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장 재무회계의 기본개념
제1절 경제활동과 회계3
1. 회계의 의의3
2. 회계대상-경제활동5
2.1 재무활동 / 5 2.2 투자활동 / 6 2.3 영업활동 / 7
3. 회계정보의 이용자7
제2절 재무회계와 재무제표9
1. 재무회계의 의의9
1.1 재무회계와 관리회계 / 111.2 재무회계와 회계감사 / 13
1.3 세무회계 및 회계정보시스템 / 14
2. 재무회계와 재무제표15
제3절 재무회계와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16
1.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16
2. GAAP과 회계투명성17
3. 우리나라의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18
4. 미국의 회계기준22
▨연습문제 / 23-ⅵ-

제2장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제1절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개요27
1.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의의와 필요성27
2.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범위28
제2절 재무보고의 목적29
1.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29
2. 일반목적재무보고서31
2.1 경제적 자원과 청구권 / 31
2.2 경제적 자원과 청구권의 변동 / 31
2.3 기업의 경제적 자원 사용에 관한 정보 / 32
제3절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특성32
1. 근본적 질적특성33
1.1 목적적합성 / 331.2 충실한 표현 / 34
2. 보강적 질적특성36
2.1 비교가능성 / 362.2 검증가능성 / 36
2.3 적시성 / 372.4 이해가능성 / 37
3. 유용한 재무보고에 대한 원가제약요인37
4. 질적특성 간의 상충관계38
제4절 재무제표와 보고기업39
4.1 보고기간 / 394.2 계속기업 가정 / 40
4.3 보고기업 / 404.4 연결재무제표 / 40
제5절 재무제표의 요소, 인식 및 측정41
1. 제무제표의 요소41
2. 재무제표 요소의 인식43
2.1 미래 경제적 효익의 발생가능성 / 43
2.2 측정의 신뢰성 / 43
3. 재무제표 요소의 제거44
4.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44
제6절 표시와 공시 및 자본과 자본유지 개념45
1. 표시와 공시45
2. 자본의 개념46
3. 자본유지 개념과 이익의 결정47
▨연습문제 / 49

제3장 재무제표의 구조에 대한 이해
제1절 재무보고와 재무제표55
1. 재무보고와 재무제표의 의의55
2. 재무제표 작성과 표시의 일반사항58
2.1 공정한 표시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준수 / 58
2.2 계속기업 평가 / 582.3 발생기준 회계 / 59
2.4 중요성과 통합표시 / 592.5 상계금지 / 60
2.6 보고빈도 / 602.7 비교재무제표와 계속성 / 60
제2절 재무상태표61
1. 재무상태표의 의의61
2. 재무상태표와 재무상태표등식63
3. 재무상태표의 표시 및 분류64
3.1 재무상태표 항목의 구분과 통합표시 / 64
3.2 유동과 비유동의 구분 / 65
3.3 실현예정일 정보 / 67
4. 재무상태표의 공시형식67
제3절 포괄손익계산서와 경영성과의 보고70
1. 포괄손익계산서의 의의70
2. 구성요소의 인식기준72
3. 포괄손익계산서의 분류 및 표시75
4. 포괄손익의 산출방법-자본유지접근방법과 거래접근방법81
4.1 자본유지접근방법 / 814.2 거래접근방법 / 82
제4절 자본변동표86
1. 자본변동표의 의의86
2. 자본변동표의 기본구조 및 양식86
제5절 현금흐름표89
1. 현금흐름표의 의의89
2. 현금흐름표의 구조90
제6절 재무제표의 주석91
▨연습문제 / 95

제4장 회계정보의 처리와 회계순환과정
제1절 회계거래의 기록과 복식부기제도103
1. 회계거래의 식별과 계정과목103
1.1 거래의 의의 / 1031.2 계정의 의의와 형식 / 105
1.3 계정의 분류와 총계정원장 / 105
2. 회계등식과 복식부기제도106
2.1 회계등식 / 1062.2 복식부기와 차변과 대변 / 108
2.3 분 개 / 108
제2절 회계순환과정111
1. 회계순환과정의 의의111
1.1 회계기간 중의 회계절차 / 1121.2 회계기말의 결산절차 / 114
2. 회계순환과정 종합예제114
2.1 분 개 / 116
2.2 원장으로 전기 / 117
2.3 수정전시산표의 작성 / 119
2.4 결산수정사항과 결산수정분개 / 121
2.5 수정후시산표의 작성과 재무제표 작성 / 130
2.6 장부의 마감 / 133
2.7 결산후시산표(이월시산표) 및 역분개 / 136
2.8 정산표의 활용 / 139
▨[보론] 재무제표 간의 연결관계와 회계순환과정 / 141
▨연습문제 / 145

