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성 회고록』은 방글라데시의 국부(國父)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초대 대통령의 자서전이다.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은 독립운동의 지도자이자 방글라데시 초대 대통령으로서 세속주의와 인권을 보장하는 진보적 헌법을 입안하여 국가의 기틀을 세우고, 공정한 경제를 강조한 혁명적 지도자였다. 그가 독립운동으로 인해 복역중이던 1966년부터 1969년까지 감옥에서 집필한 원본 노트가 30여년만에 발견되어 『미완성 회고록』으로 출간하였다.
치열한 독립운동과 해방, 희망의 좌절과 군부독재, 민주화와 고속 경제성장까지 한국과 방글라데시는 놀랄만큼 비슷한 길을 걸어왔다. 두 나라 국민들이 서로 깊이 이해할 수 있다면 양국은 공동번영의 길로 갈 수 있을 것이다. 이번 방글라데시 독립 50주년을 기념하여 출간한 『미완성 회고록』은 그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자주국가 방글라데시의 설계자,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한국은 독립운동 세력이 온전히 정부를 수립하지 못했고, 이후에도 끊임없는 수난을 겪었다. 반면 방글라데시는 파키스탄과의 해방전쟁을 진두지휘한 독립운동 지도자가 초대 대통령이 되었고, 범국민적 독립운동단체인 아와미연맹이 집권여당이 되었다.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은 벵골인의 민족성을 말살하려는 파키스탄의 탄압으로부터 방글라데시를 해방시켰다. 독립 이후에는 국가의 진정한 자립을 위해 다양한 경제정책을 시행했고 성과가 나기 시작했지만, 대기근과 지방의 미비한 행정, 친파키스탄 반(反)독립 세력의 준동으로 나라가 혼란해진 틈을 타 정치군인들의 쿠데타로 대통령과 일가족이 몰살당했다.
과거사 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한국과는 달리 방글라데시는 민주화 이후 군사정권의 비호 아래 호의호식하던 국부 살해범들을 모두 법정에 세웠고, 피로 얼룩진 군부독재의 어두운 역사를 국가적으로 반성하고 청산했다.
독립운동 세력이 국가의 기틀을 만들고, 민주화 이후에도 국가를 운영한 결과 방글라데시인들은 자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확고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흔들릴지언정 꺾이지 않을 확고한 정체성과 자주성을 갖춘 나라가 되었다. 한국은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했지만, 그에 반해 끊임없는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다. 한국다운 것에 대해 혼란을 느끼는 한국인들은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의 혁명적이고 원칙적인 삶과 비전, 사상에서 분명 배울 점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