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3

1. 서론 13

1. 연구배경 및 목적 14

2. 연구내용 및 방법 16

2. 공원녹지분야 국내외 정책동향 분석 18

1. 사회 트렌드와 코로나19 이후 사회 변화 19

1) 코로나19 이후 업종별 특성에 따른 경기회복 유형 19

2) 2030세대와 액티브 시니어의 특성 20

3) 여행 트렌드 21

4) 체험 중심의 여가활동에 대한 요구 22

5) 여가 시설에 대한 요구 23

6) 집과 동네의 영향력 확대 23

7) 친환경에 대한 사회적 요구 24

2. 중앙정부 정책동향 25

1) 제5차 국토종합계획 25

2)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 30

3) 제3차 자연환경보전 기본계획 35

4) 제6차 산림기본계획 38

3. 타도시 관련 조직 및 업무분석 41

3. 인천시 공원녹지분야 주요 현황 분석 58

1. 공원녹지 현황 분석 59

1) 공원 지정 양 비교(2002년~2020년) 59

2) 공원 조성율 비교(2002년~2020년) 61

3) 녹지 지정 양 및 조성율 비교(2002년~2020년) 64

2. 공원녹지분야 관련 조직 및 업무 분석 66

1) 주택녹지국 66

2) 환경국 70

3) 해양항공국 71

4) 기타 연계부서 73

3. 2004~2021 사업현황 비교 분석 74

1) 도시녹화 및 조경분야 74

2) 산림분야 79

3) 산림휴양분야 81

4) 공원분야 82

4. 공원 녹지분야 정책방향 및 핵심사업 85

1. 종합 86

1) 사회트렌드와 코로나19 이후 사회 변화 86

2) 중앙정부 정책 동향 88

3) 타도시 조직 및 업무 94

4) 인천시 공원녹지분야 주요 현황 96

5) 인천시 공원녹지분야관련 조직 및 사업 변화(2004~2021) 97

6) 인천광약시 공원녹지관련 분야 SWOT 분석 99

2. 공원녹지분야 정책 방향 101

1) 수요자(시민) 중심의 서비스 강화 103

2) 1.5℃ 기후위기 녹색 대응 106

3) 조직 정비와 부서간 연계성 강화 108

3. 핵심사업 제안 116

1) 한남정맥 그랜드 S파크 추진 116

2) 6대 대공원 체계에서 → 15대 대공원 체계로 확대 118

3) 수도권매립지 국가정원 추진 및 정원박람회 개최 123

4) 공영노외주차장 공원화 125

5) 마니산, 갯벌 연계 국립공원 지정 및 운영 127

참고문헌 129

[부록] 131

판권기 135

표목차

[표 2-1] 업종별 특성에 따른 경기 회복 유형 20

[표 2-2] 국토-환경계획 5대 통합관리 추진 전략 27

[표 2-3] 한강 수도권 생태환경 증진 전략 34

[표 2-4] 공원녹지정책과 팀별 주요 업무 43

[표 2-5] 공원조성과 팀별 주요 업무 44

[표 2-6] 조경과 팀별 주요 업무 45

[표 2-7] 자연생태과 팀별 주요 업무 48

[표 2-8] 산지방재과 팀별 주요 업무 50

[표 2-9] 공원운영과 팀별 주요 업무 52

[표 2-10] 산림생태과 팀별 주요 업무 53

[표 2-11] 녹지공원과 팀별 주요 업무 55

[표 2-12] 태화강국가정원과 팀별 주요 업무 56

[표 2-13] 생태정원과 팀별 주요 업무 57

[표 3-1] 공원 개소수 비교(2002년~2020년) 59

[표 3-2] 공원 면적 비교(2002년~2020년) 61

[표 3-3] 공원 조성율 비교(개소수 기준, 2002년~2020년) 62

[표 3-4] 공원 조성율 비교(면적 기준, 2002년~2020년) 63

[표 3-5] 녹지현황 비교(개소수 및 면적, 2002년~2020년) 64

[표 3-6] 녹지 조성율 비교(면적 기준, 2002년~2020년) 65

[표 3-7] 녹지정책과 공원녹지분야 관련 조직 분석 67

[표 3-8] 공원조성과 공원녹지분야 관련 조직 분석 69

[표 3-9] 환경국 공원녹지분야 관련 조직 분석 70

[표 3-10] 도서지원과 공원녹지분야 관련 조직 분석 71

[표 3-11] 해양친수과 공원녹지분야 관련 조직 분석 72