제5장 자산평가와 이익측정
제1절 자산평가와 이익측정155
1. 저량과 유량의 개념155
2. 경제학적 순이익 및 자본의 측정156
3. 회계학에서의 순이익 및 자산의 측정158
3.1 전통적인 측정방법 / 1583.2 IFRS의 측정방법 / 159
3.3 IFRS의 공정가치 측정 / 162
제2절 화폐의 시간가치168
1. 기본 개념168
2. 미래가치와 현재가치169
3. 정상연금의 미래가치와 현재가치171
4. 화폐의 시간가치와 회계처리174
▨[보론] 총포괄이익의 정의와 계산 / 179
▨연습문제 / 182

제6장 재고자산
제1절 재고자산의 의의와 주요 주제187
1. 재고자산의 의의187
2. 재고자산 회계의 주요 주제189
제2절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측정191
1. 취득원가 측정의 일반기준191
1.1 매입원가 / 1921.2 제조원가 중 전환원가 / 192
1.3 기타원가 / 193
1.4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제외되는 항목 / 193
2. 취득원가 측정의 특수사항194
2.1 매입할인 / 1942.2 매입에누리와 매입환출 / 196
2.3 일괄구입 / 197
2.4 이연지불조건(후불조건)에 의한 취득의 경우 / 197
2.5 차입원가의 자본화 / 198
3. 농림어업 수확물의 취득원가198
4.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의 결정198
4.1 미착품 / 1994.2 적송품(위탁판매의 경우) / 199
4.3 시송품(시용판매의 경우) / 1994.4 반품가능 재고자산 / 200
4.5 할부판매 / 200
4.6 저당상품과 재구매조건부판매 / 200
제3절 재고자산 거래의 기록방법201
1. 계속기록법201
1.1 계속기록법하에서의 재고자산 거래의 기록 / 201
1.2 계속기록법에서의 재고자산감모손실 인식 / 202
1.3 재고자산 매매거래 기록의 실례 1: 계속기록법 / 204
2. 실지재고조사법206
2.1 실지재고조사법하에서의 재고자산 거래의 기록 / 206
2.2 실지재고조사법에서의 재고자산감모손실 인식 / 207
2.3 재고자산 매매거래 기록의 실례 2: 실지재고조사법 / 208
제4절 재고자산 원가흐름의 가정과 원가배분211
1. 원가흐름의 가정211
2. 원가배분 방법215
2.1 단일재고자산의 원가배분 방법 / 215
2.2 복합재고자산의 원가배분 방법 / 220
3. 원가배분 방법의 비교220
4. 매입단가의 변동과 재고자산감모손실223
제5절 저가기준에 의한 기말재고자산 평가225
1. 순실현가능가치의 평가226
2. 저가기준 평가의 회계처리226
3. 순실현가능가치가 회복된 경우의 회계처리227
4. 저가기준 평가의 적용방법: 종목별기준ㆍ조별기준ㆍ총액기준229
5. 저가기준의 한계230
제6절 추정에 의한 기말재고자산 평가231
1. 매출총이익법에 의한 재고자산의 추정232
2. 매출가격환원법(소매재고법)233
2.1 기본개념 / 2332.2 판매가격의 변동 / 234
2.3 원가흐름의 가정에 따른 추정액의 결정 / 234
▨[보론] 매출가격환원법과 관련된 특수항목의 조정 / 238
▨연습문제 / 243

