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28

제1절 과업 배경 28

제2절 당해 연도 목표 및 범위 31

1. 당해 연도 목표 31

2. 당해 연도 내용 31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34

제3장 연구 방법 40

제1절 당해 연도 연구의 지리적 범위 40

제2절 당해 연도 연구 방법 42

1. 호소의 일반현황 42

2. 호소의 수문 현황 42

3. 호소의 수질 현황 45

4. 물리적 서식환경 조사 46

5. 식물플랑크톤 47

6. 동물플랑크톤 48

7. 수생식물 49

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52

9. 어류 53

10. 양서류 55

11. 호소 유역의 오염원 현황 57

12. 인문사회 및 경제적 여건 60

제4장 연구 결과 61

제1절 호소의 일반 현황 61

제2절 호소의 수문 현황 65

제3절 호소의 수질 현황 68

제4절 물리적 서식환경 110

1. 호소의 수변 경사도 110

2. 호소의 수위 변동 111

제5절 식물플랑크톤 112

1.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 112

2. 출현 분류군 수 112

3. 출현 밀도 114

4. 우점종 116

5. 클로로필 - 𝘢 118

6. 탄소량 118

7. 군집지수 120

제6절 동물플랑크톤 121

1. 출현 밀도 121

2. 군집 지수 126

3. 출현 종수 129

4. 우점종 132

5. 동물플랑크톤 탄소생체량 136

제7절 수생식물 139

1. 수생 식물상 139

2. 각 호소의 수생식물의 유형별 분류 140

3. 각 호소의 현존식생도와 식생단면도 및 군집구조에 따른 수생식물상 142

제8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51

1. 호소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154

2. 전체 호소의 개체수 현존량 156

3. 호소별 개체수 현존량 157

4. 우점종 및 우점율 160

5. 군집지수 161

6. 호소별 보고 164

제9절 어류 181

1. 동복호 181

2. 상사호 184

3. 수어호 188

4. 주암호 192

5. 하동호 196

제10절 양서류 200

1. 조사대상 호소의 일반 현황 200

2. 조사대상 전체 양서류상 200

3.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양서류 출현 분석 결과 200

4. 각 호소별 양서류상 203

제11절 오염원 현황 218

제12절 호소의 인문·사회 현황 224

제5장 결론 226

제1절 수환경 보전 및 관리 방안 226

제2절 호소별 분포 특성 요약 및 제언 229

제3절 과거 조사 요약 및 비교 257

1. 수질 257

2. 식물플랑크톤 263

3. 동물플랑크톤 265

4. 수생식물 268

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68

6. 어류 279

7. 양서류 282

제4절 조사자료 간 비교 284

제6장 연구결과 활용방안 289

제7장 종합진단평가 292

제8장 참고문헌 306

표목차

〈표 1.1〉 조사항목과 분류군에 대한 사업내용 32

〈표 3.1.1〉 2020년 영산강·섬진강수계 호소환경조사 당해연도(2020년) 조사호소 40

〈표 3.2.1〉 TSIₖₒ에 따른 영양단계 46

〈표 3.2.2〉 동물플랑크톤 조사 시기 48

〈표 3.2.3〉 호소의 크기 및 수심에 따른 조사 방법 48

〈표 3.2.4〉 Braun-Blanquet의 피도 계급 51

〈표 3.2.5〉 호소별 어류 조사도구 및 지점 정보 54

〈표 3.2.6〉 호소별 조사지점 구분(양서류) 56

〈표 4.1.1〉 호소의 일반현황 64

〈표 4.2.1〉 호소의 수문현황 67

〈표 4.3.1〉 광주호 수질 현황 68

〈표 4.3.2〉 광주호 영양단계 평가 69

