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전대지구 농업용수 수질개선사업 계획평면도
요약문
목차
제1장 사업의 개요 33
1.1. 사업명 33
1.2. 배경 및 필요성 33
1.3. 목적 33
1.4. 사업 범위 34
1.4.1. 공간적 범위 34
1.4.2. 내용적 범위 35
1.5. 사업 수행 방법 35
1.5.1. 기본방향 35
1.5.2. 기본계획 수립 과정 36
1.6. 기대 효과 36
제2장 시설 및 유역개황 38
2.1. 시설현황 38
2.2. 수질현황 40
2.3. 수계 및 하천현황 41
2.4. 유역개황 42
2.4.1. 자연환경 42
2.4.2. 인문·사회 환경 51
2.4.3. 환경기초시설 현황 52
2.4.4. 농축산업 현황 54
제3장 오염원 및 환경질현황 56
3.1.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56
3.1.1. 유역구분 56
3.1.2. 오염원 현황 57
3.1.3. 오염부하량 산정 59
3.2. 수질환경 65
3.2.1. 조사방법 65
3.2.2. 하천수질 67
3.2.3. 전대저수지 수질현황 80
3.3. 퇴적물 환경 82
3.3.1. 조사 및 분석방법 82
3.3.2. 분석결과 84
3.4. 토양 환경 88
3.4.1. 조사방법 88
3.4.2. 조사결과 90
3.5. 지질 환경 92
3.5.1. 조사개요 92
3.5.2. 조사결과 94
3.6. 생태 환경 95
3.6.1. 조사항목 95
3.6.2. 조사범위 95
3.6.3. 조사방법 98
3.6.4. 조사결과 104
제4장 대책수립 142
4.1. 대책수립 절차 142
4.2. 목표수질 및 목표연도 설정 143
4.3. 수질모형 선정 및 재현성 검토 144
4.3.1. 유역모델 구축 및 보정 144
4.3.2. 호소 수질 모델을 이용한 저수지 수질분석 150
4.4. 장래수질예측 155
4.4.1. 장래 오염원 전망 155
4.4.2. 장래 오염부하량 158
4.4.3. 장래 수질예측 159
4.5. 대책수립 159
4.5.1. 호소 수질개선공법 종류 및 적용가능 공법 선정 159
4.5.2. 시나리오 구성 및 수질예측 171
제5장 시설 계획 177
5.1. 수질개선시설 종합계획 177
5.2. 인공습지 조성계획 179
5.2.1. 인공습지 개요 179
5.2.2. 인공습지의 종류 182
5.2.3. 인공습지 설계인자 184
5.2.4. 조합형인공습지 조성계획 190
5.3. 침강지 조성계획 201
5.3.1. 침강지 개요 201
5.3.2. 침강지 설계인자 203
5.3.3. 침강지 조성계획 204
5.4. 양수시설 계획 211
5.4.1. 양수시설 도입 개요 211
5.4.2. 양수시설 설계 211
5.5. 수초제거 및 처리계획 215
5.5.1. 수초 제거 개요 215
5.5.2. 수초 제거 계획 215
제6장 유지관리계획 218
6.1. 침강지(부댐) 218
6.1.1. 침강지 유지관리 일반 218
6.1.2. 침강지 유지관리 체크리스트 219
6.2. 양수시설 220
6.2.1. 양수시설 유지관리 일반 220
6.2.2. 양수시설 유지관리 체크리스트 221
6.3. 인공습지 222
6.3.1. 인공습지 유지관리 일반 222
6.3.2. 인공습지 유지관리 체크리스트 223
6.4. 모니터링 계획 225
제7장 사업시행 여건 227
7.1. 자연환경 여건 227
7.2. 매장문화재 현황 및 영향 228
7.3. 주변 개발 및 오염삭감 계획 228
7.4. 조사자 종합의견 228
제8장 사업비 230
8.1. 사업비 수지예산서 230
8.1.1. 수입 230
8.1.2. 지출 230
8.2. 사업비 산출내역 231
8.2.1. 관리비 및 기타 산출내역 231
8.2.2. 용지매수 보상비 산출내역 233
8.2.3. 공사비 산출내역 235
