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참여 연구진

요약문

목차

Contents 13

Abstract 14

I. 서론 16

II. 연구방법 18

1. 한국산 군부류 및 삿갓조개류 종 목록 작성 18

2. 표본 확보 및 분류학적 재검토 18

가. 현장조사 및 표본 확보 18

나. 종 동정 및 분류학적 재검토 22

다. 종별 형태 형질의 이미지 정보 확보 22

라. 표본 제작 및 DB 입력 24

3. 종별 상세정보 작성 24

4. 유전정보 확보 및 유전적 다양성 분석 24

5.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계통연구 25

가. 종 선정 25

나. 분자생물학적 분석 25

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구조 분석 25

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계통분석 26

6. 분자계통지리학적 연구 26

가.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haplotype network 26

나. 집단의 유전적 구조 분석(FST 및 AMOVA 분석)[이미지참조] 27

다. 집단 사이의 gene flow 추정 27

라. Mismatch distribution 분석을 통한 집단의 historical demography 추정 27

마. Bayesian Sky Plot(BSP) 분석을 통한 집단의 유효집단크기(Nₑ) 변화 추정 27

III. 연구결과 28

1. 한국산 군부류 및 삿갓조개류 종 목록 작성 28

2. 표본 확보 및 분류학적 재검토 28

가. 현장조사 및 표본확보 결과 28

나. 종 동정 및 분류학적 재검토 결과 30

다. 종별 형태 형질의 이미지 정보 확보 32

3. 종별 상세정보 작성 33

4. 유전정보 확보 및 유전적 다양성 분석 71

5.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계통연구 74

가. 애기삿갓조개과 2종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특성 74

나. Nucleotide composition 77

다. Protein-coding genes(PCGs) 79

라. Transfer RNA와 ribosomal RNA genes 82

마. Non-coding region 85

바.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염기서열을 이용한 삿갓조개류 계통유연관계 86

6. 분자계통지리학적 연구 88

가.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haplotype network 결과 89

나. 집단의 유전적 구조 분석(FST 및 AMOVA 분석) 결과[이미지참조] 91

다. 집단 사이의 gene flow 추정결과 94

라. Mismatch distribution 분석을 통한 집단의 historical demography 추정결과 95

마. Bayesian Sky Plot(BSP) 분석을 통한 집단의 유효집단크기(Nₑ) 변화 추정결과 97

IV. 고찰 99

V. 결론 101

VI. 참고문헌 103

부록 109

부록 1. 한국산 군부류(Class Polyplacophora) 종 목록 109

부록 2. 한국산 삿갓조개류(Subclass Patellogastropoda) 종 목록 111

부록 3. 군부류 및 삿갓조개류 확증표본 목록 113

부록 4. 군부류 및 삿갓조개류 mtDNA cox1 및 16S 유전자 확보 목록 129

표목차

표 1. 해역별 조사 지점 20

표 2. 진주배말(Cellana grata)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유전자 정보 75

표 3. 흑색배말(Cellana nigrolineata)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유전자 정보 76

표 4. 진주배말(Cellana grata)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염기 조성 77

표 5. 흑색배말(Cellana nigrolineata)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염기 조성 78

표 6. 진주배말(Cellana grata)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PCG에 대한 codon... 79

표 7. 흑색배말(Cellana nigrolineata)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PCG에 대한... 81

표 8. 분자계통지리학적 연구에 사용된 지역 집단 정보 89

표 9. mtDNA cox1 및 16S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지역 집단별 유전적 다... 90

표 10. mtDNA cox1 및 16S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Acnathochitona cf. rubrolineata 집단 사이의 FST[이미지참조] 92

