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판권기

발간사 / 나명하

목차

일러두기 8

I. 《경복궁영건일기》의 저자 원세철과 자료의 가치 9

『경복궁영건일기』는 어떤 책인가? 11

1. 9책으로 구성된 『경복궁영건일기』 11

2. 또 다른 경복궁 중건의 기록 『영건일감(營建日鑒)』 13

3. 경복궁 중건공역의 의궤는 왜 안보이나? 13

원세철의 『경복궁영건일기』작성 15

『경복궁영건일기』의 내용 17

조선후기 건축기술 사료로서 『경복궁영건일기』의 가치 19

II. 중건 직전 경복궁 터의 실상과 궁터의 정비 21

중건공사 이전 경복궁 터의 모습 23

1. 『궁궐지』와 〈경복궁도〉에 전하는 조선전기의 경복궁 23

2. 임진왜란 소실 후 경복궁 터의 관리와 행사 26

경복궁 중건공사 개시와 터의 정비 30

1. 고종 2년 4월의 중건공사 개시 30

2. 궁터의 정비 32

궁역 내 물길 정비와 수문 설치 35

1. 궁역 내 물길의 정비와 어구(御溝) 설치 35

2. 6군데의 수문 설치 37

궁역 내 잔존 자재의 철거와 재사용 40

1. 경회루 돌기둥과 간의대 석재의 처리 40

2. 일영대와 문소전 자재 재사용 41

3. 교태전 뒤 아미사(蛾眉沙) 축조 42

궁성 주변 민가의 철거·매입과 가로 정비 44

1. 민가의 철거와 매입 44

2. 궁터 주변 사대부가의 매입 46

3. 광화문 앞 종각의 철거와 육조거리 정비 47

III. 《경복궁영건일기》에서 보는 중건 경복궁의 전각구성과 건축특징 51

중건 경복궁의 전각구성과 건물배치 53

1. 조선전기 경복궁의 전각구성 53

2. 중건 경복궁의 전각구성과 특색 54

3. 중건 경복궁의 건물배치 57

4. 조선전기 궁성 뒤에 따로 조성한 후원 58

『경복궁영건일기』에서 보는 각 전각의 건축특징 62

1. 궁성과 성문 62

2. 정전 67

3. 편전 76

4. 연침(燕寢)과별전(別殿) 78

5. 경회루 83

6. 대비전 87

7. 동궁 91

8. 제례시설 : 선원전과 태원전 93

9. 궁궐 안의 관청 : 궐내각사 96

IV. 공사조직 : 중건공사의 감독관과 기술자 99

경복궁 중건공사의 기획과 흥선대원군의 역할 101

1. 경복궁 중건의 실질적 최고 책임자 101

2. 공사현장을 진두지휘한 흥선대원군 104

감독관 106

1. 도제조와 제조 106

2. 도청·낭청·감조관과 별간역 108

3. 패장(牌將) 109

분야별 장인(匠人) 112

1. 장인의 직종과 노임 112

2. 장인 동원의 양상과 작업 실태 119

담군·모군과 자원군 135

1. 경복궁 중건공사에서 담군과 모군의 역할 135

2. 광화문·근정전 공사에서 담군의 활약 139

3. 자원군의 성격과 동원 양상 141

V. 건축자재의 조달 143

경복궁 중건공사 자재조달의 원칙 145

목재의 조달 146

1. 1865년(을축, 고종 2) 146

2. 1866년(병인, 고종 3) 157

3. 1867년(정묘, 고종 4) 168

4. 1868년(무진, 고종 5) 174

5. 비구조재용 목재의 조달 178

6. 목재의 조달처와 벌목을 위한 인력 파견 188

7. 경복궁 중건공역을 빙자한 작벌 행위 200

석재의 조달 202

1. 연도별 석재 조달 202

2. 구 자재의 적극 재사용 212

3. 경복궁 영건에 쓴 석재 부석소(浮石所) 213

4. 석재 조달의 특징 215

석회(石灰)의조달 217

1. 연도별 석회의 조달 217

2. 석회의 조달 방식과 회계(灰契)의 역할 220

철물의 조달 223

1. 각 연도별 철물 조달 223

