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개요 17
1.1. 계획의 목적 17
1.1.1. 하천기본계획 17
1.1.2. 하천시설관리대장 17
1.2. 계획의 범위 17
1.3. 기본원칙 18
1.3.1. 수립 주체 18
1.3.2. 수립 방향 18
1.3.3. 수립 절차 19
1.4. 하천유역 현황도 20
1.5. 계획 수립 연혁 및 하천 지정·고시 현황 22
1.5.1. 하천기본계획 수립 연혁 22
1.5.2. 하천 지정·고시 현황 22
제2장 유역 및 하천현황 25
2.1. 유역현황 25
2.1.1. 유역의 개황 25
2.1.2. 유역의 특성 37
2.2. 하도특성 조사 63
2.2.1. 하상재료 및 유사량 조사 63
2.2.2. 하도 현황 및 특성량 70
2.2.3. 하상변동량 조사 72
2.2.4. 하도 물리특성 조사 72
2.3. 하천의 치수특성 조사 75
2.3.1. 치수시설물 현황 75
2.3.2. 치수성능 지표 76
2.3.3. 홍수피해 현황 및 취약지역 76
2.4. 하천의 이수특성 조사 79
2.4.1. 이수시설물 현황 79
2.4.2. 이수성능 지표 81
2.4.3. 하천수 사용량 현황 81
2.4.4. 지하수 이용량 현황 81
2.4.5. 물이용 취약현황 81
2.4.6. 가뭄피해 현황 및 취약지역 82
2.5. 하천환경 특성 조사 82
2.5.1. 환경시설물 현황 82
2.5.2. 하천환경성능 지표 82
2.5.3. 환경영향평가 등 결과조사 82
2.5.4. 하천의 수질 및 저니질 현황 83
2.5.5. 유역의 수질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조사 87
2.5.6. 수질오염 원인 및 취약현황 89
2.6. 하천이용 현황 조사 90
2.6.1. 하천공간 현황 90
2.6.2. 친수시설 현황 90
2.6.3. 하천활용 현황 90
2.6.4. 경관 현황 90
2.7. 관련계획 검토 및 조정 90
2.7.1. 타 계획과의 조정 90
제3장 종합분석 93
3.1. 치수특성 분석 93
3.1.1. 홍수량 93
3.1.2. 계획하폭 116
3.1.3. 홍수위 117
3.1.4. 하상변동 131
3.1.5. 시설물 능력검토 136
3.2. 이수특성 분석 142
3.2.1. 수자원 부존량 산정 142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147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149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158
3.3.1. 물리특성 158
3.3.2. 생물특성 158
3.3.3. 수질특성 159
3.3.4. 하천환경자연도 160
제4장 하천정비 및 관리계획 162
4.1. 치수 종합계획 162
4.1.1. 기본방향 설정 162
4.1.2. 치수 정비 및 관리 계획 164
4.2. 이수 종합계획 182
4.2.1. 기본방향 설정 182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182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186
4.3.1. 기본방향 설정 186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 계획 186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194
제5장 시행계획 및 기대효과 198
5.1. 경제성 분석 198
5.2. 소요재원 산정 205
5.2.1. 편익 및 비용 산정 205
5.2.2. 치수사업의 경제성 분석 206
5.3. 투자우선순위 검토 208
5.3.1. 단기 및 중장기 투자 계획 208
5.4. 결론 및 기대효과 209
5.4.1. 하천기본계획 고시에 관한 사항 209
5.4.2. 주요 사업내용 211
5.4.3. 기대효과 212
5.4.4. 기타 하천이용 및 자연친화적 하천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항 212
부도 214
1. 평면도 216
2. 종단면도 240
3. 횡단면도 253
〈그림 1.4-1〉 유역현황도 20
〈그림 2.1-1〉 용궁천 합·분류지점 경계설정 26
〈그림 2.1-2〉 봉농천 합·분류지점 경계설정 26
〈그림 2.1-3〉 마곡천 합·분류지점 경계설정 27
〈그림 2.1-4〉 거산천 합·분류지점 경계설정 27
〈그림 2.1-5〉 수계모식도 28
〈그림 2.1-6〉 용궁천 하천망 및 유역내 주요간선 현황 29
〈그림 2.1-7〉 용궁천 주요지점 및 합류부 전경 30
〈그림 2.1-8〉 봉농천 하천망 및 유역내 주요간선 현황 31
〈그림 2.1-9〉 봉농천 주요지점 및 합류부 전경 32
〈그림 2.1-10〉 마곡천 하천망 및 유역내 주요간선 현황 33
〈그림 2.1-11〉 마곡천 주요지점 및 합류부 전경 34
〈그림 2.1-12〉 거산천 하천망 및 유역내 주요간선 현황 35
〈그림 2.1-13〉 거산천 주요지점 및 합류부 전경 36
〈그림 2.1-14〉 용궁천 유역 표고분포도 42
〈그림 2.1-15〉 봉농천 유역 표고분포도 43
〈그림 2.1-16〉 마곡천 유역 표고분포도 44
〈그림 2.1-17〉 거산천 유역 표고분포도 45
〈그림 2.1-18〉 유역 지질도 47
〈그림 2.1-19〉 수문학적 토양군 49
〈그림 2.1-20〉 용궁천 유역 토지이용 변화 비교 52
〈그림 2.1-21〉 봉농천 유역 토지이용 변화 비교 52
〈그림 2.1-22〉 마곡천 유역 토지이용 변화 비교 53
〈그림 2.1-23〉 거산천 유역 토지이용 변화 비교 53
〈그림 2.1-24〉 천안관측소 월별 기상요소 분석 59
〈그림 2.1-25〉 서산관측소 월별 기상요소 분석 60
〈그림 2.1-26〉 천안관측소 강수량 경년변화 61
〈그림 2.1-27〉 서산관측소 강수량 경년변화 61
〈그림 2.2-1〉 용궁천 하상재료 채취지점 위치도 64
〈그림 2.2-2〉 봉농천 하상재료 채취지점 위치도 65
〈그림 2.2-3〉 마곡천 하상재료 채취지점 위치도 66
〈그림 2.2-4〉 거산천 하상재료 채취지점 위치도 67
〈그림 2.3-1〉 재해취약구간 77
〈그림 3.1-1〉 용궁천 홍수량 산정지점도 94
〈그림 3.1-2〉 봉농천 홍수량 산정지점도 95
〈그림 3.1-3〉 마곡천 홍수량 산정지점도 96
〈그림 3.1-4〉 거산천 홍수량 산정지점도 97
〈그림 3.1-5〉 Thiessen망도 99
〈그림 3.1-6〉 용궁천 유역 수문학적 토양군, 토지이용도 106
〈그림 3.1-7〉 봉농천 유역 수문학적 토양군, 토지이용도 106
〈그림 3.1-8〉 마곡천 유역 수문학적 토양군, 토지이용도 107
〈그림 3.1-9〉 거산천 유역 수문학적 토양군, 토지이용도 107
〈그림 3.2-1〉 용궁천 수자원 부존량 모식도 145
〈그림 3.2-2〉 봉농천 수자원 부존량 모식도 146
〈그림 3.2-3〉 마곡천 수자원 부존량 모식도 146
〈그림 3.2-4〉 거산천 수자원 부존량 모식도 146
〈그림 3.2-5〉 용수 수요량 소유역 위치도 150
〈그림 5.1-1〉 홍수범람도 19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88985 | 627.12 -21-75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788986 | 627.12 -21-75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788987 | 627.12 -21-75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788988 | 627.12 -21-75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