대 이전 부산의 주거 10
Chapter 1. 농경마을, 가동 15
가동 마을 16
가동 마을의 전개 18
수혈주거지 20
고상식 건물지 30
저장수혈 35
도랑과 저습지 36
그 외 생활 시설들 38
무덤 40
Chapter 2. 공방마을, 고촌 43
고촌 마을 44
작업지 46
목주열 52
소성유구 56
수혈 57
고상식 건물지 58
지면식 건물지 60
도로 62
연못 63
Chapter 3. 관문마을, 두구동 65
두구동 마을 66
수혈주거지 70
고상식 건물지 86
구상유구 87
수혈 88
Chapter 4. 의례마을, 청강·대라 91
청강·대라 마을 92
청강·대라 마을의 전개 94
수혈주거지 96
수혈 102
지상식 건물지 104
무덤 112
Chapter 5. 이웃 마을들 115
동백리 유적 117
임기리 662번지 유적 122
연지동 유적 123
화명동 918-2번지 유적 124
지사동 유적 125
양산 명동 유적 126
논고(Essay) 129
부산지역 고대 주거의 변화양상 / 김나영 130
I. 머리말 130
II. 부산지역 고대 주거유적 현황 130
III. 부산지역 고대 주거의 변화양상 135
IV. 주변 지역과의 비교검토 147
V. 맺음말 157
부산의 삼국시대 마을 풍경 / 권귀향 160
I. 머리말 160
II. 삼국시대 마을의 입지 160
III. 삼국시대 마을의 공간 배치 163
IV. 삼국시대 마을의 경관 구조 170
V. 맺음말 171
부산지역 삼국시대 마을 유적 출토 토기의 검토 / 정주희 173
I. 머리말 173
II. 부산지역 삼국시대 마을 유적 출토 토기의 분류 173
III. 부산지역 삼국시대 마을 유적 출토 도질토기의 검토 179
IV. 맺음말 187
참고문헌(Reference) 189
판권기 19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54510 | 951.99509 -21-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754511 | 951.99509 -21-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