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판권기

제출문

머리말 / 강태중

연구요약

목차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2. 연구 내용 17

가. 2015 개정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쟁점 분석 17

나. 국외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분석 17

다.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제시 18

라. 제2외국어/한문과 교과목 재구조화 방안 모색 18

3. 연구 방법 18

가. 문헌 연구 18

나. 국외 외국어 교육과정의 특징 및 실태 파악을 위한 연구진 협의회 개최 18

다. 전문가 협의회 개최 19

라. 워킹그룹 운영 20

마. 온라인 면담 실시 20

바. 세미나 개최 20

4. 관련 선행 연구 21

II. 2015 개정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쟁점 25

1.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26

가. 교육과정 편제, 시수 26

나. 교육과정 문서 체제 27

다. 성격 28

라. 목표 28

마. 내용 체계 29

바. 성취기준 30

사.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31

2. 한문과 교육과정 분석 33

가. 교육과정 편제, 시수 33

나. 교육과정 문서 체제 33

다. 성격 34

라. 목표 35

마. 내용 체계 36

바. 성취기준 38

사.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39

3.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의 쟁점 40

가.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의 쟁점 40

나. 한문과 교육과정의 쟁점 42

III. 국외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분석 45

1. 독일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46

가. 교육과정 편제와 편성·운영 46

나. 성격 및 목적 47

다. 성취기준 48

라. 교수·학습 방법 49

마. 평가 방법 50

바. 시사점 51

2. 프랑스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52

가. 교육과정 편제와 편성·운영 52

나. 성격 및 목적 53

다. 목표 54

라. 성취기준 54

마. 교수·학습 방법 56

바. 평가 56

사. 시사점 58

3. 중국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59

가. 교육과정 편제와 편성·운영 59

나. 성격 및 목적 59

다. 성취기준 60

라. 교수·학습 방법 63

마. 평가 방법 63

바. 시사점 63

4. 일본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65

가. 교육과정 편제와 편성·운영 65

나. 성격 및 목적 66

다. 성취기준 67

라. 교수·학습 방법 68

마. 평가 방법 69

바. 시사점 70

5.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72

가. 캐나다의 외국어 교과 및 독일어 교육과정 72

나. 호주의 스페인어 교육과정 76

다. 뉴질랜드의 일본어 교육과정 79

6. 요약 및 시사점 83

IV.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87

1. 교과 역량 90

가. 2015 개정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역량 90

나.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역량 재설정 91

2. 성격 및 목표 96

3. 내용 체계 106

4. 성취기준 112

5.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 129

가.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129

나.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137

V. 제2외국어/한문과의 교과목 구성 방안 147

1. 학점제형 교육제도의 교과목 구성 방안 148

2. 제2외국어과의 교과목 구성 149

3. 한문과의 교과목 구성 157

VI. 요약 및 제언 161

1. 요약 162

2. 정책 제언 177

참고문헌 181

부록 189

[부록 1] 면담지(제2외국어) 190

[부록 2] 면담지(한문) 200

[부록 3] 독일 함부르크 주 외국어 교육과정 211

1. 역량과 새로운 외국어 습득 211

2. 새로운 외국어에 대한 요구와 내용 220

3. 성취에 대한 피드백과 평가의 원리 233

표목차

〈표 I-1〉 전문가 협의회 개최 일정 19

〈표 II-1〉 2015 개정 교육과정 제2외국어 교과 편제 27

〈표 II-2〉 2015 개정 제2외국어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27

〈표 II-3〉 2015 개정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 28

〈표 II-4〉 2015 개정 프랑스어 I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29

〈표 II-5〉 제2외국어 교육과정의 과목별 사용 낱말 수의 변화 30

〈표 II-6〉 2015 개정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예시('말하기' 관련) 31

〈표 II-7〉 2015 개정 중국어 I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32

〈표 II-8〉 2015 개정 교육과정 한문과 교과 편제 33

〈표 II-9〉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34

〈표 II-10〉 2015 개정 교육과정 한문과 교과의 성격과 교과 역량의 연계 현황 34

〈표 II-11〉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목표 진술 방식 35

〈표 II-12〉 2015 개정 한문 I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37

〈표 II-13〉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예시('한자와 어휘' 관련) 38

〈표 II-14〉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39

〈표 III-1〉 독일 함부르크 주 제2, 제3 외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역량 영역 48

〈표 III-2〉 독일 함부르크 주 제2, 제3 외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49

〈표 III-3〉 프랑스 교육과정 편제(유치원-고등학교) 52

〈표 III-4〉 프랑스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외국어 시수 53

〈표 III-5〉 프랑스 교육주기2의 외국어와 지역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55

