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퇴사 연습하기_낙장불입의 원칙 16 사직서는 어디서 다운로드하나요? 23 그렇다면… 남은 할부는 얼마? 29 퇴사 후 계획을 세워보자 35 실은 나도 바람피운 적 있다 41 악으로 깡으로 1년만 버티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47 자기계발의 끝판왕, 글쓰기 50 밤 11시 그리고 새벽 1시
2장. 상사는 선택할 수 없다_또라이 질량보존의 법칙 54 힘들다면 빨리 백기를 들자 57 최고의 반면교사 59 상사에게 산뜻하게 복수하는 법 64 내가 싫어하는 상사도 누군가의 가족이며 부모다 68 성질머리와 말잘못
3장. 나만의 소소한 행복 만들기_일과 삶의 불가분적 법칙 74 ‘존버’해야 할까 ‘존~버’해야 할까 81 긍정 마인드는 회사생활에서 특히 빛을 발한다 87 나만의 휴식 계획표_살기 위한, 나만의 근태 기준 재정비 92 퇴근의 마무리는 운동이다 97 누구는 조기퇴사를 위해 적금을 하고, 누구는 현재를 위해 즐긴다 103 복지 혜택의 큰 행복
4장. 회사에서 성장하다_상호보존의 법칙 108 회사는 배움의 장소다 115 누구도 이 회사에 당신 등을 떠밀지 않았다_내가 선택한 회사, 후회하지 말자 121 그녀는 의리 빼면 시체랍니다 126 ‘결혼’은 개인 성장의 지름길이다 131 진정한 어른으로의 도약 134 아이로 인해 다시 보게 된 세상 138 힘들지 않은 육아를 위해 필요한 것 144 사춘기도, 오춘기도 회사에서 겪었다
감사의 글 150
이용현황보기
17년째 버티고 있는 중입니다 : 지금 다니는 회사, 퇴사할까 '존버'할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80754
650.1 -21-19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80755
650.1 -21-19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91175
650.1 -21-19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2791176
650.1 -21-19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B000023887
650.1 -21-193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코로나 시대, 직장인들은 어떻게 버텨야 할까
셀프헬프 시리즈 16번째 책.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팬데믹이 휩쓸고 지나간 2020년. 그리고 2021년 새해가 밝았다. 무엇 하나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월급쟁이 회사원들은 어떻게 버텨야 할 것인가? 여기, 한 직장에 17년째 다니고 있는 중인 ‘존버 언니’ 이명혜 저자가 코로나 시대에 많은 갈등을 겪고 있을 사회초년생들을 위해 펜을 들었다. 저자가 말하는 ‘존버’는 일반적으로 이야기되는 뜻과는 달리 ‘나와 회사를 존중하며 버티는 것’을 뜻한다. 그 또한 주변 사람들이 회사생활을 버티지 못하고 그만둘 때 남몰래 고민하며 밤을 새거나 홀로 눈물짓기도 했지만, 그 때마다 남아서 버티며 자신만의 해답을 찾았다고 말한다.
‘존중하며 버티기’ ‘존버 언니’는 이야기한다. 이 책은 성공한 사람이 쓴 책도 아니고 유명한 사람이 쓴 책도 아니며,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이나 누구보다 빨리 승진할 수 있는 방법을 담은 책도 아니라고. 하지만 누구보다 평범했던 자신이 금융회사에서 근 20년 가까이 버텼던 이유는 분명히 담겨 있다고. 그 이유는 바로 ‘존중하며 버티기’라는 단어 안에 오롯이 들어 있다고 말이다.
누군가는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 회사에서 성장할 수 있다니, 회사에서 존중하며 버틸 수 있다니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하지만 ‘존버 언니’는 이렇게 응수한다. 버텨보지 않은 사람은 그 기분을 알 수 없을 거라고. <17년째 버티고 있는 중입니다>는 우리의 인생에서 회사가 어떤 존재가 될 수 있는지, 우리가 버텨야 하는 진정한 가치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는 책이다. 동시에 퇴사와 ‘존버’의 기로에 선 사회초년생들에게 힘들고 버거운 날들이 이어져도 우리는 함께 견디며 잘 버틸 수 있다는, 17년차 선배가 보내는 응원의 메시지이기도 하다.
퇴사와 ‘존버’ 사이, 그 기로에 서 있는 바로 당신에게 건네는 말
누구나 가슴속에 사직서 한 통은 품고 회사를 다닌다는 말이 있다. 17년차 직장인, ‘존버 언니’ 이명혜 저자도 마찬가지였다. 끝나지 않을 것만 같던 야근과 무서운 상사의 질책이 이어지던 어느 날. 그는 퇴사를 결심한 뒤 사직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상했다. 사직서를 써내려갈수록 자꾸 생각지도 못한 질문들이 떠오르는 것이었다. ‘나는 진심으로 이 회사를 그만두고 싶은 걸까?’ ‘왜 퇴사하고 싶은 걸까? 일이 힘들어서? 아니면 사람이 싫어서?’ ‘퇴사하면 정말 후회하지 않을 자신이 있을까?’ ‘무엇이 가장 나은 선택일까?’ 쓰다 보니 반성문이 되어버린 사직서. 저자는 그 사직서를 품에 넣고 종종 들여다보게 되었다. 사직서를 쓰면서 퇴사를 연습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날을 시작으로 저자는 자신의 인생에서 회사란 무엇이었는지 다시 돌아보기 시작했다.
