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참여 연구진

요약문

목차

Contents 12

Abstract 13

I. 서론 15

II. 연구방법 17

1. 조사지역 17

2. 조사방법 18

가. 퇴적암지대: 경상누층군 일대 18

나. 현무암지대: 애월곶자왈 21

다. 서울시 관속식물상 조사 22

라. 울산시 관속식물상 조사 22

마. 충청남도 관속식물상 조사 22

바. 충청북도 관속식물상 조사 22

사. 경상남도 관속식물상 조사 23

III. 연구결과 25

1.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식물다양성 연구 25

가. 지질 25

나. 관속식물상 32

다. 식생 41

2.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식물다양성 연구 51

가. 관속식물상 51

3. 서울시 식물다양성 연구 56

가. 관속식물상 56

4. 울산시 식물다양성 연구 62

가. 관속식물상 62

5. 충청남도 식물다양성 연구 67

가. 관속식물상 67

6. 충청북도 식물다양성 연구 75

가. 관속식물상 75

7. 경상남도 식물다양성 연구 83

가. 관속식물상 83

8. 20년도 발굴된 신종 및 미기록종 94

가. 신종 94

나. 미기록종 94

IV. 결론 98

V. 참고문헌 104

표목차

표 1.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식물다양성 조사일정 18

표 2. 퇴적암지대(무이산)의 식생 조사일정 20

표 3.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식물다양성 조사일정 21

표 4. 서울시 식물다양성 조사일정 23

표 5. 울산시 식물다양성 조사일정 23

표 6. 충청남도 식물다양성 조사일정 24

표 7. 충청북도 식물다양성 조사일정 24

표 8. 경상남도 식물다양성 조사일정 24

표 9.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관속식물 현황 32

표 10.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적색목록식물 34

표 11.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35

표 12.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한반도 고유종 37

표 13.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외래식물 37

표 14.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기상개황 41

표 15.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토양 이화학적 분석 42

표 16.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토양 중금속 분석 42

표 17.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상관 식생 현황 45

표 18.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관속식물 현황 51

표 19.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적색목록식물 53

표 20.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53

표 21.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한반도 고유종 54

표 22.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외래식물 54

표 23. 서울시의 관속식물 현황 56

표 24. 서울시의 적색목록식물 58

표 25. 서울시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59

표 26. 서울시의 한반도 고유종 59

표 27. 서울시의 외래식물 60

표 28. 울산시의 관속식물 현황 62

표 29. 울산시의 적색목록식물 63

표 30. 울산시의 한반도 고유종 64

표 31. 울산시의 외래식물 65

표 32. 충청남도의 관속식물 현황 67

표 33. 충청남도의 적색목록식물 68

표 34. 충청남도의 한반도 고유종 70

표 35. 충청남도의 외래식물 71

표 36. 충청북도의 관속식물 현황 75

표 37. 충청북도의 적색목록식물 76

표 38. 충청북도의 한반도 고유종 78

표 39. 충청북도의 외래식물 79

표 40. 경상남도의 관속식물 현황 83

표 41. 경상남도의 적색목록식물 84

표 42. 경상남도의 한반도 고유종 87

표 43. 경상남도의 외래식물 89

그림목차

그림 1. 2020년 특이생육지의 조사지역. 17

그림 2.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식생 조사지역. 20

그림 3.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식물다양성 조사지역. 21

그림 4. 경상누층군의 구분 및 지층 분포도. 25

그림 5.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지질과 지형. 27

그림 6.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지질도. 28

그림 7. 경상누층군 퇴적층의 층서 대비. 31

그림 8. 퇴적암지대(경상누층군)의 주요 식물. 33

그림 9.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Climate diagram. 41

그림 10.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현존식생도. 44

그림 11.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산림 식생. 46

그림 12.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소나무군락 단면도. 48

그림 13.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굴참나무군락 단면도. 48

그림 14.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신갈나무군락 단면도. 49

그림 15. 퇴적암지대(무이산 일대)의 주요 군락 층위 분석. 49

그림 16. 현무암지대(애월곶자왈)의 주요 식물. 52

그림 17. 서울시의 주요 식물. 57

그림 18. 20년도 발굴된 신종 및 미기록종. 95

그림 19. 왕찔레나무(Rosa laevigata)의 주요 형태형질 도해. 96

그림 20. 좀갯드렁새(Diaplachne fusca subsp. uninervia)의 주요 형태형질 도해. 97

이용현황보기

준분류학자와 함께하는 식물다양성 조사 연구(5차년도) = Plant diversity research by the regional parataxonomist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4570 581.951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4571 581.951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