〈표 4.3.3〉 금호호 수질 현황 71

〈표 4.3.4〉 금호호 영양단계 평가 72

〈표 4.3.5〉 나주호 수질 현황 74

〈표 4.3.6〉 나주호 영양단계 평가 75

〈표 4.3.7〉 담양호 수질 현황 77

〈표 4.3.8〉 담양호 영양단계 평가 78

〈표 4.3.9〉 대동호 수질 현황 80

〈표 4.3.10〉 대동호 영양단계 평가 81

〈표 4.3.11〉 동복호 수질 현황 83

〈표 4.3.12〉 동복호 영양단계 평가 84

〈표 4.3.13〉 보성호 수질 현황 86

〈표 4.3.14〉 보성호 영양단계 평가 87

〈표 4.3.15〉 상사호 수질 현황 89

〈표 4.3.16〉 상사호 영양단계 평가 90

〈표 4.3.17〉 수어호 수질 현황 92

〈표 4.3.18〉 수어호 영양단계 평가 93

〈표 4.3.19〉 영산호 수질 현황 95

〈표 4.3.20〉 영산호 영양단계 평가 96

〈표 4.3.21〉 영암호 수질 현황 98

〈표 4.3.22〉 영암호 영양단계 평가 99

〈표 4.3.23〉 장성호 수질 현황 101

〈표 4.3.24〉 장성호 영양단계 평가 102

〈표 4.3.25〉 주암호 수질 현황 104

〈표 4.3.26〉 주암호 영양단계 평가 105

〈표 4.3.27〉 하동호 수질 현황 107

〈표 4.3.28〉 하동호 영양단계 평가 108

〈표 4.4.1〉 호소별 월별 평균 수위 및 월별 저수율 111

〈표 4.6.1〉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127

〈표 4.6.2〉 호소별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133

〈표 4.7.1〉 각 호소별 수생식물 분류군 139

〈표 4.7.2〉 호소별 수생식물 유형별 분류군 수 140

〈표 4.7.3〉 호소별 수생식물 유형별 분류군 수에 따른 비율 141

〈표 4.7.4〉 동복호의 식생에 따른 군집 142

〈표 4.7.5〉 동복호의 식생단면도 143

〈표 4.7.6〉 상사호의 식생에 따른 군집 144

〈표 4.7.7〉 상사호의 식생단면도 145

〈표 4.7.8〉 수어호의 식생에 따른 군집 145

〈표 4.7.9〉 수어호의 식생단면도 146

〈표 4.7.10〉 주암호의 식생에 다른 군집 148

〈표 4.7.11〉 주암호의 식생단면도 148

〈표 4.7.12〉 하동호의 식생에 다른 군집 149

〈표 4.7.13〉 소포제의 식생단면도 150

〈표 4.8.1〉 전 조사기간 동안 전 조사 지점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목록 151

〈표 4.8.2〉 전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지점별 분류군 수 153

〈표 4.8.3〉 조사에서 출현한 호소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 목록(정성) 154

〈표 4.8.4〉 전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호소별 총 개체수 현존량 158

〈표 4.8.5〉 1차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호소별 총 개체수 현존량 159

〈표 4.8.6〉 2차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호소별 총 개체수 현존량 159

〈표 4.8.7〉 1차 조사에서 나타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율 160

〈표 4.8.8〉 2차 조사에서 나타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율 161

〈표 4.8.9〉 1차 조사에서 나타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군집지수 162

〈표 4.8.10〉 2차 조사에서 나타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군집지수 163

