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28
제1절 과업 배경 28
제2절 당해 연도 목표 및 범위 31
1. 당해 연도 목표 31
2. 당해 연도 내용 31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34
제3장 연구 방법 40
제1절 당해 연도 연구의 지리적 범위 40
제2절 당해 연도 연구 방법 42
1. 호소의 일반현황 42
2. 호소의 수문 현황 42
3. 호소의 수질 현황 45
4. 물리적 서식환경 조사 46
5. 식물플랑크톤 47
6. 동물플랑크톤 48
7. 수생식물 49
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52
9. 어류 53
10. 양서류 55
11. 호소 유역의 오염원 현황 57
12. 인문사회 및 경제적 여건 60
제4장 연구 결과 61
제1절 호소의 일반 현황 61
제2절 호소의 수문 현황 65
제3절 호소의 수질 현황 68
제4절 물리적 서식환경 110
1. 호소의 수변 경사도 110
2. 호소의 수위 변동 111
제5절 식물플랑크톤 112
1.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 112
2. 출현 분류군 수 112
3. 출현 밀도 114
4. 우점종 116
5. 클로로필 - 𝘢 118
6. 탄소량 118
7. 군집지수 120
제6절 동물플랑크톤 121
1. 출현 밀도 121
2. 군집 지수 126
3. 출현 종수 129
4. 우점종 132
5. 동물플랑크톤 탄소생체량 136
제7절 수생식물 139
1. 수생 식물상 139
2. 각 호소의 수생식물의 유형별 분류 140
3. 각 호소의 현존식생도와 식생단면도 및 군집구조에 따른 수생식물상 142
제8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51
1. 호소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154
2. 전체 호소의 개체수 현존량 156
3. 호소별 개체수 현존량 157
4. 우점종 및 우점율 160
5. 군집지수 161
6. 호소별 보고 164
제9절 어류 181
1. 동복호 181
2. 상사호 184
3. 수어호 188
4. 주암호 192
5. 하동호 196
제10절 양서류 200
1. 조사대상 호소의 일반 현황 200
2. 조사대상 전체 양서류상 200
3.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양서류 출현 분석 결과 200
4. 각 호소별 양서류상 203
제11절 오염원 현황 218
제12절 호소의 인문·사회 현황 224
제5장 결론 226
제1절 수환경 보전 및 관리 방안 226
제2절 호소별 분포 특성 요약 및 제언 229
제3절 과거 조사 요약 및 비교 257
1. 수질 257
2. 식물플랑크톤 263
3. 동물플랑크톤 265
4. 수생식물 268
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68
6. 어류 279
7. 양서류 282
제4절 조사자료 간 비교 284
제6장 연구결과 활용방안 289
제7장 종합진단평가 292
제8장 참고문헌 306
〈그림 1.1〉 수생태계 환경의 요인, 반응, 관리 요소 29
〈그림 1.2〉 전남지역 중대형 호소의 2015~2019년 평균 수질 값 29
〈그림 1.3〉 전남지역 중대형 호소의 5년간 연간 수질 변화(T-N, T-P, BOD, COD) 30
〈그림 2.1〉 전국 호소환경조사 대상 호소 현황 34
〈그림 2.2〉 전국 저수지 현황 35
〈그림 2.3〉 전남지역 환경부 및 지자체 관할 29개 호소의 과거 6년간 생물상 변화와 출판 서적 37
〈그림 2.4〉 미국 오대호에서의 장기간에 걸친 수질 변동 추이 38
〈그림 2.5〉 중국 내 저수지 분포(a) 및 호수(b) 분포 현황 39
〈그림 3.1.1〉 영산강·섬진강수계 호소환경조사 호소 지점도... 41
〈그림 3.1.2〉 주요 조사대상 호소 전경 41
〈그림 3.2.1〉 호소별 조사지점 및 위치의 예(2020년도 수생태조사: 붉은 글씨) 43
〈그림 3.2.2〉 수직 끌기 채집 및 시료 농축 49
〈그림 3.2.3〉 수생식물의 피도 조사 50
〈그림 3.2.4〉 어류조사 방법 55
〈그림 3.2.5〉 자료 추출 방법... 59
〈그림 3.2.6〉 호소환경조사 종합진단평가 자료수집 및 평가 절차(호소환경조사지침, 2017) 60
〈그림 4.1.1〉 조사대상 호소의 일반현황 64
〈그림 4.3.1〉 광주호 수질현황 69
〈그림 4.3.2〉 금호호 수질현황 72
〈그림 4.3.3〉 나주호 수질현황 75
〈그림 4.3.4〉 담양호 수질현황 78
〈그림 4.3.5〉 대동호 수질현황 81
〈그림 4.3.6〉 동복호 수질현황 84
〈그림 4.3.7〉 보성호 수질현황 87
〈그림 4.3.8〉 상사호 수질현황 90
〈그림 4.3.9〉 수어호 수질현황 93
〈그림 4.3.10〉 영산호 수질현황 96
〈그림 4.3.11〉 영암호 수질현황 99
〈그림 4.3.12〉 장성호 수질현황 102
〈그림 4.3.13〉 주암호 수질현황 105
〈그림 4.3.14〉 하동호 수질현황 108
〈그림 4.5.1〉 영산강·섬진강 수계 5개 호소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112
〈그림 4.5.2〉 호소별 출현 식물플랑크톤 종 수 변화 113
〈그림 4.5.3〉 호소별 출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115
〈그림 4.5.4〉 호소별 출현 식물플랑크톤 클로로필-𝘢 농도 변화 118
〈그림 4.5.5〉 호소별 출현 식물플랑크톤 탄소량 변화 119
〈그림 4.5.6〉 호소별 시기별 군집 지수 120
〈그림 4.6.1〉 호소별 동물플랑크톤 출현 밀도 124
〈그림 4.6.2〉 호소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 상대풍부도 125
〈그림 4.6.3〉 호소별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131
〈그림 4.6.4〉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134
〈그림 4.6.5〉 호소별 동물플랑크톤 탄소 생체량 138
〈그림 4.7.1〉 호소의 수생식물 유형별 분류군 수 140
〈그림 4.7.2〉 호소의 수생식물 유형별 비율 141
〈그림 4.7.3〉 동복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3
〈그림 4.7.4〉 동복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 143
〈그림 4.7.5〉 상사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4
〈그림 4.7.6〉 상사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 144