제9장 부록 240
9.1. 참여기술자 명단 240
9.1.1. 한국농어촌공사 240
9.1.2. (주)경동엔지니어링 240
9.2. 환경기준 241
9.2.1. 수질 241
9.2.2. 토양 244
9.2.3. 퇴적물 246
9.3. 시험성적표 247
9.3.1. 수질 247
9.3.2. 퇴적물 249
9.3.4. 지질조사 250
9.4. 현황측량 기준점 성과표 271
9.4.1. 개요 271
9.4.2. 측량조사계획 273
9.4.3. 측량성과부 275
9.5. 유역도 및 면적표 277
9.6. 연도별 월별 강우량 278
9.7. 유역별 유출량 산정 결과 278
9.8. 저수지 내용적 279
9.9. 수질예측모형 입력자료 280
9.9.1. 수질모형 HSPF 280
9.9.2. 수질모형 EFDC 293
9.10. 시설별 기본계획도 316
종합계획도 320
계획평면도 322
수리계통도 328
양수시장 일반도 330
관리용도로 표준단면도 332
월류부 및 월류보 표준단면도 334
부댐 표준단면도 336
편입용지도 338
유역도 342
9.11. 시설별 편입용지도 및 조서 344
9.12. 전략 및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및 반영결과 345
9.13. 중간보고회 및 기술검토회 결과 353
9.13.1. 중간보고회('20.9.15) 결과 353
9.13.2. 기술검토회('20.11.18) 결과 357
(그림 1.4-1) 전대저수지 위치도 34
(그림 2.1-1) 전대저수지 전경사진 38
(그림 2.1-2) 전대저수지 내용적 곡선 39
(그림 2.2-1) 전대저수지 연간 수질변화 40
(그림 2.3-1) 전대저수지 수계 현황 41
(그림 2.4-1) 전대저수지 유역의 표고 및 경사 44
(그림 2.4-2) 전대저수지 유역의 지질도 45
(그림 2.4-3) 전대저수지 유역의 토질현황 46
(그림 2.4-4) 월별 평균기온(2010~2019년) 48
(그림 2.4-5) 월별 평균 강수량 분포(2010~2019년) 49
(그림 2.4-6) 월별 평균 풍속(2010~2019년) 50
(그림 3.1-1) 전대저수지 소유역 구분도 56
(그림 3.1-2) BOD 배출부하량 기여도 63
(그림 3.1-3) T-N 배출부하량 기여도 64
(그림 3.1-4) T-P 배출부하량 기여도 64
(그림 3.2-1) 수질조사지점 위치도 65
(그림 3.2-2) 전대유입1 지점의 평시 측정사진 67
(그림 3.2-3) 전대유입1 지점의 BOD, COD, TOC 및 SS농도 변화추이 68
(그림 3.2-4) 전대유입1 지점의 T-N 및 T-P농도 변화추이 68
(그림 3.2-5) 전대유입2 지점의 평시 측정사진 69
(그림 3.2-6) 전대유입2 지점의 BOD, COD, TOC 및 SS농도 변화추이 70
(그림 3.2-7) 전대유입2 지점의 T-N 및 T-P농도 변화추이 70
(그림 3.2-8) 전대유입1 지점 강우조사 사진(1차) 71
(그림 3.2-9) 전대유입1 수문곡선 그래프(1차) 72
(그림 3.2-10) 전대유입1 수질농도변화 그래프(1차) 73
(그림 3.2-11) 전대유입1 지점 강우조사 사진(2차) 73
(그림 3.2-12) 전대유입1 수문곡선 그래프(2차) 74
(그림 3.2-13) 전대유입1 수질농도변화 그래프(1차) 75
(그림 3.2-14) 전대유입2 지점 강우조사 사진(1차) 75
(그림 3.2-15) 전대유입2 수문곡선 그래프(1차) 76
(그림 3.2-16) 전대유입2 수질농도변화 그래프(1차) 77
(그림 3.2-17) 전대유입2 지점 강우조사 사진(2차) 77
(그림 3.2-18) 전대유입2 수문곡선 그래프(2차) 78
(그림 3.2-19) 전대유입1 수질농도변화 그래프(1차) 79
(그림 3.2-20) 전대저수지 측정사진 81
(그림 3.3-1) 퇴적물 조사지점 위치도 82
