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수록 2016년 네이버만화발전기금의 재원으로 네이버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 저술되었음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이용현황보기
콘텐츠 팬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5621
741.5 -21-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5622
741.5 -21-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팬덤의 가치와 산업화하는 '콘텐츠 팬덤'
흔히 팬덤이라고 하면 아이돌 스타의 팬덤이 연상된다. 예전에는 오빠부대, 빠순이, 오타쿠 등으로 불리며 부정적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방탄소년단(BTS)의 팬덤 아미(ARMY)의 활동을 계기로 팬덤은 선한 영향력의 대명사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타 팬덤을 넘어 콘텐츠 팬덤이 주목받고 있다. 말 그대로 만화나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 특정 콘텐츠에 열광하는 팬덤이다. 어떤 분야에 몰두해 전문가 이상의 열정과 흥미를 가지고 있는 ‘덕후’와 비슷하다. 콘텐츠 팬덤은 자신이 지지하는 것에 대해 즐기는 방법을 아는 소비자로 인식된다. 게다가 소비 방법이 진화함에 따라 이들의 소비는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면서 새로운 문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 책은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콘텐츠 팬덤, 특히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팬덤과 키덜트적 성향과 연관된 팬덤, 즉 오타쿠 문화와 동인지, 건프라, 코스프레, 성우 팬덤, 버추얼 캐릭터, 니코니코동화, 브릭 팬덤을 조명한다. 이들 팬덤이 시작된 계기와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고, 팬덤을 통해서 형성된 사회·문화적 가치를 진단한다. 저자는 “콘텐츠 팬덤을 형성하고 지속시키는 다양한 현상의 분석을 통해 콘텐츠 소비자들이 어떻게 팬덤화하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를 통해 콘텐츠 팬덤의 산업화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책속에서
팬덤의 기본은 ‘마음 가는 대로’와 ‘무조건’이다. ‘마음 가는 대로’와 ‘무조건’에 대한 행동 원리는 설명하기 어려운 마음의 상태다. 연애의 대상을 왜 사랑하느냐고 물으면 ‘그냥’이라고 답하는 것과 같다. _ “팬덤에 대한 해석!” 중에서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취합하기 쉬워지면서 오타쿠의 정보 구축은 더욱 견고해졌다. 게다가 인터넷 커뮤니티로 일반인이 유입되는 등, 같은 분야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 늘어나며 일반인의 오타쿠화(化)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_ “01 오타쿠” 중에서
동인지는 취미나 소비 취향 등이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서 자비로 출판하는 잡지를 일컫는 용어다. 동인지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작되는 2차 창작물이다. 창작물의 확대라는 시각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지적재산권 보호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견해도 있다. _ “03 동인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