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문

제1장 들어가는 말: 의암 류인석의 교육철학 재인(再認)

제2장 의암의 생애사

제3장 의암 교육철학의 형성 배경
1. 국내외 정세
2. 학문적 배경
3. 사상적 배경

제4장 의암 교육철학의 실현(實現)
1. 친친(親親)사상과 향수 시(詩)
2. 의리(義理)정신과 간찰(簡札)
3. 구국(救國)정신과 처변삼사(處變三事)
4. 의병(義兵)정신과 「관일약(貫一約)」
5. 존화양이(尊華攘夷)와 『우주문답(宇宙問答)』
6. 사상 체계의 집대성 『도모편(道冒編)』

제5장 의암 교육철학의 본체(本體)
1. 인(仁)과 의(義) 교육
2. 도(道)와 덕(德) 교육
3. 공동체(共同體) 교육
4. 애국(愛國) 교육
5. 화해(和諧) 교육

제6장 의암 교육철학의 전승과 전수

제7장 나가는 말: 교육철학의 가치

參考文獻
附錄 1: 의암 관련 연대기
附錄 2: 의암 관련 유물

이용현황보기

(의암 류인석의) 교육철학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82714 181.159 -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82715 181.159 -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27647 181.159 -21-2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의암(毅菴) 류인석(柳麟錫, 1842-1915)은 유학자로서 일제에 맞서 의병정신을 지킨 위인이자 민족 지도자이다. 이 책은 민족자존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애국 활동을 펼쳤던 그의 교육철학을 궁구하여 재인한 것이다. 그의 교육철학은 존화양이의 춘추대의로 일관되어 있다. 이는 인도 정신을 표현한 것으로, 그의 교육철학은 경험으로 통찰한 학문에 근거하여 위기에 대응할 때 인의(仁義)로써 펼치는 사상적 실현이었다. 나아가 그는 자신만 사랑하고 인류애가 없으면 진정한 사랑이 아니며, 인류애에 근거하여 자신을 사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즉 의암의 교육철학은 인본주의적이며 공동체적 가치를 중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