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부 내 마음 속에 창애
내 마음 속 창애 · 13
사랑 변주곡 · 14
모두 같다 · 17
새의 이름으로 한마디 · 18
수화 · 19
꽃들의 집회 · 20
꽃들의 점심 · 21
꽃들의 합창 · 22
동백꽃보살 · 23
줄탁(?啄), 위를 걷다 · 24
그의 이름 · 26
겨울 밤, 차를 우리며 · 28
조장(鳥葬) · 30
줄탁동시(?啄同時) · 32
금붕어구름 · 33

2부 아름다운 나라의 염색주의자
절창(絶唱) · 37
아름다운 나라의 염색주의자 · 38
노을에 대한 명상 · 41
책에 관한 명상 · 42
진통제에 대한 명상 · 44
동화에 대한 명상 · 46
호두에 대한 명상 · 48
바퀴에 대한 명상 · 50
봄 명상 · 51
물 명상 · 52
꿈의 절차 · 54
생각노동자 · 56
콩에 대한 명상 · 58

3부 기차
기차 · 61
세상의 모든 소리 · 62
세상의 모든 언어 · 64
낮잠 · 66
봉래산 천문대에서 · 67
부용아씨 · 68
주인 · 70
집으로 가는 길 · 72
토란잎 가족 · 73
봄날 저녁, 그 주점에 가고 싶다 · 74
그리운 죄 · 76
나비의 꿈, 저녁놀 변주곡 · 77
5월에 · 78
꽃이 돈처럼 피다 · 79

4부 아름다운 것들
아름다운 것들 · 83
4월에 · 84
산수유 · 85
4월에 다시 · 86
푸른 눈물 · 87
일식(日蝕) · 88
밀밭에서 · 89
돼지 · 90
깊어지는 것들 · 91
분단광장 · 92
아버지와 고목 · 94
사랑 · 95
순례자 나무 · 96
70년을 한글로 쓰다 · 98

해설 사려의 기품 - 박종빈論 / 김채운 · 99

이용현황보기

물을 쓰고 불을 읽고 : 박종빈 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94203 811.15 -21-157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94204 811.15 -21-157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세상의 모든 언어와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구도의 길’을 가는 박종빈 시인

1993년 대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고 10여 년의 공백 기간을 거쳐 2004년 『시와경계』로 시작 활동을 재개하여 2010년 첫 시집 『모차르트의 변명』을 출간했던 박종빈 시인이 11년 만에 두 번째 시집 『물을 쓰고 불을 읽고』를 출간했다.
첫 시집 『모차르트의 변명』에서는 시적 화자의 ‘변명’의 상황과 여지를 집중적으로 능숙하게 형상화하였다면, 이번 두 번째 시집 『물을 쓰고 불을 읽고』의 다수 작품들에서는 명상을 통해 문학적 사려의 세계를 보여주는 방식을 꾀했다. 변명이 상대방을 납득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면, 명상은 자신을 납득시키고 나아가 내면 깊숙이 들어가 성찰하고 깨달음에 이르는 방식을 모색하는 특징이 있다.
박종빈 시인은 범인(凡人)들이 미처 바라보지 못한 삶을 깊숙이 들여다보고, 헤아리지 못한 사유의 영역을 확장해서 언어적 형상화를 통해 존재의 가치와 의미를 드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박종빈 시인에게 있어 시가 명상이고 명상이 곧 시다. 『물을 쓰고 불을 읽고』에 수록된 명상 연작시를 읽으면 시에 대한 그의 관점이 반영된 것으로서 명상의 고요함과 집중, 깨달음의 경지와 고즈넉한 인내의 시간이 내재해 있음을 짐작케 한다.

〈큰시〉 동인으로 활동하면서부터 인연을 맺은 이채운 시인은 박종빈 시인의 명상시 다섯 편을 가지고 해설을 썼다. 「콩에 대한 명상」에서 시적 화자는 ‘자궁’ 같은 시루에 담긴 ‘황금알’, 즉 콩이 부화하여 어엿한 콩나물로 성장하기까지의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 콩이 싹이 돋아 뿌리를 내리고 콩나물이 되기까지, 껍질을 벗고 여린 속살로 뿌리를 내밀기 위해서는 “강철보다 단단하게/ 고무보다 탄탄하게” 힘을 길러야 한다고 역설한다.

