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행복을 위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01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개념
02여가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이해
03도시화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대중화
04스포츠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05야외 교육과 아웃도어 리더십
06자연환경 보호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07기후 변화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08공원과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09소비 트렌드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10모험스포츠

이용현황보기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 큰글씨책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08846 790.1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08847 790.1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커뮤니케이션북스의 큰글씨책은 약시나 노안으로 독서에 어려움을 겪는 독자를 위해 만든 책입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의 책은 모두 큰글씨책으로 제작됩니다.

행복을 위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팬데믹 장기화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에 관심 커져


우리나라는 행복 수준이 낮다. 원인은 일과 삶의 불균형과 자살에 의한 높은 사망률이다. 그리고 즐거움과 몰입 같은 긍정적인 정서 경험에 해당하는 이슈에서 낮은 수준을 보인다.
여가는 즐거움과 몰입 같은 긍정적 정서 경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영향력 있는 변수다. 궁극적으로 행복을 추구한다. 일 이외의 시간에 하는 활동인 여가는 내적 동기 부여와 자유로운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여가 상태에서는 여가가 아닐 때에 비해 몰입감과 즐거움을 더 많이 느낀다. 이러한 긍정적인 여가 경험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만족감에 영향을 미친다.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만족감이 높다는 것은 행복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행복 수준 향상을 위해 여가의 역할은 이처럼 중요하다. 여가는 행복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여가 활동을 하면 행복하다. 행복하려면 여가를 즐겨야 한다.

일하는 시간은 줄었지만 여가 시간은 여전히 부족하다. 미세먼지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의한 팬데믹은 기후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됐을 뿐만 아니라, 여가 장소의 지속가능성 이슈에 대한 스펙트럼을 넓히고 있다. 팬데믹 상황이 예상보다 장기화함에 따라 여가에 대한 태도의 약화와 여가 패턴의 파괴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야외 활동은 실내 활동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되어 그나마 활로를 찾고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캠핑, 백패킹 등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는 언론보도를 많이 접할 수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여가와 행복의 관계에 대한 고민은 더욱 깊어졌다. 행복을 위한 여가 시간은 증가했지만 여가 장소는 제한되었기 때문이다. 아웃도어라는 여가 장소의 다양한 역할과 논의에 대한 목소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책에서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과 사례를 함께 제시한다. 특별한 자연환경에서 요구되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교육과 스포츠 활동을 설명하고, 기후변화와 자연보호 이슈를 바탕으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지속가능성을 탐색한다. 공원과 소비트렌드에서 나타나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현상을 들여다보며, 모험스포츠와 미디어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최근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소비 트렌드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소비 경향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행동, 교육, 소비, 문화 등을 이해할 수 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사회가 여가와 일 중 어느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사람들은 여가를 다르게 받아들였다. 여가 측면에서 봤을 때, 베블렌의 ‘유한계급론’은 미국 사회에서 대중적인 여가가 발전하기 전 여가를 중요한 사회 현상으로 이해하고 설명한 고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leisure’를 유한(有閑)으로 번역했는데, 한가함을 뜻한다.
_ “02 여가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이해” 중에서
아웃도어 리더십 스킬 모델은 크게 3가지 요소인 하드스킬, 소프트스킬, 메타스킬로 나눌 수 있다. … 아웃도어 리더십에 요구되는 8가지 핵심 역량은 기초적인 지식, 자기 인식과 전문적 행동, 의사결정과 판단, 지도와 촉진, 환경적 책임, 프로그램 관리, 안전과 위기 관리, 기술적 역량 등이다.
_ “05 야외 교육과 아웃도어 리더십” 중에서
낚시의 대표적인 환경 윤리 캠페인으로는 낚은 고기를 다시 놓아주는 ‘캐치 앤 릴리스(Catch-and-Release)’가 있다. 미국 국립공원관리청은 캐치 앤 릴리스 낚시가 더 많은 물고기가 생태계에 남아 번식할 수 있도록 하여 토종 물고기 개체수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교육한다.
_ “06 자연환경 보호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