〈표 4.8.11〉 동복호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정량과 정성) 165

〈표 4.8.12〉 동복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현존량 166

〈표 4.8.13〉 동복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율 167

〈표 4.8.14〉 동복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군집지수 167

〈표 4.8.15〉 상사호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정량과 정성) 168

〈표 4.8.16〉 상사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현존량 169

〈표 4.8.17〉 상사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율 170

〈표 4.8.18〉 상사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군집지수 170

〈표 4.8.19〉 수어호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정량과 정성) 171

〈표 4.8.20〉 수어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현존량 172

〈표 4.8.21〉 수어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율 173

〈표 4.8.22〉 수어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군집지수 173

〈표 4.8.23〉 주암호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정량과 정성) 174

〈표 4.8.24〉 주암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현존량 176

〈표 4.8.25〉 주암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율 176

〈표 4.8.26〉 주암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군집지수 177

〈표 4.8.27〉 하동호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정량과 정성) 178

〈표 4.8.28〉 하동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현존량 179

〈표 4.8.29〉 하동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율 179

〈표 4.8.30〉 하동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군집지수 180

〈표 4.9.1〉 동복호의 지점별 어류상 181

〈표 4.9.2〉 동복호의 시기별 어류상 182

〈표 4.9.3〉 동복호의 지점별 우점종 및 아우점종 182

〈표 4.9.4〉 동복호의 고유종, 외래종 및 법정보호종 출현 현황 183

〈표 4.9.5〉 동복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83

〈표 4.9.6〉 상사호의 지점별 어류상 185

〈표 4.9.7〉 상사호의 시기별 어류상 185

〈표 4.9.8〉 상사호의 지점별 우점종 및 아우점종 186

〈표 4.9.9〉 상사호의 고유종, 외래종 및 법정보호종 출현 현황 187

〈표 4.9.10〉 상사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87

〈표 4.9.11〉 수어호의 지점별 어류상 188

〈표 4.9.12〉 수어호의 시기별 어류상 189

〈표 4.9.13〉 수어호의 지점별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0

〈표 4.9.14〉 수어호의 고유종, 외래종 및 법정보호종 출현 현황 190

〈표 4.9.15〉 수어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91

〈표 4.9.16〉 주암호의 지점별 어류상 192

〈표 4.9.17〉 주암호의 시기별 어류상 193

〈표 4.9.18〉 주암호의 지점별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4

〈표 4.9.19〉 주암호의 고유종, 외래종 및 법정보호종 출현 현황 194

〈표 4.9.20〉 주암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95

〈표 4.9.21〉 하동호의 지점별 어류상 196

〈표 4.9.22〉 하동호의 시기별 어류상 197

〈표 4.9.23〉 하동호의 지점별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7

〈표 4.9.24〉 하동호의 고유종, 외래종 및 법정보호종 출현 현황 198

〈표 4.9.25〉 하동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98

〈표 4.10.1〉 2018~2020년 영산강·섬진강 수계의 호소에서 출현한 황소개구리 밀도 201

〈표 4.10.2〉 조사지점별 양서류 출현목록 201

〈표 4.10.3〉 조사대상 5개 호소의 양서류 우점종 및 우점율 201

〈표 4.10.4〉 조사대상 6개 호소의 양서류 군집지수 202

〈표 4.10.5〉 동복호 지점별 양서류 현황 203

〈표 4.10.6〉 동복호의 양서류 우점종과 군집분석 결과 204

〈표 4.10.7〉 상사호 지점별 양서류 현황 206

〈표 4.10.8〉 상사호의 양서류 우점종과 군집분석 결과 207

〈표 4.10.9〉 수어호 지점별 양서류 현황 209

〈표 4.10.10〉 수어호의 양서류 우점종과 군집분석 결과 210

〈표 4.10.11〉 주암호 지점별 양서류 현황 212

〈표 4.10.12〉 주암호의 양서류 우점종과 군집분석 결과 213

〈표 4.10.13〉 하동호 지점별 양서류 현황 215

〈표 4.10.14〉 하동호의 양서류 우점종과 군집분석 결과 216

〈표 5.3.1.1〉 광주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57

〈표 5.3.1.2〉 금호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57

〈표 5.3.1.3〉 나주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58

〈표 5.3.1.4〉 담양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58

〈표 5.3.1.5〉 대동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59

〈표 5.3.1.6〉 동복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59

〈표 5.3.1.7〉 보성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60

〈표 5.3.1.8〉 상사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60

〈표 5.3.1.9〉 수어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61

〈표 5.3.1.10〉 영산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61

〈표 5.3.1.11〉 영암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62

〈표 5.3.1.12〉 장성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62

〈표 5.3.1.13〉 주암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63

〈표 5.3.1.14〉 하동호 수질 조사 결과(2018-2020) 263

〈표 5.3.2.1〉 2008~2020년 각 호소별 연간 출현 종 수 및 밀도 변화 265

〈표 5.3.5.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방법 변동 269

〈표 5.3.5.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호소별 기존 조사년도 269

〈표 5.3.5.3〉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학명의 변경 내역 269

〈표 5.3.5.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연도별 각 호소의 종수 270

〈표 5.3.5.5〉 동복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연도별 출현양상 270

〈표 5.3.5.6〉 동복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년도 별 군집지수 변동(연간 평균) 272

〈표 5.3.5.7〉 상사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연도별 출현양상 272

〈표 5.3.5.8〉 상사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연도 별 군집지수 변동(연간 평균) 273

〈표 5.3.5.9〉 수어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연도별 출현양상 274

〈표 5.3.5.10〉 수어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년도 별 군집지수 변동(연간 평균) 275