[표 3-12] 건축계획과와 도시계획과 공원녹지분야 관련 조직 분석 73

[표 3-13] 도시녹화조경 분야 연도별 주요업무 추진지침 비교 75

[표 3-14] 산림자원분야 연도별 주요업무 추진지침 비교 79

[표 3-15] 산림휴양분야 연도별 주요업무 추진지침 비교 81

[표 3-16] 공원분야 연도별 주요업무 추진지침 비교 82

[표 4-1] 연구결과에 따른 공원녹지분야 정책방향 제안 101

[표 4-2] 공원녹지분야 정책방향 102

[표 4-3] 장기미집행공원 조성 현황 111

[표 4-4] 도시재생 뉴딜 정책 중 공원관련 사업 113

[표 4-5] 푸른시민참여단 토론결과(2040년 인천광역시 공원녹지 기본계획) 113

[표 4-6] 15대 대공원 특성 분석 121

[표 4-7] 국가정원 지정요건(요약) 123

[표 4-8] 부평구 공영노외주차장 현황 125

그림목차

[그림 1-1] OECD와 한국의 삶의 질 지표 비교 14

[그림 1-2] 국토의 현안문제 14

[그림 2-1] 계획의 비전과 목표, 국토발전전략 25

[그림 2-2] 국토-환경 통합관리 모니터링 체계(안) 28

[그림 2-3] 계획의 비전과 목표, 핵심전략 30

[그림 2-4] 국토생태축 기본구상 및 한강 수도권 생태환경 증진 전략 32

[그림 2-5] 계획의 비전과 목표, 주요 추진과제 35

[그림 2-6] 산림기본계획 비전과 전략 38

[그림 2-7] 서울특별시 공원녹지 관련 부서 현황 41

[그림 2-8]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관련 부서 현황 51

[그림 2-9] 울산광역시 공원녹지 관련 부서 현황 55

[그림 3-1] 공원 개소수 비교(2002년~2020년) 60

[그림 3-2] 공원 면적 비교(2002년~2020년) 61

[그림 3-3] 공원 조성율 비교(개소수 기준, 2002년~2020년) 62

[그림 3-4] 공원 조성율 비교(면적 기준, 2002년-2020년) 63

[그림 3-5] 녹지현황 비교(개소수 및 면적, 2002년-2020년) 64

[그림 3-6] 녹지 조성율 비교(면적 기준, 2002년-2020년) 65

[그림 3-7] 인천광역시 공원녹지 관련 부서 66

[그림 4-1] 사회트렌드 핵심 키워드 87

[그림 4-2] 중앙정부 주요계획 핵심 키워드 88

[그림 4-3] 서울시와 인천시 조직 비교 95

[그림 4-4] 현장 공원녹지사무소 운영을 통한 서비스(공원, 산림, 생태계) 극대화 104

[그림 4-5] 해안 친수공원 벨트 구축 105

[그림 4-6] 인천 북부권 공원녹지 조성 구상(안) 108

[그림 4-7] 검단신도시 공원 현황 109

[그림 4-8] 계양테크노밸리 개발에 따른 추가 공급되는 공원녹지 109

[그림 4-9] 인천대로 상부 공원(조감도: 가좌2고가 일원) 110

[그림 4-10] 공원녹지 관련 부서 및 업무 114

[그림 4-11] 한남정맥 그랜드 S파크 추진 116

[그림 4-12] (가칭) 한남정맥 그랜드 S파크에 인접한 장기미집행공원 117

[그림 4-13] 6대→15대 대공원 체계 구축 118

[그림 4-14] 수도권매립지 활용구상 123

[그림 4-15] 미국 시카고 도시정원 대회(2006) 124

[그림 4-16] 부평구 공영노외주차장(어린이공원 규모(1,500m²) 이상) 분포현황 126

[그림 4-17] 국립공원 제안 대상지(육지부 산림) 127

[그림 4-18] 강화도 일원 보호지역(천연기념물, 습지보호지역, 특정도서, 저어새 번식지) 총괄도 128

부록표목차

[표 1] 인천시 공영노외주차장 현황 132

이용현황보기

공원녹지분야 정책방향 및 핵심사업 도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05699 712.50951954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05700 712.50951954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