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프롤로그 ‘카피레프트 단편소설집을 펴내며’ (김찬휘)
추천사 ‘드라마, 영화, 웹툰 등 다양한 작품 소재로 활용되길…’ (최진영)
가상 인터뷰 ‘톨스토이 어깨에 올라타기 전에’ (박정인)

‘마지막 인사’ (유니게)
‘아직 오로빌인가요’ (김정애)
‘동경에서 만난 사람’ (안재성)
‘봄날 저녁 바람’ (이은)
‘개 한 마리 키우기’(김남길)
‘빽판 혁명’ (김형진)
‘석류 아가씨’ (임성용)
‘유폐(幽閉)’ (박현식)
‘개꿈일기’ (고영란)
‘조직문화 부적응者’ (김영서)


‘머리가 큰 아이’ (이경연)
‘화해의 순간, 순간들’ (류춘신)

이용현황보기

(카피레프트,) 톨스토이 어깨에 올라타다 : 단편소설 모음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86293 811.33 -21-69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86294 811.33 -21-69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 《카피레프트 톨스토이 어깨에 올라타다》 책 표지의 제목에 등장하는 '톨스토이'는 러시아의 대문호인데 그는 죽기 직전 '자신의 모든 작품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 만유인력을 발견한 위대한 과학자 뉴턴도 '나도 거인들(과학자들)의 어깨에 올라탔다'고 말했을 정도로, 세상의 모든 콘텐츠는 개인이 새롭게 창작한 것이 아닙니다. 내 앞에 있던 사람들의 지식을 내가 공유하여 제작한 것이 콘텐츠입니다. 톨스토이도 자신보다 앞서간 작가들의 작품을 읽으면서 소설 창작 실력이 좋아졌다고 말했듯 콘텐츠(소설, 사진, 동영상 등)를 저작권이라는 미명하에 일부가 '독점'하지 말고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면 콘텐츠를 보다 쉽게 돈을 절약하여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이 책은 원저작물(단편소설)을 저작권자(작가)들이 어떠한 금전적 요구 없이 누구나 각색해서 2차적인 콘텐츠(연극, 영화, 웹툰, 드라마 등)로 만들어 만든 사람이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아마도 세계 최초의 ‘카피레프트’ 책입니다.

- 《카피레프트 톨스토이 어깨에 올라타다》 단편소설 모음집에 실린 글은 작가들이 저작권을 주장하지 않습니다. 누구나 비용 지급 없이 상업적 목적으로 2차적 저작물 (드라마, 영화, 웹툰, 연극 등) 제작을 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무상공유 '카피레프트' 정신을 실현하는 책입니다

책에 실린 각 소설이 담고 있는 내용은,

1. '마지막 인사' (유니게) : 아이든 어른이든, 지금껏 알지 못했던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에 훌쩍 성장한다는 이야기

2. '아직 오로빌인가요' (김정애) : ‘몸은 하찮은 것’이라는 편견을 가진 전직 무용수가 딸과 함께 떠난 여행지 오르빌에서 독특한 여자를 만나 몸과 정신은 하나로 연결돼 있음을 깨닫게 되는 이야기

3. '동경에서 만난 사람' (안재성) : 해방 직후의 시대상을 취재하려고 도쿄에 가서 만난 남로당 계열의 박갑동 선생이 해준 이야기를 소설 형식만 빌려 쓴 사실 기록

4. '봄날 저녁 바람' (이은) : 오월 햇살을 빛내며 은어 떼처럼 뛰어오르는 기억. 광주 민중항쟁을 다시 만나러 가는 사람의 이야기

5. '개 한 마리 키우기'(김남길) : 현대인들이 자기만의 공간을 자기 의지대로 갖기 어려운 처지를 그린 이야기

6. '빽판 혁명' (김형진) : 1917년 러시아혁명의 레닌을 1986년 복사판(빽판)을 찍어내는 한국의 세운상가에서 만난 이야기

7. '석류 아가씨' (임성용) : 부당하게 해고를 당한 석류 아가씨라는 어리숙한 한 노동자의 이야기
8. '유폐(幽閉)' (박현식) : 역사의 깊은 지층 아래 묻혀, 다 삭아버린 잊지 않았으면 하는 우리 먼 선조들의 이야기

9. '개꿈일기' (고영란) : 여러 해 동안 써본 꿈의 기록을 들여다보다가 현실 세계와 연결해본 이야기

10. '조직문화 부적응者' (김영서) : 멀미 때문에 조폭들 싸움 출동시 자동차를 타지 못하는 조직폭력배 이야기

11. '머리가 큰 아이' (이경연) : 세상 어딘가에는 행성과 연결하는 통로가 있지 않을까? 작가의 또 다른 분신에 관한 이야기

12. '화해의 순간, 순간들' (류춘신) : 세상 살면서 순간, 찰나에 맞물리는 그 어떤 일들이 화해의 메시지가 아닐까? 하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