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참여 연구진
요약문
목차
Contents 12
Abstract 13
I. 서론 15
II. 연구방법 17
1. 조사지역 17
2. 조사방법 18
가. 퇴적암지대: 경상누층군 일대 18
나. 현무암지대: 애월곶자왈 21
다. 서울시 관속식물상 조사 22
라. 울산시 관속식물상 조사 22
마. 충청남도 관속식물상 조사 22
바. 충청북도 관속식물상 조사 22
사. 경상남도 관속식물상 조사 23
III. 연구결과 25
1.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식물다양성 연구 25
가. 지질 25
나. 관속식물상 32
다. 식생 41
2.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식물다양성 연구 51
가. 관속식물상 51
3. 서울시 식물다양성 연구 56
가. 관속식물상 56
4. 울산시 식물다양성 연구 62
가. 관속식물상 62
5. 충청남도 식물다양성 연구 67
가. 관속식물상 67
6. 충청북도 식물다양성 연구 75
가. 관속식물상 75
7. 경상남도 식물다양성 연구 83
가. 관속식물상 83
8. 20년도 발굴된 신종 및 미기록종 94
가. 신종 94
나. 미기록종 94
IV. 결론 98
V. 참고문헌 104
그림 1. 2020년 특이생육지의 조사지역. 17
그림 2.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식생 조사지역. 20
그림 3.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식물다양성 조사지역. 21
그림 4. 경상누층군의 구분 및 지층 분포도. 25
그림 5.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지질과 지형. 27
그림 6.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지질도. 28
그림 7. 경상누층군 퇴적층의 층서 대비. 31
그림 8.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주요 식물. 33
그림 9.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Climate diagram. 41
그림 10.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현존식생도. 44
그림 11.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산림 식생. 46
그림 12.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소나무군락 단면도. 48
그림 13.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굴참나무군락 단면도. 48
그림 14.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신갈나무군락 단면도. 49
그림 15.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주요 군락 층위 분석. 49
그림 16.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주요 식물. 52
그림 17. 서울시의 주요 식물. 57
그림 18. 20년도 발굴된 신종 및 미기록종. 95
그림 19. 왕찔레나무(Rosa laevigata)의 주요 형태형질 도해. 96
그림 20. 좀갯드렁새(Diaplachne fusca subsp. uninervia)의 주요 형태형질 도해. 9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54570 | 581.951 -2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754571 | 581.951 -2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