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들어가며_ 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나?

1. 우리는 누구일까?
‘호모 사피엔스’라는 이름
사람속의 유일한 종, 사피엔스
인간과 네안데르탈인의 만남
계속 진화하는 인간
인간 세포 지도

2. 불편한 생물학적 진실들
인간은 왜 스스로를 길들이는가?
여러 가지 피부색이 등장한 이유
죽음의 속도, 죽음의 신호
죽을 뻔한 경험과 진짜 죽는 것의 차이
집중해야 한다면, 참아라

3. 가상공간에서 인간으로 살기
불쾌한 계곡과 인간에 근접한 존재
인간의 언어, AI의 언어
협력하려는 본성이 사라지는 이유
피드백, 보상, 중독

4. 인간만이 가진 특이성
장소에 대한 감각
우리는 세균으로 이루어졌다
치매와 치아
운동은 고통이다
숫자 인식의 이중 구조
털은 왜 사라졌나?

5. 사람을 속이는 법
3차원의 조건, 조절과 수렴
거짓말의 기술
중국 음식 증후군
미각과 후각을 믿지 마라

6. 군중 속에서 살아남기
유체역학을 거스르는 군중
달걀 타이머 수수께끼
‘빛의 날개’를 폐쇄한 이유
줄 서기의 수학
비행기 빨리 타는 법
유령 정체

이용현황보기

당신이 인간인 이유 : 그래서 왜, 어떻게 우리가 인간이 된 거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92090 150.1943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92091 150.1943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88968 150.1943 -21-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그래서 왜, 어떻게 우리가 인간이 된 거지?”
세계적인 과학 셀럽 마티 조프슨 신작!

BBC ‘더 원 쇼’의 괴짜 과학자, 세계적인 과학 셀럽 마티 조프슨 신작
인간 존재의 팩트를 찾는 세포생물학자의 대모험!


인간이라는 것은 과연 무슨 뜻이고, 과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 왜, 어떻게 우리는 인간이 된 걸까? 우리는 왜 우리가 하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낄까? 죽음이란 어떤 상태이고, 그 정의는 누가 만들었을까? 우리가 인간으로 살 수 있는 놀라운 이유와 조건들을 담은 책이다. 인류의 진화과정부터 치매 정복, 인간 세포 지도, 가상공간에서의 삶, 군중심리를 이용한 비행기 탑승법까지, 이 책은 《당신이 인간인 이유》를 샅샅이 조사한 흥미진진한 탐험의 기록이다.

그래서 왜, 어떻게 우리가 인간이 된 거지?
인간이 인간으로 살 수 있는 놀라운 이유와 조건들!


“인간이라는 것은 과연 무슨 뜻이고, 과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
영국의 스타 과학자이자, 세포생물학 박사인 마티 조프슨은 이 질문의 답을 여러 방면으로 찾아보았다. 생물학은 물론이고 심리학, 인류학, 수학, 유체역학에 이르기까지 아우르며 ‘인간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했다. 인류의 기원을 출발점으로 삼고 미래 가상세계의 인간에 이르기까지, 최신 연구결과를 모았다.
그는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과 선조들이 진화해온 세상은 분명히 다르고, 우리는 여전히 ‘탐색자’ 위치에 있다. 우리는 섬처럼 사는 존재가 아니며,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존재이지만, 사실상 인간이 이렇게 무리 지어 상호작용하는 방식은 우리가 생각하는 모든 물리학 법칙에서 벗어난다. 인간이 모여 있을 때 일어나는 일을 설명하려면, 새로운 규칙과 패러다임을 찾아야 한다.”고 말하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당신이 그렇게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모든 ‘인간적인 방식’들의 궁금증을 해소한다!


죽음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까? 분변 이식으로 운동능력이 향상된다면? 왜 군중은 유체역학을 거스를까? 거대한 세균 덩어리로서 건강하게 사는 방법은? 인간을 닮은 가상의 존재가 왠지 불쾌한 이유는? 자기수용감각이 눈코입귀촉 오감 이상으로 중요한 이유는?
이 책의 여러 흥미로운 주제들은 우리가 인간으로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들과 인간만이 가진 독특한 현상들을 설명하며 ‘인간 되기being human’이라는 심리학적, 철학적 주제까지 생각해보게 만든다. 현미경 위의 작은 세포부터 가상공간 메타버스까지 인간의 모든 특징과 행동이 한 줄로 꿰어지는 지적 카타르시르를 선사할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12] “인간이라는 것은 과연 무슨 뜻이고, 과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 나는 이 질문의 답을 여러 방면으로 찾아보았고, 과학에서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분야까지 기웃거렸다. 그렇게 ‘인간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려고 노력하면서 흥미로운 정보를 찾아냈다. 나는 인류의 기원을 출발점으로 삼고, 인류의 기원에 관한 최신 연구결과를 계속 확인했다.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과 선조들이 진화해온 세상은 분명히 다르고, 우리는 여전히 ‘탐색자’ 위치에 있다. 우리는 섬처럼 사는 존재가 아니며,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존재다. 세계 인구가 증가하자 인간은 더욱 많은 사람과 함께 지내게 되었다. 그러나 사실 인간이 이렇게 무리 지어 상호작용하는 방식은 우리가 생각하는 모든 물리학 법칙에서 벗어난다. 인간이 모여 있을 때 일어나는 일을 설명하려면, 새로운 규칙과 패러다임을 찾아야 한다.
- 들어가며_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나?
[P. 63] 인간 세포 지도 프로젝트는 전 세계 55개국 584개 연구기관의 참여로 1,000여 명의 과학자들과 함께 순탄하게 진행되고 있다. 2018년 4월에 처음으로 발표된 결과에는 50만 종이 넘는 세포의 세부 정보가 담겨 있었다. 이 데이터는 사람의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이해 수준에 새로운 빛이 되기 시작했다.
한 예로, 소아기에 많이 발생하는 신장암의 일종인 윌름스 종양Wilms’ tumour이 사실상 태아가 가지고 있던 신장 세포이며, 이 세포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고 과도하게 분열되면서 종양이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정보를 토대로 윌름스 종양 환자는 전통적인 화학요법 치료 대신 세포 신호를 바로 잡아서 문제의 세포가 신장 세포로 성숙할 수 있도록 만들면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 인간 세포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