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판권기
제출문
머리말 / 강태중
연구요약
목차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2. 연구 내용 17
가. 2015 개정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쟁점 분석 17
나. 국외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분석 17
다.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제시 18
라. 제2외국어/한문과 교과목 재구조화 방안 모색 18
3. 연구 방법 18
가. 문헌 연구 18
나. 국외 외국어 교육과정의 특징 및 실태 파악을 위한 연구진 협의회 개최 18
다. 전문가 협의회 개최 19
라. 워킹그룹 운영 20
마. 온라인 면담 실시 20
바. 세미나 개최 20
4. 관련 선행 연구 21
II. 2015 개정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쟁점 25
1.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26
가. 교육과정 편제, 시수 26
나. 교육과정 문서 체제 27
다. 성격 28
라. 목표 28
마. 내용 체계 29
바. 성취기준 30
사.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31
2. 한문과 교육과정 분석 33
가. 교육과정 편제, 시수 33
나. 교육과정 문서 체제 33
다. 성격 34
라. 목표 35
마. 내용 체계 36
바. 성취기준 38
사.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39
3.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의 쟁점 40
가.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의 쟁점 40
나. 한문과 교육과정의 쟁점 42
III. 국외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분석 45
1. 독일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46
가. 교육과정 편제와 편성·운영 46
나. 성격 및 목적 47
다. 성취기준 48
라. 교수·학습 방법 49
마. 평가 방법 50
바. 시사점 51
2. 프랑스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52
가. 교육과정 편제와 편성·운영 52
나. 성격 및 목적 53
다. 목표 54
라. 성취기준 54
마. 교수·학습 방법 56
바. 평가 56
사. 시사점 58
3. 중국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59
가. 교육과정 편제와 편성·운영 59
나. 성격 및 목적 59
다. 성취기준 60
라. 교수·학습 방법 63
마. 평가 방법 63
바. 시사점 63
4. 일본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65
가. 교육과정 편제와 편성·운영 65
나. 성격 및 목적 66
다. 성취기준 67
라. 교수·학습 방법 68
마. 평가 방법 69
바. 시사점 70
5.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의 외국어 교과 교육과정 72
가. 캐나다의 외국어 교과 및 독일어 교육과정 72
나. 호주의 스페인어 교육과정 76
다. 뉴질랜드의 일본어 교육과정 79
6. 요약 및 시사점 83
IV.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87
1. 교과 역량 90
가. 2015 개정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역량 90
나. 제2외국어/한문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역량 재설정 91
2. 성격 및 목표 96
3. 내용 체계 106
4. 성취기준 112
5.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 129
가.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129
나.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137
V. 제2외국어/한문과의 교과목 구성 방안 147
1. 학점제형 교육제도의 교과목 구성 방안 148
2. 제2외국어과의 교과목 구성 149
3. 한문과의 교과목 구성 157
VI. 요약 및 제언 161
1. 요약 162
2. 정책 제언 177
참고문헌 181
부록 189
[부록 1] 면담지(제2외국어) 190
[부록 2] 면담지(한문) 200
[부록 3] 독일 함부르크 주 외국어 교육과정 211
1. 역량과 새로운 외국어 습득 211
2. 새로운 외국어에 대한 요구와 내용 220
3. 성취에 대한 피드백과 평가의 원리 233
[그림 IV-1] 싱가포르 초등 영어 교육과정과 21세기 역량의 틀과의 관계 101
[그림 IV-2] Speech Analyzer3.1의 분석을 통해 원어민과 학습자의 억양 패턴을 비교한 예시 132
[그림 IV-3] 기본동사핸드북(基本動詞ハソドブック) 예시 134
[그림 IV-4] 인서트러닝(InsertLearning) 예시 135
[그림 IV-5] 구글 문서 예시 135
[그림 IV-6] 카훗(Kahoot!) 예시 136
[그림 IV-7] 인터넷 사전 예시 137
[그림 V-1] 고교 과목구조 변경안 148
[그림 V-2] 고교 과목구조 변경안에 따른 2015 개정 교육과정 과목 배치 15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90511 | 400.71 -21-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