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문

1부 교안 이해하기

01 교안의 개념
02 교안의 형식
03 수업 단계별 작성 요령
04 교안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
05 교안의 종류
06 교안의 구성

2부 교안 지도 사례

01 A/V + -고
02 V/A + -아서/어서
03 ㄹ 탈락
04 V+ -아/어 보다
05 V + -(으)려면
06 V+ -(으)ㄹ래요?
07 A + -아지다/어지다
08 V + -아/어도 되다
09 V + -(으)면 안 되다
10 A + -(으)ㄴ가 봐요, V + -나 봐요
11 V + -이, 히, 리, 기-
12 V + -잖아요
13 V + -았던/었던

3부 교안 작성 연습

01 V + -(으)러 가다/오다
02 N + 도
03 A/V + -아서/어서(수업 tip)
04 A/V + -지요?(수업 tip)
05 V + -(으)려고 하다
06 V + -(으)면
07 V + -(으)면서
08 V + -아/어 보다
09 A/V + -(으)니까
10 V + -다가
11 V + -기로 하다
12 V + -게 되다
13 V + -는 대신(에)
14 A + -다고 하다 / V + -ㄴ/는다고 하다
15 V + -느라고
16 V + -(으)ㄹ까 하다
17 V + -더니
18 A/V + -아야/어야 할 텐데
19 V + -는 바람에
20 A/V + -더라고요

이용현황보기

(한국어 초급1에서 중급1 수준의 33개 문법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교안작성 연습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9826 411.07 -2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9827 411.07 -2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국 사람이면 누구나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다고 쉽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한국어와 차이가 있는 문법 규범을 가진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수업 교안을 작성하는 일은 한국어 수업의 도입부터 정리까지의 과정을 미리 연습할 수 있게 해 주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이 교재는 교안 작성에 익숙하지 않은 예비 교사들에게 친절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 홍윤기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03 수업 단계별 작성 요령

1) 도입
· 목표 문법이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해야 한다.
· 몇 가지 상황을 미리 계획하는 것이 좋다. 한 가지만 준비했을 때 이 도입을 실패하면 매우 당황할 수 있고, 준비한 도입이 모든 대상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 상호작용을 통해 목표 문법을 노출해야 한다.

2) 제시
· 도입에서 학생들과 상호작용한 예들을 통해 의미를 추측해 보게 한다.
· 목표 문법을 제시할 때는 반드시 결합 정보를 제시(예: A/V + -(으)니까, N +(이)니까)해야 한다.
· 목표 문법의 사용 정보에는 의미, 형태, 제약 사항, (배운 문법에 한해) 비교 문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 명시적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목표 문법을 최대한 간결한 형태로 보여주고 설명 시에는 단어 및 문법 통제에 주의해야 한다.

3) 연습
· 목표 문법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연습이 필요하다.
· 연습 유형은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의 순서대로 세 가지 유형 정도를 준비(난이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

4) 활용
· 상황을 제시하여 목표 문법이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줄 수 있는 통합 활동을 계획해야 한다.
· 목표 문법의 유창성 향상을 위한 단계이므로 실제 상황이 고려된 활동 위주로 준비한다. 예를 들어 서로의 상황을 질문하고 들은 후 메모해서 발표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말하기’, ‘듣기’, ‘쓰기’의 통합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

5) 정리
· 목표 문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거나 목표 문법을 사용한 마무리 발화를 한다.
· 목표 문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확인한다.

2장은 실제 교육실습 과목을 진행하며 교육실습생분들이 제출한 교안을 토대로 만들어졌습니다. 원본 사용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내용이나 그림의 출처가 분명하지 않거나 상업적 이용이 제한된 경우에는 그림 변경에 따라 일부 내용이 교체되거나 재구성되었습니다. 세 번의 피드백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수정을 요청드렸지만 최종 교안까지도 맞춤법 오류, 띄어쓰기 오류, 문장부호 미반영이 수정되지 않은 부분은 이 역시 원본 그대로를 사용하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같은 오류를 반복하고 계시니, 교안을 보시면서 가독성 부분에 대해 생각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교육실습생분들의 교안이 교재에 사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사전 허가를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