(그림 3.3-2) 퇴적물 채취 사진 83
(그림 3.3-3) 전대저수지 내부 및 외부 부하량 비율 87
(그림 3.5-1) 지질조사 위치도 92
(그림 3.6-1) 현장조사 사진 96
(그림 3.6-2) 조사지점 범위 및 경로도 97
(그림 3.6-3) 생활형 비교 및 분석 105
(그림 3.6-4) 생태계교란 생물(식물) 위치도 112
(그림 3.6-5) 육상식물 사진 113
(그림 3.6-6) 생태계교란 생물(식물) 위치도 114
(그림 3.6-7) 현존식생도 116
(그림 3.6-8) 식생보전등급도 117
(그림 3.6-9) 생활형 및 군집지수 121
(그림 3.6-10) 육상동물 사진 129
(그림 3.6-11)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의 목별 종수 및 개체수 현황 132
(그림 3.6-12) 육수생물 사진 136
(그림 3.6-13) 법정보호종 위치도(문헌조사) 138
(그림 3.6-14) 법정보호종 위치도(현지조사) 139
(그림 3.6-15) 생태·자연도 140
(그림 4.1-1) 대책 수립 절차 142
(그림 4.3-1) 대상 유역 Delineation 및 토지이용분석 수행 145
(그림 4.3-2) 전대저수지 유역 WinHSPF 구축 147
(그림 4.3-3) 유역모형 유출량 보정 결과_RCH3(2020년) 148
(그림 4.3-4) 유역모형 유출량 보정 결과_RCH5(2020년) 148
(그림 4.3-5) 유역모형 유출량 검증 결과_RCH5(2014~2016년) 148
(그림 4.3-6) 유역모형 수질보정 결과_RCH3(2020년) 149
(그림 4.3-7) 유역모형 수질보정 결과_RCH5(2020년) 149
(그림 4.3-8) EFDC 모델의 구조 150
(그림 4.3-9) 3차원 수리-수질모델 EFDC 격자구축(좌) 및 수심분포도(우) 151
(그림 4.3-10) 호소수질모델 기상자료 입력결과 151
(그림 4.3-11) 호소수질모델 기상자료 입력결과 152
(그림 4.3-12) 전대저수지 수질보정 및 검증 결과 154
(그림 4.5-1) 전대지구 농업용수 수질개선대책(안) 172
(그림 4.5-2) 시나리오별 장래수질예측 연간변화 175
(그림 5.1-1) 전대지구 수질개선시설 도입계획 178
(그림 5.2-1) 지표흐름형 습지 개념도 182
(그림 5.2-2) 지표흐름형 습지 개념도 183
(그림 5.2-3) 지표-지하흐름 조합형인공습지 개념도 183
(그림 5.2-4) DIROM과 HSPF모형 구조도 187
(그림 5.2-5) 1호 인공습지(조합형인공습지) 계획평면도 192
(그림 5.2-6) 1호 인공습지(조합형 인공습지)의 지하흐름습지 배치도 194
(그림 5.2-7) 1호 인공습지(조합형 인공습지) 수리계통도 194
(그림 5.2-8) 식재식물 예시 197
(그림 5.2-9) 관리용도로 표준단면도(1호 인공습지) 199
(그림 5.2-10) 월류부 상세도 199
(그림 5.2-11) 월류보 상세도 200
(그림 5.3-1) 1호침강지 계획평면도 206
(그림 5.3-2) 2호침강지 계획평면도 206
(그림 5.3-3) 부댐 표준단면도 207
(그림 5.3-4) 입경별 유사전달률과 배수유역 면적 상관도 209
(그림 5.4-1) 양수시설 종류 212
(그림 5.4-2) 양수시설 평면도 213
(그림 5.4-3) 양수시설 단면도 214
(그림 5.5-1) 전대저수지 마름제거 구역 215
(그림 5.5-2) 수초제거 방법 21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813391 | 631.7 -21-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813392 | 631.7 -21-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