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책을 펴내며

제1부 사랑한다는 것은
석양
어느 날
양평 해장국
실언
폭우
들꽃
일상에서

나무들
습지(濕地)에서
파랗게 물들고 싶을 때
대춘(待春)
곤지암에서
외줄에 매달린 거미
꽃은 무엇을 보고 피는가
신호등
벌레도 흉 쓴다
상자(箱子)
추전역(杻田驛)에서
빛의 반란
늙은 강아지
낙조(落照)
무제(無題)
추경산조(秋景散調)
기도
참새
낙엽을 쓸면서
가을이 내게로
병실에서 1
병실에서 2
사랑한다는 것은
할머니 손
당신에게로
옛일 생각나
사연
아무것도 모르고 태어나
모든 것은 굴러간다
미루적대다
세월 네월
이미 그 자리인 것처럼
춘일우음(春日偶吟)

제2부 사랑한다는 것은
어머니 등에서 울고 싶다
신지도
부부
축배
나 가리라
눈길에서
토란
풍경이 좋았다
산비
보푸라기
독작(獨酌)
봄날
갈매기 떼
풀꽃
싸락눈
나목(裸木)
자음(自吟)
풀들에게
낙엽
그 무렵
행중(行中)
이 가을에
아침 호숫가에서


너에게 가련다
산행(山行)
이 세상 살면서

제3부 사랑한다는 것은
저자의 일기

이용현황보기

사랑한다는 것은 : 최기섭 유고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73559 811.15 -21-114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73560 811.15 -21-114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살아간다는 것은, 사랑한다는 것은’
저자의 시적 세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일상의 관찰과 표현으로 사소한 벌레에서부터 사람들의 모습이나 행동 하나하나가 저자의 관심을 끌어 이를 시로 표현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저자의 어린 시절과 연관된 닿을 수 없는 그리움의 표현이다. 저자는 어린 시절의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희미한 기억을 토대로 많은 시를 남기고 있으며, 제3부의 저자의 일기에서도 할머니의 이미지를 떠올리려 애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떤 기교나 수사가 아닌 저자의 시적 감성을 그대로 드러낸 작품과 함께 제3부에 실린 저자의 일기는 전문적인 문학수업을 거치지 않았지만, 유년 시절부터 꿈틀대는 저자의 문학적 감수성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