2. 철물 조달의 특징 231

3. 근정전에서 조사된 철물 234

기와와 전돌의 조달 237

1. 1865년(을축, 고종 2) 237

2. 1866년(병인, 고종 3) 242

3. 1867년(정묘, 고종 4) 242

4. 1868년(무진, 고종 5) 244

5. 기와와 전돌 조달의 특징 244

단청 안료의 조달 246

1. 단청 안료의 산지와 조달 246

2. 호조에 비축된 단청 안료의 사용 248

3. 단청 안료 조달의특성 250

잡물(雜物)의 조달 251

1. 황토의 조달 251

2. 각종줄 : 생갈, 숙마, 새끼줄 252

3. 초둔(草芚) 255

4. 어교(魚膠)와 아교(阿膠) 258

5. 숯 : 매탄(숯을 굽는 일)·백탄(참숯) 259

6. 나머지 잡물 264

도배지의 조달 267

1. 연도별 도배지 조달 267

2. 도배지 조달의 특성 270

건축재료 조달에서 호조의 역할 273

건축자재의 운송과 운반도구 276

1. 목재의 운송 276

2. 석재의 운송 294

3. 건축자재 운송의 특징 296

IV. 공사기간과 시공기법 303

주요 공정과 각 전각별 공사기간 305

1. 연도별 공사 내용 305

2. 개별 전각과 시설의 공사기간 309

도급공사의 출현과 범위 317

1. 도급공사의 정의와 관영공사에서 도급의 출현 317

2. 경복궁 중건공사에서 시행한 도급 범위 318

시공기법 321

1. 기초공사 321

2. 석공사 330

3. 목공사 342

4. 지붕공사 350

5. 미장공사 354

6. 단청공사 361

7. 실내마감공사 363

현장의 가가(假家) 설치와 이동 371

1. 공사 진척에 따른 가가의 설치와 이동 371

2. 가가의 건축형태와 잦은 화재 374

VII. 실내·외 장식과 현판 377

궁궐을 지켜주는 동물 조각들 379

1. 근정전 월대의 조각상 379

2. 금천교의 동물조각 382

3. 광화문 월대 앞 해치 384

실내 반자와 지붕 박공의 장식 385

1. 전각 반자의 문양 385

2. 근정전의 부룡 389

3. 교태전 지붕 박공 문양 390

현판의 제작과 새로운 기법의 도입 392

1. 주요 건물 현판의 제작 392

2. 새로운 기법의 도입 395

VIII. 공사장의 일상과 행사 399

공사장 관리와 작업여건 401

1. 관원의 입직과 공사장의 파수·순라 401

2. 공기 맞추기 위한 각고의 노력 407

3. 공사장의 복장과 하사품 416

4. 노고에 대한 시상 419

공사장의 풍경과 놀이 432

1. 공사 성공을 기원하는 경복궁타령 432

2. 공사장에서 벌이는 놀이들 433

3. 공사장에 안팎에 휘날리는 깃발 435

광화문의 의례와 조명 437

1. 궐문 출입의례와 종과 북 437

2. 한 밤중을 밝히는 옥등 438

3. 남해신을 봉안한 누각 441

4. 광화문에서 벌인 축하행사 442

공사의례 : 상량식과 준공 행사 443

1. 공사과정의 다양한 의례 443

2. 상량문 제술관과 서사관을 맡은 문·무 고관들 448

3. 근정전 상량식과 흥선대원군의 존재 449

4. 화재 예방을 위한 조치 450

5. 화포를 쏘고, 불 화살을 날린 준공행사 456

참고문헌 458

이용현황보기

(경복궁영건일기로 본) 경복궁 중건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93965 728.820951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93966 728.820951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