나를 버티게 만드는, 그 보물 같은 응원 ‘존버 언니’ 이명혜 저자는 <17년째 버티고 있는 중입니다>에서 지금까지 버틸 수 있었던 요령을 네 가지로 정리했다. 앞서 말한 사직서 작성 등을 통한 퇴사 연습하기, 자신이 선택할 수 없는 상사(혹은 동기나 후배)의 존재를 받아들이기, 일상 속 나만의 소소한 행복을 만들어 영위하기, 어차피 바로 퇴사하지 못할 회사라면 회사와 함께 성장하기 등. 이런 행동을 통해 저자는 긴 시간 동안 직장인으로 살아남는 방법을 터득했다. 누군가는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고 있는 당연한 내용 아니냐고. 하지만 17년 동안 한 회사에서 근무해온 이가 이야기하고 있는 이 방식들은, 확실히 다르다. 직접 실천에 옮긴 뒤 마침내 성공했다는 점에서 이 당연한 내용들에는 설득력과 무게감이 실린다. 추천사를 써준 이들의 면면들 또한 범상치 않다. 보험회사에서 30년 근무한 이, 공무원으로 28년 근무한 이, 12년째 방송작가로 일하고 있는 이, 그 힘들다는 종합병원에서 4년 동안 일하고 있는 이…….
<17년째 버티고 있는 중입니다>는 지금 자신의 자리에서 힘겹게 버티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보내는 따스한 응원이자 위로이다. 어차피 회사 안에서 버텨야 한다면 나 자신을 존중하자. 더 나아가, 할 수 있다면 회사를 구성하고 있는 그 속의 사람들을 존중하며 버티자. 그것들은 언젠가 손에 쥘 수 있는 결과로 되돌아올 테니까.
책속에서
[P.11] 나는 거의 20년 가까이 회사를 다녔다. 그러는 동안 먼저 퇴사하는 선배들과 동기들, 그리고 후배들을 볼 때마다 느꼈던 씁쓸함을 잊을 수가 없다. 선배들은 몰라도 후배들이 먼저 회사를 떠난다는 소식을 듣게 되면 ‘아, 힘들었구나. 옆에 있어주지 못했구나.’ 하는 생각에 안타까움과 미안함이 절로 들곤 했다. 나 역시 정말 친하고 업무적으로도 도움을 많이 주던 언니가 먼저 회사를 그만두었을 때 ‘이제 어떡하지? 나 혼자 버틸 수 있을까? 나도 그만둬야 하나?’ 하는 고민으로 밤을 새웠던 때가 있었기 때문이다. 좋은 사람들이 하나 둘씩 자리를 정리하는 걸 볼 때마다 텅 빈 회사에 홀로 남겨진 것만 같아서 눈물이 핑 돌곤 했다. 그러나 나는 버텼다. ‘조금만 더 버텨보자, 조금만 더 버텨보자.’ 스스로에게 말하다 보니 어느새 17년이 지났다. 친한 지인들은 가끔 내게 “너 아직도 그 회사 다녀?” 하고 묻는다. 그러면 나는 “응, 당연하지. 더 오래 다녀야지.”라고 답한다. 주변 사람들이 회사생활을 버티지 못하고 그만둘 때, 혼자 남아 버티면서 나만의 해답을 찾아냈기 때문이다.
[P. 33] 당신이 회사가 아닌 다른 곳에 명확한 뜻이 있다면 회사를 그만둬도 좋다. 그러나 만약 다른 뚜렷한 목표가 없다면, 반드시 10년의 회사생활을 채우는 것을 목표로 삼길 바란다. 얼마나 더 직장생활을 해야 할지 고민되는가? 월급명세서에 나와 있는 국민연금을 체크해보자. 분명 도움이 될 것이다. 10년이라는 장기근무가 주는 보상은 결코 적지 않다. 아무리 미운 상사라도 10년 후면 퇴직하고 없을 것이다. 국민연금을 손에 쥐게 되었으니 언제든 원하는 때에 그만둬도 된다는 심리적인 안정감도 생긴다. 이 두 가지는 직장생활에서 굉장히 큰 부분이다. 나만 하더라도 10년을 채운 시기를 기점으로 훨씬 평온한 회사생활을 이어오고 있으니까. 17년차 직장인으로서, 지난 경험을 바탕으로 확신을 갖고서 충고하고 싶다. 멀리 내다보아야 한다. 당신이 사회초년생이라면 더더욱. 어쩌면 이는 긍정적인 부분을 얼마나 볼 줄 아느냐의 차이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회사는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혜택들을 당신의 인생에 줄 수 있을지 모른다.
[P. 62] 우리는 언제 어디에서나 다양한 상사들을 만날 수 있다. 특히 회사에서 만난 상사는 모르는 척 넘겨버릴 수가 없다. 한번 보고 끝나는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몇 배나 더 힘들다. 그러니 밉고 스트레스 덩어리인 상사나 선배가 있다면 그들에게 치사한 복수가 아니라 멋진 복수를 해보자. 그들보다 나은 사람이 되는 것이다. 치사한 복수는 또 다른 치사한 복수를 낳는다. 안 좋은 것은 반드시 대물림이 되고 쉽게 잘 지워지지도 않는다. 그런 걸 굳이 계속 이어갈 필요가 있을까? 좋은 회사 문화, 좋은 선후배 관계를 만들어내는 첫 번째 방법은 내가 먼저 치사한 복수를 관두는 것이다. 물론 아주 가끔은 풀리지 않는 내면의 분노를 표출할 기회가 필요하다.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 복수할지는 나 자신에게 달려 있다. 무엇이 진정 멋진 복수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