표 11. Acnathochitona cf. rubrolineata mtDNA cox1 및 16S 유전자 염... 93

표 12. 한국, 중국, 일본 그룹의 neutrality test(Tajima's D and Fu's Fs) 95

그림목차

그림 1. 종 확보를 위해 채집을 수행한 전국 53개 현장조사 지점 19

그림 2. 현장조사 19

그림 3. 확보된 표본에 대한 종의 동정 22

그림 4. 각판 이미지 23

그림 5. SEM 이미지 23

그림 6. 새롭게 발굴된 한국 미기록 속(Parachiton sp.) 1종 29

그림 7. 비늘흑색배말(C. mazatlandica) 문헌 인용 30

그림 8. 좀털군부(Acanthochitona achates) 35

그림 9. 좀털군부(Acanthochitona achates) 각판 36

그림 10. 좀털군부(Acanthochitona achates) SEM 이미지 37

그림 11. Reeve (1847b)에 의해 국내 최초 보고된 A. circellata 37

그림 12. 병돈군부(Acanthochitona byungdoni) 39

그림 13. 병돈군부(Acanthochitona byungdoni) 각판 40

그림 14. 병돈군부(Acanthochitona byungdoni) SEM 이미지 41

그림 15. 털군부(Acanthochitona defilippii) 43

그림 16. 털군부(Acanthochitona defilippii) 각판 44

그림 17. 털군부(Acanthochitona defilippii) SEM 이미지 45

그림 18. 애기털군부(Acanthochitona rubrolineata) 47

그림 19. 애기털군부(Acanthochitona rubrolineata) 각판 48

그림 20. 애기털군부(Acanthochitona rubrolineata) SEM 이미지 49

그림 21. Reeve(1847b)에 의해 국내 최초 보고된 A. scutigera 49

그림 22. Acanthochitona sp. A. 51

그림 23. Acanthochitona sp. A. 각판 52

그림 24. Acanthochitona sp. A. SEM 이미지 53

그림 25. Acanthochitona sp. B 55

그림 26. Acanthochitona sp. B. 각판 56

그림 27. Acanthochitona sp. B. SEM 이미지 57

그림 28. 옅은분홍군부(Leptoplax doederleini) 59

그림 29. 옅은분홍군부(Leptoplax doederleini) 각판 60

그림 30. 옅은분홍군부(Leptoplax doederleini) SEM 이미지 61

그림 31. 진주배말(Cellana grata) 패각 63

그림 32. 진주배말(Cellana grata) 64

그림 33. 진주배말(Cellana grata) radula 64

그림 34. 흑색배말(Cellana nigrolineata) 패각 66

그림 35. 흑색배말(Cellana nigrolineata) 67

그림 36. 흑색배말(Cellana nigrolineata) radula 67

그림 37. 애기삿갓조개(Cellana toreuma) 패각 69

그림 38. 애기삿갓조개(Cellana toreuma) 70

그림 39. 애기삿갓조개(Cellana toreuma) radula 70

그림 40. 가시군부과 mtDNA cox1 및 16S 유전자 계통분석 결과(NJ tree) 72

그림 41. 애기삿갓조개과 mtDNA cox1 및 16S 유전자 계통분석 결과(NJ tree) 73

그림 42.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유전자들의 상대적 위치 74

그림 43. 진주배말(Cellana grata) 미토콘드리아 tRNA의 2차 구조 83

그림 44. 흑색배말(Cellana nigrolineata) 미토콘드리아 tRNA의 2차 구조 84

그림 45. 삿갓조개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이용한 계통분석 결과 86

그림 46. 삿갓조개류 분류군의 미토콘드리아 gene arrangement pattern... 87

그림 47. 분자계통지리학적 연구에 사용된 북서태평양 지역 집단 88

그림 48. mtDNA cox1 및 16S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91

그림 49. MIGRATE-N v. 3.6을 이용한 Acnathochitona cf. rubrolineata 집... 94

그림 50. Mismatch distribution 분석을 통한 집단의 demographic history... 96

그림 51. BSP 분석을 통한 집단의 demographic history 추정결과 97

그림 52. Acanthochitona cf. rubrolineata에 대한 분자계통지리학적 연구... 98

이용현황보기

한국산 연체동물의 분류학적 연구(1차년도) = Classification of Korean mollusca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4540 594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4541 594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