〈표 5.3.5.11〉 주암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연도별 출현양상 275

〈표 5.3.5.12〉 주암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년도 별 군집지수 변동(연간 평균) 277

〈표 5.3.5.13〉 하동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연도별 출현양상 277

〈표 5.3.5.14〉 하동호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년도 별 군집지수 변동(연간 평균) 278

〈표 5.3.6.1〉 동복호 과거 어류상 조사 결과와 비교 279

〈표 5.3.6.2〉 상사호 과거 어류상 조사 결과와 비교 280

〈표 5.3.6.3〉 수어호 과거 어류상 조사 결과와 비교 280

〈표 5.3.6.4〉 주암호 과거 어류상 조사 결과와 비교 281

〈표 5.3.6.5〉 하동호 과거 어류상 조사 결과와 비교 282

〈표 5.3.7.1〉 과거조사와 본 조사 양서류 비교 283

그림목차

〈그림 1.1〉 수생태계 환경의 요인, 반응, 관리 요소 29

〈그림 1.2〉 전남지역 중대형 호소의 2015~2019년 평균 수질 값 29

〈그림 1.3〉 전남지역 중대형 호소의 5년간 연간 수질 변화(T-N, T-P, BOD, COD) 30

〈그림 2.1〉 전국 호소환경조사 대상 호소 현황 34

〈그림 2.2〉 전국 저수지 현황 35

〈그림 2.3〉 전남지역 환경부 및 지자체 관할 29개 호소의 과거 6년간 생물상 변화와 출판 서적 37

〈그림 2.4〉 미국 오대호에서의 장기간에 걸친 수질 변동 추이 38

〈그림 2.5〉 중국 내 저수지 분포(a) 및 호수(b) 분포 현황 39

〈그림 3.1.1〉 영산강·섬진강수계 호소환경조사 호소 지점도... 41

〈그림 3.1.2〉 주요 조사대상 호소 전경 41

〈그림 3.2.1〉 호소별 조사지점 및 위치의 예(2020년도 수생태조사: 붉은 글씨) 43

〈그림 3.2.2〉 수직 끌기 채집 및 시료 농축 49

〈그림 3.2.3〉 수생식물의 피도 조사 50

〈그림 3.2.4〉 어류조사 방법 55

〈그림 3.2.5〉 자료 추출 방법... 59

〈그림 3.2.6〉 호소환경조사 종합진단평가 자료수집 및 평가 절차(호소환경조사지침, 2017) 60

〈그림 4.1.1〉 조사대상 호소의 일반현황 64

〈그림 4.3.1〉 광주호 수질현황 69

〈그림 4.3.2〉 금호호 수질현황 72

〈그림 4.3.3〉 나주호 수질현황 75

〈그림 4.3.4〉 담양호 수질현황 78

〈그림 4.3.5〉 대동호 수질현황 81

〈그림 4.3.6〉 동복호 수질현황 84

〈그림 4.3.7〉 보성호 수질현황 87

〈그림 4.3.8〉 상사호 수질현황 90

〈그림 4.3.9〉 수어호 수질현황 93

〈그림 4.3.10〉 영산호 수질현황 96

〈그림 4.3.11〉 영암호 수질현황 99

〈그림 4.3.12〉 장성호 수질현황 102

〈그림 4.3.13〉 주암호 수질현황 105

〈그림 4.3.14〉 하동호 수질현황 108

〈그림 4.5.1〉 영산강·섬진강 수계 5개 호소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112