제7장 유형자산 1
제1절 유형자산의 의의ㆍ인식기준 및 주요 주제253
1. 유형자산의 의의253
1.1 취득목적 / 2541.2 보유기간 / 254
1.3 물리적 형체 / 255
2. 유형자산의 인식기준255
3. 유형자산의 분류256
4. 유형자산 회계의 주요 주제257
제2절 유형자산의 원가258
1. 유형자산 최초원가 측정의 일반원칙 및 원가구성요소258
2. 유형자산 유형별 취득원가260
2.1 토 지 / 260 2.2 건 물 / 261 2.3 설비자산 / 263
3. 유형자산의 취득방법과 취득원가 측정264
3.1 구 입 / 264
3.2 주식발행에 의한 유형자산 취득 / 267
3.3 교환에 의한 취득 / 267
3.4 증여 및 무상취득 / 271
3.5 정부보조 등에 의한 취득 / 271
3.6 국ㆍ공채의 매입을 통한 유형자산의 취득 / 274
3.7 자가건설 / 275
제3절 취득 후의 지출276
1. 수익적 지출 및 자본적 지출277
2. 보유기간 중 지출의 실제278
2.1 수선 및 유지 / 2782.2 증 설 / 279
2.3 개량 및 교체 / 2792.4 이전 및 재배치 / 281
▨[보론] 보론 차입원가의 자본화 / 282
▨연습문제 / 294

제8장 유형자산 2
제1절 유형자산의 감가상각303
1. 감가상각의 의의303
2. 감가상각의 결정 요소304
2.1 감가상각대상금액과 잔존가치 / 3042.2 내용연수 / 305
3. 감가상각방법306
3.1 정액법 / 3073.2 체감잔액법 / 308
3.3 생산량비례법 / 3123.4 기타의 감가상각방법 / 314
4. 감가상각방법의 선택315
5. 감가상각의 자산구성 요소별 적용315
6. 감가상각의 회계처리316
제2절 감가상각과 관련한 기타 주제317
1. 기중 취득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317
2. 감가상각과 회계변경318
3. 자본적 지출과 감가상각320
제3절 유형자산의 손상321
1. 손상차손의 인식321
2. 유형자산의 회수가능액 측정322
3. 손상된 유형자산의 장부금액 측정323
4. 손상차손의 환입324
제4절 유형자산의 제거326
1. 유형자산의 처분326
2. 원가모형에서의 유형자산의 폐기 및 비자발적인 처분328
제5절 유형자산의 재평가모형329
1. 재평가모형의 공정가치 측정329
1.1 시장가치접근법 / 330
1.2 이익접근법 및 상각후대체원가법 / 330
2. 재평가모형의 빈도 및 분류별 수행330
3. 재평가모형의 회계331
4. 재평가잉여금의 이익잉여금 대체335
5. 재평가모형하에서 유형자산의 손상차손337
6. 재평가모형에서의 유형자산의 처분337
▨연습문제 / 340

제9장 무형자산
제1절 무형자산의 의의 및 인식조건349
1. 무형자산의 의의349
1.1 식별가능성 / 3501.2 통제가능성 / 351
1.3 미래 경제적 효익의 발생가능성 / 352
2. 무형자산의 인식조건352
3. 무형자산의 분류355
제2절 무형자산의 취득원가 결정357
1. 개별 취득358
2. 정부보조에 의한 취득359
3. 교환에 의한 취득359
제3절 무형자산의 유형별 회계360
1. 산업재산권360
2. 내부창출무형자산361
제4절 무형자산 취득 이후의 회계365
1. 취득 이후의 지출365
2. 무형자산의 상각366
2.1 무형자산의 내용연수 결정 / 366
2.2.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 / 367
3.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372
4. 무형자산의 폐기와 처분373
5. 무형자산의 재평가모형374
제5절 영업권375
1. 영업권의 의의375
2. 매수영업권의 측정376
3. 영업권 취득 이후의 회계처리377
3.1 영업권의 상각 / 3773.2 영업권의 손상차손 인식 / 378
4. 염가매수차익(부의 영업권)379
▨연습문제 / 380