〈표 III-6〉 프랑스 초등 외국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57

〈표 III-7〉 프랑스 중학교 외국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57

〈표 III-8〉 중국 고등학교 단계 러시아어 교육과정 구조 61

〈표 III-9〉 중국 교육과정에서 일본어 필수과정(4급)의 성취기준(내용 요구사항) 62

〈표 III-10〉 일본 학습지도요령 중학교 외국어과의 영역별 목표 67

〈표 III-11〉 일본 학습지도요령 중학교 외국어과의 내용별 목표('듣기'의 경우) 68

〈표 III-12〉 뉴질랜드 일본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81

〈표 III-13〉 국외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83

〈표 IV-1〉 'DeSeCo' 프로젝트와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역량 교육의 의미와 특징 88

〈표 IV-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제2외국어/한문과 교과 역량 91

〈표 IV-3〉 독일 함부르크 주 제2, 제3 외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역량 영역 92

〈표 IV-4〉 제2외국어과 교과 역량(안) 93

〈표 IV-5〉 한문과 교과 역량(안) 95

〈표 IV-6〉 호주 NSW 주 K-10학년 영어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 102

〈표 IV-7〉 2015 개정 중학교 영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표('듣기' 영역의 경우) 106

〈표 IV-8〉 프랑스어 I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예시 안] 107

〈표 IV-9〉 중국어 I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예시 안] 109

〈표 IV-10〉 한문 I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예시 안] 111

〈표 IV-11〉 독일 제2, 제3 외국어 교육과정의 기능적 의사소통 역량과 성취기준 112

〈표 IV-12〉 호주 NSW 주 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교육 내용 예시 115

〈표 IV-13〉 독일어 I 듣기 성취기준 [예시 안] 120

〈표 IV-14〉 스페인어 I 말하기 성취기준 [예시 안] 121

〈표 IV-15〉 중국어 I 읽기 성취기준 [예시 안] 122

〈표 IV-16〉 프랑스어 I 읽기 성취기준 [예시 안] 123

〈표 IV-17〉 베트남어 I 문화 성취기준 [예시 안] 124

〈표 IV-18〉 한문 I 성취기준[예시 안] 125

〈표 IV-19〉 제2외국어과 교수·학습 방향의 범주(안) 138

〈표 IV-20〉 한문과 교수·학습 방향의 범주(안) 139

〈표 V-1〉 고교학점제에서의 과목 이수 시기 및 과목 예시(보통교과) 149

〈표 V-2〉 2015 개정 교육과정 보통교과 과목 편성 151

〈표 V-3〉 2015 개정 교육과정 전문교과I(외국어 계열) 과목 편성 152

〈표 V-4〉 중국의 일반고 교육과정 프랑스어과 교육과정 구성 155

〈표 V-5〉 고교학점제에서의 제2외국어과 보통교과 과목 예시 156

〈표 V-6〉 고교학점제에서의 한문과 보통교과 과목 예시 159

〈표 VI-1〉 제2외국어/한문과 교과 역량 중 기본 역량 168

〈표 VI-2〉 프랑스어 I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듣기 영역[예시 안] 169

〈표 VI-3〉 한문 I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한자와 한문 영역 [예시 안] 169

〈표 VI-4〉 스페인어 I 말하기 성취기준 [예시 안] 171

〈표 VI-5〉 한문 I 성취기준[예시 안] 172

〈표 VI-6〉 고교학점제에서의 제2외국어과 보통교과 과목 예시 176

〈표 VI-7〉 고교학점제에서의 한문과 보통교과 과목 예시 177

그림목차

[그림 IV-1] 싱가포르 초등 영어 교육과정과 21세기 역량의 틀과의 관계 101

[그림 IV-2] Speech Analyzer3.1의 분석을 통해 원어민과 학습자의 억양 패턴을 비교한 예시 132

[그림 IV-3] 기본동사핸드북(基本動詞ハソドブック) 예시 134

[그림 IV-4] 인서트러닝(InsertLearning) 예시 135

[그림 IV-5] 구글 문서 예시 135

[그림 IV-6] 카훗(Kahoot!) 예시 136

[그림 IV-7] 인터넷 사전 예시 137

[그림 V-1] 고교 과목구조 변경안 148

[그림 V-2] 고교 과목구조 변경안에 따른 2015 개정 교육과정 과목 배치 153

이용현황보기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uture-oriented national second foreign languages/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s in the post-COVID era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90511 400.71 -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