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부
목판화·15
동그랗게·17
버드나무 세탁소·18
사과·20
강물 학교·22
달 칼라 현상소·24
이마·26
햇살에게 이유를 묻는다·28
바라보기·30
해가 뜨고 나무가 자라고·32
코끼리가 산다·34
바다 미용실·36
구름 냉면·38
펴락민박·40
나는 해동한다·42

2부

궁리·47
소녀는 구름의 책장을 넘긴다·48
노릿노릿 노을 진다·50
짓, 짓·52
모모·54
찬의 잔치·56
구른다·58
가위·60
단무지·62
강릉 갈래·64
손가락 틈·66
곡선·68
달·69
흘러내린다·70
반달이 뜨는 밤·72

3부

사과의 얼굴·77
걸어간 적이 있다·78

이불·80
낱장·82
술과 잠·84
코너킥·86
봄나들이·88
전주동물원 밤 벚꽃놀이·90
식구, 한 판 불어오는·92
지네가 나올라·94
물의 문장·96
조각달·98
종달새·100
터널·102
문턱·104
살갗이 없어서·106
베개·108

4부

흰·113
한 뼘·116
입하와 망종 사이에·118
말·120
만월·122
목욕하는 여인·124
고주망태, 고추망태·126
새를 그리다·129
얼음·132
가을이니까·134
달린다, 버스·137
가랑잎 눈발·138
슷슷 불어오는 바람이 발목을 적신다·140
등 뒤로·142
닭미역국·144

해설 | 김지윤(문학평론가)
“허공에 깃든 존재의 빛, 신념의 감각”

이용현황보기

달 칼라 현상소 : 진창윤 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99018 811.15 -21-164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99019 811.15 -21-164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허공에 깃든 존재의 빛, 신념의 감각”

㈜여우난골의 2021년 시인수첩 시인선 47번으로 진창윤 시인의 시집 <달 칼라 현상소>가 출간됐다. 진창윤의 시는 세상에 있는 것들이 아니라 없는 것에 대해 말함으로써 이 세계를 해명한다. 없는 것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은 육체의 능력이라기보다는 영적 능력이며, ‘판타지아’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판타지아(phantasia)’는 환상이나 공상이 아니라 감각을 통해 수용된 대상들에 자신의 기억과 경험을 결합하여 하나의 그림과 같은 판타스마(phantasma)를 구성하는 것이다. 어원상 ‘나타나게 하다’ 혹은 ‘보이게 하다’의 의미를 가진 ‘phantaz?’에서 파생된 명사인 판타지아는 이미지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힘이다. 화가이기도 한 진창윤 시인은 붓을 들어 마음속 이미지들을 백지에 그려내듯 시적 심상을 언어로 빚어내서 우리에게 보여준다. 진창윤의 첫 시집은 ‘없음’에 대한 인식으로 가득 차 있다. ‘없는 눈’을 떠서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보고, ‘없는 귀’를 열고 들리지 않는 것을 듣는 시인의 감각은 현실태가 아닌, 세상의 모든 잠재태들을 향해 있으며 수많은 백지들의 세상을 담아내는 화폭으로 만든다. 2017년 문화일보로 등단한 그의 당선작 「목판화」는 목판화의 창작기법을 적용하여 목판을 깎는 조각도의 칼끝을 따라 시적 풍경이 새겨지는 모습을 형상화하여 호평을 받은 작품이다. 이 시는 ‘없음’이 어떻게 생성으로 바뀌는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세상을 감각하여 하나의 판타스마를 형성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시인은 소멸해가는 것일수록 망원렌즈를 통해 보는 것처럼 가까이 들여다보며 몰두하고 사라진 것일수록 그 자리를 포착해내려 심혈을 기울인다.

표제작인「달 칼라현상소」는 열일곱 딸이 집을 나간 이후 “사진을 박는 것이 직업”이 된 한 남자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는 “한 장의 사진에 밤하늘을 박”고, “인화지에 찍혀 나오는 사진 한 장에서/ 달의 얼굴들을 아랫목에 말린다.” 그러나 달은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달의 얼굴들은 모두 같지 않다. “그의 앞마당에 쌓인 폐품들이/ 달의 얼굴로 처마에 닿아가”듯이 그가 찍은 달의 사진은 금방 모습이 바뀜으로서 본래의 의도를 계속적으로 벗어나지만 그는 그것을 붙들고, 남기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 소멸과 변화, 상실에 저항하기 위해 그는 사라지는 피사체들을 프레임 속에 붙들고, 그것은 한 폭의 목판화와 같은 ‘시’가 된다. 이 시집을 읽어내려 가다보면 진창윤 시에서 포착되는 클로즈업된 수많은 정지 프레임들이 “물처럼 동그랗게 녹아 잊혀지는 것들이 만들어가는 들판”이며 “찢어질 듯 연결된 몸으로 이어가는 것들”(「동그랗게」)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화가로 활동하다 오랜 습작기를 거쳐 등단한 진창윤 시인은 사라지는 찰나의 시간을 잡아두려 하는 그림과 문학의 공통된 욕망이 만나는 자리를 알고 있는 듯하다. 그 자리에는 슬픔이 있지만, 상실에 대한 절망이나 무기력을 동반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 무엇보다 적극적으로 ‘끝’에 저항하는 슬픔이다. 곧 사라질 무언가를 흐릿한 빛에 비추어 클로즈업해서 보고, 기록하고 향유하고 기억하면서, 남아 있는 시간에 몰두하고 전념하면서. 그리고 결국 흔적도 없이 스러져버린 이후에도, 그의 노력은 멈추지 않는다. (김지윤 문학평론가 해설 중에서)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목판화
진창윤