제10장 금융자산 1
제1절 금융자산의 의의387
1. 금융자산의 의의387
2. 금융부채의 의의390
3. 지분상품의 의의391
4. 금융자산의 분류392
제2절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397
1. 지분상품의 분류 및 측정397
2. FVPL지분상품의 최초측정 및 후속측정397
2.1 FVPL지분상품의 최초측정 / 397
2.2 FVPL지분상품의 보유 중의 후속측정 / 399
2.3 FVPL지분상품의 처분 / 402
3. FVOCI지분상품의 최초측정 및 후속측정403
3.1 FVOCI지분상품의 최초측정 / 404
3.2 FVOCI지분상품의 보유 중의 후속측정 / 404
3.3 FVOCI지분상품의 처분 / 406
제3절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408
1. 채무상품의 분류 및 측정408
2. AC금융자산409
2.1 AC금융자산의 최초측정과 유효이자율의 계산 / 409
2.2 AC금융자산의 후속측정(이자수익 인식과 기말평가) / 411
2.3 AC금융자산의 이자수령기간과 회계연도의 불일치 / 414
2.4 이자수령일 사이의 AC금융자산의 취득 / 415
3. FVOCI채무상품418
3.1 FVOCI채무상품의 최초인식 및 후속측정 / 418
3.2 FVOCI채무상품의 손상차손 인식 / 421
4. FVPL채무상품421
제4절 채무상품의 손상422
1. 채무상품 손상회계의 개요422
1.1 금융자산 손상회계의 용어에 대한 이해 / 423
1.2 기대신용손실의 인식(손상요구사항) / 425
1.3 기대신용손실의 측정을 위한 미래전망 정보 / 428
1.4 신용위험의 유의적 증가에 대한 판단 / 429
1.5 손상인식에 적용되는 12개월 간편법 / 431
1.6 기대신용손실의 측정 / 431
2. FVOCI채무상품의 손상회계433
3. AC채무상품의 손상회계437
4. 신용이 손상된 채무상품440
▨연습문제 / 445

제11장 금융자산 2
제1절 현금및현금성자산455
1.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의의455
2.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회계457
2.1 소액현금제도 / 4572.2 은행계정조정표 / 459
제2절 매출채권464
1. 매출채권의 의의464
2. 매출채권의 상각후원가 측정466
2.1 무이자부어음채권의 예 / 4662.2 이자부어음채권의 예 / 468
3. 매출채권의 회수가능성과 대손(손상)의 인식470
4. 매출채권에 적용되는 연령분석법472
제3절 금융자산의 제거475
1. 금융자산의 제거절차475
2. 금융자산의 제거의 회계처리477
2.1 금융자산의 제거조건을 충족하는 양도의 경우 / 477
2.2 금융자산의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양도의 경우 / 481
2.3 양도자산에 대한 지속적 관여의 회계처리 / 484
▨[보론1] 금융자산의 재분류(분류변경) / 486
▨[보론2] 지분법적용투자주식 / 490
▨연습문제 / 494

제12장 금융부채 및 충당부채
제1절 부채의 개념503
1. 부채의 의의503
2. 부채의 인식기준505
3. 부채의 분류505
3.1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 5063.2 화폐성부채와 비화폐성부채 / 507
3.3 확정부채와 우발부채 / 5083.4 금융부채와 비금융부채 / 508
제2절 부채의 측정509
1. 부채의 측정속성509
2. 부채의 측정속성의 선택510
제3절 금융부채512
1. 금융부채의 의의512
1.1 금융부채의 정의 / 5121.2 금융부채의 분류 / 513
2. 금융부채의 최초측정 및 후속측정514
3. 금융부채의 제거, 상계 및 재분류515
제4절 사채: 재무활동과 관련한 금융부채516
1. 사채의 본질516
2. 사채의 유형517
3. 일시상환사채의 회계518
3.1 사채의 발행시점 / 5183.2 이자지급시점 / 523
3.3 사채의 만기상환 / 5273.4 이자지급기간(주기)의 문제 / 527
4. 사채의 이자지급기간과 회계연도의 불일치529
5. 사채권면상의 발행일 이후의 사채의 발행(중도발행)530
6. 사채의 상환535
6.1 사채의 조기상환 / 5356.2 연속상환사채 / 538
제5절 영업활동과 관련한 금융부채539
1. 단기매입채무540
2. 장기매입채무541
3. 영업활동과 관련한 기타 금융부채541
제6절 비금융부채542
1. 충당부채542
1.1 충당부채의 의의 / 5431.2 충당부채의 사례 / 547
1.3 충당부채의 측정 / 5511.4 충당부채의 변동 및 사용 / 554
1.5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기준 적용사례: 경품충당부채 / 556
2.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557
▨[보론] 상품권의 회계처리 / 560
▨연습문제 / 563

