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자산어보 : 오세영 역사소설. 1-2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6221 811.33 -21-39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6222 811.33 -21-39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6223 811.33 -21-39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6224 811.33 -21-39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14977 811.33 -21-395 v.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B000014978 811.33 -21-395 v.2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영화 <자산어보> 개봉 기념 출간!
정약전과 섬 소년 창대의 나이와 신분을 넘어선 우정!
그들이 흑산도에서 함께 펼치는 실사구시의 꿈


이 책 <자산어보>는 정치 경제적으로 격동의 시기였던 18, 19세기 조선을 배경으로, 1801년 신유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된 정약전이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를 만드는 과정과 어민들의 삶 속으로 뛰어들어 함께 문제를 풀어나가는 이야기가 펼쳐지는 소설이다.
순조 1년, 신유박해로 절해고도 흑산도로 유배된 정약전은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한양에서 다 피우지 못한 ‘실학’을 펼칠 수 있으리란 희망을 안고 섬사람들의 삶 속으로 뛰어들면서 그곳에서 어보를 쓰기로 결심한다. 정약전은 바다를 잘 아는 흑산도 청년 어부 창대를 만나 어보를 쓰는 데 큰 도움을 얻으며 나이와 신분을 뛰어넘어 서로에게 스승이자 벗이 된다.

소설 『자산어보』에서는 어지럽고 지난했던 조선후기 사회상이 농민과 어민들의 삶을 통해 드러난다. 어부와 잠녀들의 일상사나 표류민들의 애환, 홍경래의 난으로 봉기한 농민들과 그로 인해 쫓기는 잔당의 이야기 등이 그것이다. 또 옥패의 친구인 이국영과 허회영의 결혼을 앞두고 죽은 줄만 알고 있던 고상운(이국영의 남편)이 살아돌아온 것이나 노비의 신분으로 은인과 정인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이야기 등은 남성우위 및 봉건제 신분 사회의 한계와 특성을 담담하게 그리고 있다. 한편 서원의 동주(원장)가 서민들이 공부하던 사촌서당의 맥을 끊기 위해 약전과 최종문(약전의 제자)을 배척하고 고사시키려 했던 모습은 조정의 비호 아래 외딴섬에서도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던 서원의 행태와 조개껍질 속으로만 숨으려 했던 조선후기 보수 지배계층의 단순무지함이 결국 근대사회 우리 국운을 몰아갔음을 암시한다.

격동기 조선사회의 이면을 주된 배경으로 하면서 탄탄한 구성과 흥미진진한 에피소드의 결합을 통해 감동적인 한 편의 드라마를 보여주는 《자산어보》는 동시에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고 신념을 지키는 실천하는 지식인인 정약전을 통해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지식인과 리더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진정한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한
조선 최고의 실학자 정약전의 삶!


19세기 초반의 조선은 커다란 변화의 물결에 직면해 있었다.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오늘날의 재벌에 해당하는 사상도고가 등장했다. 돈만 있으면 정승재상이 부럽지 않은 세상이 된 것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재물은 한쪽으로 쏠리게 마련이다. 빈익빈 부익부로 백성들은 더욱 빈곤해졌다. 개혁이 필요했다. 재벌이 등장하면 소상인들이 몰락하게 마련이다. 그것을 막기 위해서 독점금지법을 정하면 재벌들은 다시 금력으로 빠져나갈 구멍을 찾는다. 지금이나 이백년 전의 조선이나 마찬가지다. 소설 《자산어보》는 개혁을 추진하다 이른바 신유박해로 노론 벽파에게 밀려서 흑산도로 유배된 정약전이 그곳에서 환경에 순응하고 시대와 저항하며 새로운 삶을 개척하는 과정을 한 편의 드라마를 보듯 생생하고 밀도 있게 그리고 있다.

대장정의 드라마와 같은 이야기가 진행되는 중에도 정약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물고기 사전인 《자산어보》와 《표류기》를 저술하고 서당인 복성재(復性齋)를 설립하여 학동들을 가르치면서 정약전이 그토록 바라던 실사구시와 애민사상을 직접 실천한다. 이처럼 《자산어보》는 이러한 사실들을 소재로 19세기 초의 조선을 시대배경으로 해서 이야기를 꾸민 역사소설로 어둠 속에서 희망의 빛을 찾는 소설이다.

격변의 시대를 살아 간 조선 최고의 실학자 정약전
흑산도에서 실사구시 실학의 꿈을 펼치다


소설 《자산어보》는 정치 경제적으로 격동의 시기였던 18, 19세기 조선을 배경으로 한다. 1801년 신유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된 정약전이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를 만드는 과정과 어민들의 삶 속으로 뛰어들어 함께 문제를 풀어나가는 이야기가 펼쳐지는 소설이다.

