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 참여연구진
목차
제1장 들어가며 14
제1절 백두대간이란 14
제2절 백두대간 자원실태변화 조사의 범위 16
제2장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반현황, 인문·사회현황, 자연현황 20
제1절 일반현황 20
1. 백두대간 보호지역 행정구역 현황 20
제2절 인문·사회현황 22
1. 백두대간 보호지역 관리 22
2.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 32
3. 인문·사회현황 34
제3절 자연현황 39
1. 물리적 환경 39
제3장 백두대간 산림생물 실태 및 변화상 조사·분석 52
제1절 식물상 및 식생 52
1. 식물상 조사방법 52
2. 식물상 조사결과 53
3. 식생분석 조사지 개황 71
4. 현존 식생 유형 및 생태적 특성 76
제2절 산림동물 158
1. 조사개요 158
2. 조사결과 162
3. 결과 종합 및 제언 227
제3절 유존종·큰나무 229
제4장 백두대간 이용실태 실태 및 변화상 조사·분석 234
제1절 토지피복 변화 234
1. 토지피복 234
2. 토지피복 변화 238
제2절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조사 264
1. 조사개요 264
2.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조사 265
제3절 백두대간 등산로 지원시설 관리실태 271
1. 조사개요 271
2. 지원시설 관리실태 274
제4절 백두대간 보호구역 산지훼손 실태 278
1. 조사개요 278
2. 백두대간 보호구역 산지훼손 현황 280
3. 훼손지 복원 방향 설정 282
제5절 백두대간 산림복지시설 현황 285
1. 조사개요 285
2. 산림복지시설에 관한 현황 조사 285
제5장 산림경관 및 휴양경관 290
제1절 산림경관 및 휴양경관 정의 290
1. 경관의 개념 290
2. 산림경관의 개념 290
3. 휴양경관의 개념 293
4. 경관자원 평가방법 검토 및 대상지 경관 평가 293
제6장 백두대간 지역활성화 사업 실태 조사·분석 306
제1절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현황 306
1. 실태조사의 개요 306
2. 주민소득지원 사업 추진현황 분석 307
제2절 지역주민소득지원 사업의 효과 및 종합 의견 315
인용문헌 317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319
판권기 327
그림 1-2-1. 백두대간의 구역 구분 17
그림 2-2-1.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현황 32
그림 3-1-1. 조사지역에 출현한 한국특산식물 54
그림 3-1-2. 조사지역에 출현한 희귀식물 57
그림 3-1-3. 조사대상지에 출현한 귀화식물 61
그림 3-1-4. 조사 대상지에 출현한 기후변화 취약식물 65
그림 3-1-5. 조사 대상지에 출현한 기후변화 취약식물 65
그림 3-1-6. 백두대간 향로봉~천왕봉 구간 식생조사구 공간분포도 74
그림 3-2-1. 백두대간 포유류 출현 과수 및 종수 결과 비교 168
그림 3-2-2. 구간별 군집분석 결과 비교 그래프 176
그림 3-2-3. 구간별 군집분석 결과 비교 그래프 178
그림 3-2-4. 구간별 군집분석 결과 비교 그래프 180
그림 3-2-5. 구간별 군집분석 결과 비교 그래프 182
그림 3-2-6. 구간별 군집분석 결과 비교 그래프 184
그림 3-2-7. 백두대간 조류 출현 과수 및 종수 결과 비교 185
그림 3-2-8. 백두대간 양서·파충류 출현 과수 및 종수 결과 비교 198
그림 3-2-9. 3차기 권역별 나비류 출현 과수 및 종수 결과 비교 206
그림 3-2-10. 포유류 출현종 사진 223
그림 3-2-11. 조류 출현종 사진 224
그림 3-2-12. 양서·파충류 출현종 사진 225
그림 3-2-13. 육상곤충(나비)류 출현종 사진 226
그림 4-1-1. 토지피복분석(3차임상도) 235
그림 4-1-2. 토지피복분석(5차임상도) 237
그림 4-2-1.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조사 구간 266
그림 4-3-1. 등산로 지원 시설 조사 야장 272
그림 4-3-2. 구간별 시설물 개수 파악 야장 272
그림 4-4-1. 산지훼손 조사 야장 279
그림 4-4-2. 현장에서 사용된 조사 야장 279
그림 4-4-3. 생태통로 위 녹화 280
그림 4-4-4. 경작지(훼손지) 280
그림 4-4-5.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훼손지 복원 원칙(예시) 282
그림 4-4-6. 사전 모니터링 및 유형별 훼손지 복원 체계 283
그림 4-4-7. 사후관리 모니터링 내용 및 범위 283
그림 4-4-8. 훼손지 복원사업 평가체계 284
그림 5-1-1. 산림경관의 개념 292
그림 5-1-2. 산림경관의 패러다임 292
그림 5-1-3. 인지적 변수 294
그림 6-1-1. 백두대간 보호지역 주민지원사업 지원현황 307
그림 6-1-2. 주민지원사업의 사업유형별 지원금액 변화추이 312
그림 6-1-3. 주민지원사업의 사업유형별 사업건수 변화추이 31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96769 | 577.3 -21-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796770 | 577.3 -21-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