목판 위에 칼을 대면
마을에 눈 내리는 소리가 들린다
골목 안쪽으로 흘러들어 고이는 풍경들은 늘 배경이다
늦은 밤 집으로 돌아오는 여자의
문 따는 소리를 들으려면 손목에 힘을 빼야 한다
칼은 골목을 따라 가로등을 세우고 지붕 위에 기와를 덮고
용마루 위의 길고양이 걸음을 붙들고
담장에 막혀 크는 감나무의 가지를 펼쳐준다
나는 여자의 발소리와 아이의
소리 없는 울음을 나무에 새겨 넣기 위해
밤이 골목 끝에서 떼쓰며 우는 것도 잊어야 한다
불 꺼진 문틈으로 냄비 타는 냄새가 새어 나오더라도
칼을 놓지 않아야 한다, 그쯤 되면
밤 열두 시의 종소리도 새겨 넣을 수 있을 것이다
삶의 여백은 언제나 좁아서
칼이 지나간 움푹 팬 자리는 서럽고 아프다
지붕 위로 어두운 윤곽이 드러나면 드문드문 송곳을 찍어
마치 박다 만 못 자국처럼 별을 새겨 넣는다
드디어 깜깜한 하늘에 귀가 없는 별이 뜬다
여자는 퉁퉁 불은 이불을 아이의 턱밑까지 덮어주었다
내 칼이 닿지 않는 곳마다 눈이 내리고 있다
달 칼라 현상소
진창윤

해가 지면 남자는 달을 줍는다
오래전부터 혼자 사는 남자는
사진 박는 것이 직업이다
가로등 아래 골판지 달 맥주병 달
자전거에 싣고 온 달들을 둘둘 말아
마루에서 안방까지 차곡차곡 쌓았다
월식의 밤, 열일곱 살 딸이 집을 나가자
달 칼라 현상소 간판 붙이고 사진관을 열었다
달이라는 말과 현상한다는 말이 좋았다
한 장의 사진에 밤하늘을 박아 팔고 싶어
달을 표적 삼아 카메라를 들이댄다
인화지에 찍혀 나오는 사진 한 장에서
달의 얼굴들을 아랫목에 말린다
디지털로 바뀐 지가 언제인데
코닥필름 회사 망한 지가 언제인데
아날로그 필름만을 고집하는 달 칼라 현상소 남자
자꾸만 얼굴을 바꾸는 달을 좇는다
그의 앞마당에 쌓인 폐품들이
달의 얼굴로 처마에 닿아 간다
더 벗을 것도 없는 달, 고무대야 속에 담겨 있다
사진관 남자는 껍질뿐인 까만 얼굴
달빛에 물들라고 단단하게 비비고 있다
햇살에게 이유를 묻는다
진창윤

때때로 각도를 바꾸는 너, 책상 한 자리를 차지하고
청춘 아닌 청춘으로 다가오는 너를 커튼으로 가린다

나뭇가지를 뽑아 하늘로 당기며
직선으로만 다가와 등 굽힐 줄 모르는 너에게 굴복하기 위해
나는 자기소개서처럼 고분고분해지려고 한다

모든 축축한 것의 어머니
가늘게 걸어갈수록 눈에 띄는 너는
눈썹 끝에서 가끔 한 조각씩 묻어나는
기러기처럼 하늘 끝으로 줄지어 날기도 하겠지
그늘을 심복으로 데리고 다니는 너를 기다리지만
어두워지면 간다는 말도 없이 등을 보이겠지

얼굴 없는 책상을 뚫어지게 바라보다
어디서 숨소리 푸르게 꿈틀거리는
도서관에서 몇 자 적는다
대한 지나고 입춘 나흘 남았다 이제 그만 헤매라
이마를 거울로 몇 대 때려 집으로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