〈그림 4.7.7〉 수어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6
〈그림 4.7.8〉 수어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 146
〈그림 4.7.9〉 주암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7
〈그림 4.7.10〉 주암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JA1) 147
〈그림 4.7.11〉 하동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9
〈그림 4.7.12〉 하동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 HD1 149
〈그림 4.8.1〉 전 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종수 비율 153
〈그림 4.8.2〉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호소별 종수 155
〈그림 4.8.3〉 전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총 개체수 비율 156
〈그림 4.8.4〉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호소별 분류군별 총 개체수 비율 158
〈그림 4.8.5〉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각 호소의 군집지수 163
〈그림 4.9.1〉 동복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81
〈그림 4.9.2〉 동복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83
〈그림 4.9.3〉 동복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84
〈그림 4.9.4〉 상사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84
〈그림 4.9.5〉 상사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86
〈그림 4.9.6〉 상사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87
〈그림 4.9.7〉 수어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88
〈그림 4.9.8〉 수어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0
〈그림 4.9.9〉 수어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91
〈그림 4.9.10〉 주암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92
〈그림 4.9.11〉 주암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4
〈그림 4.9.12〉 주암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95
〈그림 4.9.13〉 하동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96
〈그림 4.9.14〉 하동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8
〈그림 4.9.15〉 하동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99
〈그림 4.10.1〉 각 호소별 군집분석 결과 202
〈그림 4.10.2〉 동복호 서식지 전경 204
〈그림 4.10.3〉 동복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 비율 205
〈그림 4.10.4〉 동복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05
〈그림 4.10.5〉 상사호 서식지 전경 207
〈그림 4.10.6〉 상사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 비율 208
〈그림 4.10.7〉 상사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08
〈그림 4.10.8〉 수어호 서식지 전경 210
〈그림 4.10.9〉 수어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비율 211
〈그림 4.10.10〉 수어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11
〈그림 4.10.11〉 주암호 서식지 전경 213
〈그림 4.10.12〉 주암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비율 214
〈그림 4.10.13〉 주암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14
〈그림 4.10.14〉 하동호 서식지 전경 216
〈그림 4.10.15〉 하동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비율 217
〈그림 4.10.16〉 하동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17
〈그림 4.11.1〉 오염원 현황 - 생활계 218
〈그림 4.11.2〉 오염원 현황 - 축산계 219
〈그림 4.11.3〉 오염원 현황 - 산업계 220
〈그림 4.11.4〉 오염원 현황 - 토지계 221
〈그림 4.11.5〉 오염원 현황 - 양식계 222
〈그림 4.11.6〉 오염원 현황 - 기타수질오염원 223
〈그림 5.3.3.1〉 연간 동물플랑크톤 출현 밀도 변화(개체/L) 266
〈그림 5.3.3.2〉 연간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변화 267
〈그림 5.4.1〉 조사자료 비교(종합) 285
〈그림 5.4.2〉 조사자료 비교(수질과 수생태조사 결과 종 수) 286
〈그림 5.4.3〉 조사자료 비교(수질과 수생태조사 결과 개체 수) 287
〈그림 5.4.4〉 조사자료 비교(수질과 오염원조사 및 재원 결과) 288
〈그림 6.1〉 작살(좌)과 카약(우) 이용한 황소개구리 포획법 290
〈그림 6.2〉 통발 및 어구를 이용한 황소개구리 퇴치(예시) 290
〈그림 6.3〉 펌프를 이용한 황소개구리 알 퇴치 방법 291
〈그림 6.4〉 미소서식지 조성법 29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96613 | 577.63 -2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796614 | 577.63 -2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