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참여 연구진
요약문
목차
Abstract 10
I. 서론 11
II. 연구방법 13
1. 민강도래상과(Nemouroidea)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13
가. 민강도래상과 표본 현황 파악 및 국내 조사를 통한 확보 13
나. 유충 기관아가미, 성충 생식기 등 주요 외부형질 분석 13
다. 국내 민강도래상과의 DNA 범용 마커인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염기서열 확보·분석 14
2. 흰배민강도래과(Capniidae)의 유전정보 구축 15
III. 연구결과 16
1. 민강도래상과(Nemouroidea)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16
가. 민강도래상과 표본 현황 파악 및 국내 조사를 통한 확보 16
나. 유충 기관아가미, 성충의 생식기 등 주요 외부형질 분석 22
다. 국내 민강도래상과의 DNA 범용 마커인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염기서열 확보·분석 33
2. 흰배민강도래과(Capniidae)의 유전정보 구축 36
IV. 고찰 39
1. 민강도래상과(Nemouroidea)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39
2. 민강도래상과와 국내 꼬마강도래과(Leutridae)의 COI 유전자 기반 계통분석 및 흰배민강도래과(Capniidae)의 유전정보 구축 39
V. 참고문헌 41
부록. 강도래목 바코드 정보 43
그림 1. 국립생물자원관과 고려대학교 곤충표본실에 소장된 표본 13
그림 2.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강도래목 채집 13
그림 3. 오대산국립공원의 조사지점 19
그림 4. 치악산국립공원의 조사지점 19
그림 5. 가리왕산자연휴양림의 조사지점 20
그림 6. 눈 위를 기어 다니는 흰배민강도래과 성충 22
그림 7. 흰배민강도래과 서식처 23
그림 8. 꼬마강도래과 서식처 24
그림 9. 민강도래과 서식처 25
그림 10. 메추리강도래류 유충(좌)과 서식처(우) 26
그림 11. Terminalia of Korean Luectridae 31
그림 12. Terminalia of Korean Perlomyia 32
그림 13. 민강도래상과(Nemouroidea)의 계통수(Neighbor-Joining tree) 35
그림 14. 꼬마강도래과(Leuctridae) 계통수(Neighbor-Joining tree)와 외부형질의 진화적 유연관계 36
그림 15. 꼬리민강도래(Eucapnopsis quattuorsegmentata)(좌)와 짧은꼬리민강도래(E. stigmata)(우)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지도 37
그림 16. 뿔민강도래(Capnia sidimiensis)(좌), 애강도래(Paracapnia recta)(우)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지도 38
그림 17. 흰배민강도래과(Capniidae)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중 tRNA 시퀀스 정보 3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54550 | 595.735 -2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754551 | 595.735 -2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