〈그림 4.5.2〉 호소별 출현 식물플랑크톤 종 수 변화 113

〈그림 4.5.3〉 호소별 출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115

〈그림 4.5.4〉 호소별 출현 식물플랑크톤 클로로필-𝘢 농도 변화 118

〈그림 4.5.5〉 호소별 출현 식물플랑크톤 탄소량 변화 119

〈그림 4.5.6〉 호소별 시기별 군집 지수 120

〈그림 4.6.1〉 호소별 동물플랑크톤 출현 밀도 124

〈그림 4.6.2〉 호소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 상대풍부도 125

〈그림 4.6.3〉 호소별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131

〈그림 4.6.4〉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사진 134

〈그림 4.6.5〉 호소별 동물플랑크톤 탄소 생체량 138

〈그림 4.7.1〉 호소의 수생식물 유형별 분류군 수 140

〈그림 4.7.2〉 호소의 수생식물 유형별 비율 141

〈그림 4.7.3〉 동복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3

〈그림 4.7.4〉 동복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 143

〈그림 4.7.5〉 상사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4

〈그림 4.7.6〉 상사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 144

〈그림 4.7.7〉 수어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6

〈그림 4.7.8〉 수어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 146

〈그림 4.7.9〉 주암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7

〈그림 4.7.10〉 주암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JA1) 147

〈그림 4.7.11〉 하동호 수생식물 조사정점 149

〈그림 4.7.12〉 하동호 수생식물 현존식생도 HD1 149

〈그림 4.8.1〉 전 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종수 비율 153

〈그림 4.8.2〉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호소별 종수 155

〈그림 4.8.3〉 전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총 개체수 비율 156

〈그림 4.8.4〉 조사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호소별 분류군별 총 개체수 비율 158

〈그림 4.8.5〉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각 호소의 군집지수 163

〈그림 4.9.1〉 동복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81

〈그림 4.9.2〉 동복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83

〈그림 4.9.3〉 동복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84

〈그림 4.9.4〉 상사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84

〈그림 4.9.5〉 상사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86

〈그림 4.9.6〉 상사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87

〈그림 4.9.7〉 수어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88

〈그림 4.9.8〉 수어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0

〈그림 4.9.9〉 수어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91

〈그림 4.9.10〉 주암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92

〈그림 4.9.11〉 주암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4

〈그림 4.9.12〉 주암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95

〈그림 4.9.13〉 하동호 어류 과별 출현 비율 및 종별 상대풍부도 196

〈그림 4.9.14〉 하동호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8

〈그림 4.9.15〉 하동호의 지점별 군집지수 199

〈그림 4.10.1〉 각 호소별 군집분석 결과 202

〈그림 4.10.2〉 동복호 서식지 전경 204

〈그림 4.10.3〉 동복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 비율 205

〈그림 4.10.4〉 동복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05

〈그림 4.10.5〉 상사호 서식지 전경 207

〈그림 4.10.6〉 상사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 비율 208

〈그림 4.10.7〉 상사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08

〈그림 4.10.8〉 수어호 서식지 전경 210

〈그림 4.10.9〉 수어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비율 211

〈그림 4.10.10〉 수어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11

〈그림 4.10.11〉 주암호 서식지 전경 213

〈그림 4.10.12〉 주암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비율 214

〈그림 4.10.13〉 주암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14

〈그림 4.10.14〉 하동호 서식지 전경 216

〈그림 4.10.15〉 하동호 지점별 양서류 출현비율 217

〈그림 4.10.16〉 하동호의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217

〈그림 4.11.1〉 오염원 현황 - 생활계 218

〈그림 4.11.2〉 오염원 현황 - 축산계 219

〈그림 4.11.3〉 오염원 현황 - 산업계 220

〈그림 4.11.4〉 오염원 현황 - 토지계 221

〈그림 4.11.5〉 오염원 현황 - 양식계 222

〈그림 4.11.6〉 오염원 현황 - 기타수질오염원 223

〈그림 5.3.3.1〉 연간 동물플랑크톤 출현 밀도 변화(개체/L) 266

〈그림 5.3.3.2〉 연간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변화 267

〈그림 5.4.1〉 조사자료 비교(종합) 285

〈그림 5.4.2〉 조사자료 비교(수질과 수생태조사 결과 종 수) 286

〈그림 5.4.3〉 조사자료 비교(수질과 수생태조사 결과 개체 수) 287

〈그림 5.4.4〉 조사자료 비교(수질과 오염원조사 및 재원 결과) 288

〈그림 6.1〉 작살(좌)과 카약(우) 이용한 황소개구리 포획법 290

〈그림 6.2〉 통발 및 어구를 이용한 황소개구리 퇴치(예시) 290

〈그림 6.3〉 펌프를 이용한 황소개구리 알 퇴치 방법 291

〈그림 6.4〉 미소서식지 조성법 291

이용현황보기

영산강·섬진강수계 호소환경조사 = Survey on lake environment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 2020년 최종보고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96613 577.63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96614 577.63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