「호두에 대한 명상」에서 시적 화자는 ‘호두’라는 객관적 상관물이 지닌 외형적 특징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소리’에 주목한다. 호두의 “주름 깊은 곳에 소리가 살고 있다”고 언급하며 호두 표면에 있는 주름의 역할은 곧 세상의 고난으로부터 “단단하게 눈물을 지키”는 일임을 깨닫는다. 「봄 명상」에서는 저녁 해 뉘엿뉘엿 기우는 이른 봄날의 정경이 선연하게 그려진다. “구름 마음자리에 그린 꽃”은 꽃구름 이는 벚꽃들의 향연을 염두에 두고는 아찔한 그 꽃향기가 멀리 퍼져 “바다 옆구리를 간지럼 태”우는 상상까지 나아간다. 시인은 겨우내 잠들었던 오감을 깨워 한 폭의 수채화처럼 고즈넉한 봄날 저녁을 원고지 위에 펼쳐 놓고 있다. 「물에 대한 명상」에서는 시의 정화수가 가느다란 물줄기로 타고 흘러 파도 출렁이는 바다의 심연까지 이르도록 객관적 상관물들을 통해 간절한 기원의 영역을 충실하게 넓히고 있다. 정화수 앞에서 비는 여인의 모습처럼 명상의 자세 또한 예를 갖춘 수백수천의 예배와 같아서 자신의 내면으로 깊이 파고드는 심오한 정신 집중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박종빈 시인의 시는 정면으로 바라보거나 쉽게 범접할 수 없는 오묘한 경지에 있다. 그의 시세계가 깊은 명상과 성실한 창작으로 다져졌기 때문이다. 시인의 명상은 ‘봄’이나 ‘노을’, ‘물’ 등 자연의 근원부터 ‘책’이나 ‘바퀴’, ‘진통제’ 등 일상의 소소한 것까지 광범위할 뿐 아니라, 그 속에 숨겨진 깨달음의 깊이는 매우 심오해서 그의 시를 접할 때마다 깊이 사색하고 고민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시인에게도 사라지지 않는 ‘마음 속 창애’가 있다는 고백은 너무나 인간적이어서 우리에게 오히려 위안이 된다. ‘세상의 모든 언어’나 ‘세상의 모든 소리’에 늘 귀 기울이며, 시의 본류를 찾아 부단히 구도의 길을 가는 시인의 걸음을 지켜보는 일은 벅차고 경이로운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책에 관한 명상
--
푸른 바람을 번역하는 잎새와
붉은 풍경을 덧칠하는 태양
불의 기억처럼 거친 숨을 고를 때
아름답게 모호한 암호들을
한 가지 색으로 읽어내네
-
붉은 생각을 흔드는 가지와
푸른 노래를 꿈꾸는 뿌리들
물의 기억처럼 반짝이며 뒤척일 때
명상에 빠진 열매의 생각들을
만 가지 꽃으로 펼쳐보네
-
순리를 역행하는 물관과
대지의 질서 속에 순응하는 체관 사이
해독 불가한 흔적으로 남아 있는
길들이여, 돌고 돌아 제자리
나이테의 시간들을 가늠하네
-
상상은 직립 이후부터 계속되었고
기록은 정리 이후부터 하여온 일
물을 쓰고 불을 읽네
대지를 노래하고
바람을 암송하네
--
내 마음 속 창애
-
식당 앞 주차 문제로
주인 할머니와 싸우고 올라갔다가

산사(山寺) 내려오는 길
-
내 마음 속 새 한 마리
잡히지 않아
부끄러웠다
--
생각노동자
--
나는 생각노동자
생각만으로 의심의 참고문헌을 뒤지는 것은
누군가의 생각이라고 생각만 하였기에
읽기를 중단하고
창 밖 나무를 바라본다, 나뭇잎마저 외로워
말라비틀어진 생각처럼 악착같이 가지에 붙어 있는
-
생각이 구름처럼 모여들자
나무는 가랑비에 촉촉하게
젖는다
단풍은 생각을 멈추고
갈대의 생각은
바람 없이도 흔들리는데
푸른 생각의 뿌리는 어디에서
다음 생을 준비하는지
-
나는 생각노동자
생각을 멈추면 가능할까
까치처럼 빌딩에서부터
하강 비행하는 생각
소리가 정지화면처럼 멈추고, 한 쪽 생각이 잘려나간 언덕은
비를 참는다
황토 흙의 생각은 붉고
-
나는 생각노동자
생각은 불면증처럼 희거나 검게
나를 부정할 것이나
생각은 나의 힘
그냥 견디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