이 당시 양반 지배계층은 천주학과 서학을 비롯해 밀려오는 서양 문명의 물결 앞에서 공리공론과 당파싸움에만 몰두하여 서민의 삶을 돌보지 않았다. 이후 19, 20세기, 나라 안팎으로 커다란 변화의 바람이 불던 이 시기에 천주학을 신봉했다는 이유로 서해의 외딴섬으로 유배된 실학자 정약전은 나라와 백성들을 위해 유배지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고뇌한다. 그리하여 바닷가 어민들의 목숨이 걸린 상황을 맞닥뜨리며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다.

소설 《자산어보》에서는 어지럽고 지난했던 조선후기 사회상이 농민과 어민들의 삶을 통해 드러난다. 어부와 잠녀들의 일상사나 표류민들의 애환, 홍경래의 난으로 봉기한 농민들과 그로 인해 쫓기는 잔당의 이야기 등이 그것이다. 또 옥패의 친구인 이국영과 허회영의 결혼을 앞두고 죽은 줄만 알고 있던 고상운(이국영의 남편)이 살아돌아온 것이나 노비의 신분으로 은인과 정인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이야기 등은 남성우위 및 봉건제 신분 사회의 한계와 특성을 담담하게 그리고 있다. 한편 서원의 동주(원장)가 서민들이 공부하던 사촌서당의 맥을 끊기 위해 약전과 최종문(약전의 제자)을 배척하고 고사시키려 했던 모습은 조정의 비호 아래 외딴섬에서도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던 서원의 행태와 조개껍질 속으로만 숨으려 했던 조선후기 보수 지배계층의 단순무지함이 결국 근대사회 우리 국운을 몰아갔음을 암시한다.
소설 《자산어보》는 격동기 조선사회의 이면을 주된 배경으로 하면서 탄탄한 구성과 흥미진진한 에피소드의 결합을 통해 감동적인 한 편의 드라마를 보여준다. 동시에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고 신념을 지키는 실천하는 지식인인 정약전을 통해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지식인과 리더의 모습을 반영한다.
희귀한 소재로 우리에게 필요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전하는 소설 《자산어보》는 역사소설의 품격을 한 단계 더 높일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39~40] 약전은 한 장 한 장 늘어 가는 초들을 살피며 아이처럼 기뻐했다. 그리고 보람을 느꼈다. 애초에는 큰 기대를 않고 시작한 일이지만 어보의 초가 하나둘씩 늘어나면서 약전은 점점 물고기에게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바다의 신비로움에 빨려 들어갔다.
창대는 초를 이리저리 넘기며 혹시 사실과 다르게 기재된 것은 없는지 꼼꼼히 살폈다. 창대는 웬만한 책은 별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는 데다 매사에 성실해서 약전은 창대로부터 큰 도움을 얻고 있었다.
“소인은 매일 보면서도 그저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는데 선비님께서 작은 것 하나도 놓치지 않으시는 데 놀랐습니다.”
창대가 초를 넘기며 감탄을 했다.
“그런데 여기 편어(扁魚 병어)는 머리가 작고 목이 움츠러들었으며 꼬리가 없다고 적혀 있는데 편어에게는 작기는 하지만 꼬리가 있습니다. 아마 제가 꼬리가 떨어져 나간 놈을 잡아 온 모양인데 다음에 제대로 된 놈을 다시 잡아 오겠습니다.”
“그러냐? 그렇다면 고쳐 적어야겠구나.”
약전은 즉시 붓을 집어 들었다. 이렇듯 약전은 매사를 창대와 의논하고 있었다.
“뭐니 뭐니 해도 흑산도에서는 조기와 홍어가 제일인데 아직 철이 되질 않아서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홍어 큰 놈은 넓이가 육칠 자나 되는데 그 넓적한 놈이 바다 밑을 유유히 헤치며 나가는 모습은 정말 장관입니다.”
[P. 28~29] 창대는 계속해서 온갖 종류의 물고기를 잡아 올렸고 약전은 창대가 잡아 온 물고기를 문헌과 비교해 가며 특성과 습성을 빠짐없이 기록해 나갔다.
“앞으로는 어류 외에도 해조류와 조개류도 다룰 것이니 빠뜨리지 말고 채집하거라.”
“날이 풀리는 대로 물속으로 들어갈 생각입니다. 그런 것들은 물질을 하면 많이 잡을 수 있습니다.”
창대는 신이 났다. 한양 선비로부터 인정을 받은 것이다. 물질이라면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고 있다. 창대는 어보의 초가 한 장 한 장 늘어나는 것을 보며 약전 못지않게 뿌듯했다.
더구나 물눈을 얻은 마당이다. 물눈을 끼면 물속이 바깥세상처럼 환하게 보인다고 하는데 얼마나 멀리까지 보일까. 창대는 당장이라도 물질을 하고 싶어서 몸이 근질근질했다.
약전은 기다렸다가 준치를 먹고 가라고 했지만 창대는 자리에서 일어섰다. 어머니가 기다리고 계신다. 그리고 아무리 한양 선비가 허물없이 대해 주더라도 지킬 것은 지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