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일러두기

[사진]

발간사 / 김종대

목차

1장 조사개요 17

1. 조사목적 19

가. 한국의 수로와 생활문화 조사 20

나. 낙동강 댐 수몰이주민들의 삶 들여다보기 21

2. 조사범위 및 조사대상 23

3. 조사방법 및 조사일정 25

2장 낙동강 물길의 변화 : 수계와 수운, 그리고 댐 29

1. 낙동강 수계 변화 31

가. 낙동강 수계 개관 31

나. 옛 문헌 및 고지도로 본 낙동강 수계 37

다. 일제강점기 '오만분의일지형도'를 통해 본 낙동강 수계 67

2. 낙동강 수운과 나루 69

가. 낙동강 수운 69

나. 낙동강의 옛 나루와 포구 73

다. 나루와 포구의 변환 75

3. 낙동강과 댐 79

가. 댐의 정의와 분류 79

나. 우리나라 댐의 역사 85

다. 낙동강 댐 건설 역사 및 현황 88

3장 댐 수몰지역 주민의 이주와 적응 109

1. 댐의 편익과 문제점 111

2. 댐 수몰지역의 생태환경 115

가. 자연지리적 조건과 인구학적 특성 115

나. 사회문화적 환경 116

다. 생업경제적 환경 117

3. 댐 수몰지역 주민들의 이주와 적응전략의 특성 119

가. 이주와 적응전략 결정 요인들 119

나. 이주지의 선택과 이주유형 120

4. 댐 수몰지역 주민에 대한 이주와 보상대책 123

가. 보상제도의 법률적 근거 123

나. 물건보상대책 124

다. 이주 및 생활재건대책 126

5. 이주유형과 적응전략의 결정 129

가. 자유이주자의 적응전략 결정 129

나. 집단이주자와 적응전략 134

6. 댐 수몰지역 이주민에 대한 정책적 과제들 141

4장 수몰이주민의 삶과 문화 145

1. 안동댐 서부이주단지 : 의지의 산중도시(山中都市) 147

가. 이주단지 개관 147

나. 이주단지 형성 과정 및 특징 151

다. 사례로 보는 수몰이주민의 삶 156

2. 임하댐 중평이주단지 : 챗거리장의 기억을 간직한 곳 173

가. 이주단지 개관 174

나. 이주단지 형성 과정 및 특징 178

다. 사례로 보는 수몰이주민의 삶 183

3. 임하댐 오상이주단지 : 수몰민까지 포근히 감싼 마을 193

가. 이주단지 개관 193

나. 이주단지 형성 과정 및 특징 197

다. 사례로 보는 수몰이주민의 삶 201

4. 남강댐 대평이주단지 : 두 번의 시련을 이겨내고 고향을 지키며 사는 사람들 211

가. 이주단지 개관 212

나. 이주단지 형성 과정 및 특징 216

다. 사례로 보는 수몰이주민의 삶 220

5. 남강댐 귀곡동 귀곡실향민회 : 물 속에 잠긴 고향을 되살리는 사람들 233

가. 귀곡동 개관 233

나. 귀곡실향민회 형성 및 활동 239

다. 사례로 보는 귀곡실향민회 활동 245

6. 합천댐 봉산이주단지 : 농촌에서 관광지로의 변화 255

가. 이주단지 개관 256

나. 이주단지 형성 과정 및 특징 261

다. 사례로 보는 수몰이주민의 삶 267

7. 보현산댐 은하수마을 : 최근 조성된 소규모 댐과 소수 집단이주 273

가. 이주단지개관 273

나. 이주단지 형성 과정 및 특징 277

다. 사례로 보는 수몰이주민의 삶 281

참고문헌 287

Abstract 291

판권기 293

이용현황보기

낙동강 수로와 수몰이주민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93465 951.99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93466 951.99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