제13장 자본회계
제1절 주식회사 및 자본의 의의574
1. 주식회사의 의의574
2. 자본의 의의575
제2절 주식의 발행 및 자본조달577
1. 현금과의 교환을 통한 주식발행577
2. 청약에 의한 주식발행579
3. 현물출자에 의한 주식발행580
4. 무상증자와 주식발행581
5. 주식발행비의 회계581
제3절 주식의 소각과 자기주식582
1. 주식의 소각582
1.1 실질적 감자(유상감자) / 5831.2 형식적 감자(무상감자) / 584
2. 자기주식585
제4절 이익잉여금 회계588
1. 이익잉여금의 의의588
2. 처분이익잉여금 및 미처분이익잉여금589
2.1 법정적립금 / 5902.2 임의적립금 / 590
2.3 적립금 회계 / 590
3. 배 당592
3.1 배당의 의의 / 5923.2 배당의 종류와 회계 / 592
4.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597
4.1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의의와 형식 / 597
4.2 회계변경의 누적효과 / 6004.3 전기오류수정손익 / 600
4.4 임의적립금 등의 이입 / 6014.5 결손금처리액 / 601
제5절 자본변동표602
1. 자본변동표의 의의602
2. 자본변동표의 작성603
2.1 자본금 및 자본잉여금의 변동 / 6042.2 자본조정 항목의 변동 / 604
2.3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변동 / 6042.4 이익잉여금의 변동 / 605
▨연습문제 / 608

제14장 현금흐름표
제1절 현금흐름표의 기초619
1. 현금흐름표의 의의와 기업활동619
2. 이익과 현금흐름과의 관계621
3. 현금흐름 정보의 유용성623
제2절 현금흐름표의 관계식624
제3절 현금흐름표의 양식과 작성628
1. 직접법631
1.1 재무상태표 및 포괄손익계산서계정 분석 / 632
1.2 「현금계정」의 완성 및 분류 / 641
1.3 현금흐름표 작성-직접법 / 642
2. 간접법643
2.1 현금유출이 없는 비용 등의 가산 / 644
2.2 현금유입이 없는 수익 등의 차감 / 645
2.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조정 / 646
2.4 이자비용과 법인세납부액 등 별도 보고항목 / 651
제4절 현금흐름표의 해석654
▨연습문제 / 656

□부록: 〈표1〉1원의 미래가치표 / 664〈표2〉1원의 현재가치표 / 668〈표3〉정상연금 1원의 미래가치표 / 672〈표4〉정상연금 1원의 현재가치표 / 676
□찾아보기(INDEX) / 681

이용현황보기

(쉽게 배우는) K-IFRS 중급회계 =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ntermediate accounting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17499 657.044 -2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17500 657.044 -2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 머리말
회계는 경영의 언어로서 회계에 대한 이해 없이는 기업의 합리적인 경영의사 결정은 연목구어에 지나지 않는다는 데 대해 이제는 많은 이들이 절감하고 동의하리라 본다. 저자들은 동국대학교 회계학과에서 회계라는 공통 주제에 대해 20년 이상 함께 연구하고 강의하는 동료로서, 많은 학생들이 회계를 어려운 학문으로 여기는 안타까운 현상이 계속되는 것을 목도하면서 어떻게 하면 이를 타개하여 회계를 좀 더 학생 친화적인 방법으로 강의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공유하며 평상시 많은 논의를 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국내 대학에서 회계원리를 공부하고 회계학을 좀 더 심도 있게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그 다음 단계의 교과에서 중급회계 교재를 접하게 되는데, 중급회계 교과서의 두께에 일단 놀라고 강의가 진행되면서 논의되는 주제의 범위와 난이도에 다시 놀라게 된다. 결국 많은 학생들이 중도에 좌절감을 느끼고 포기하거나 회계학을 기피과목으로 치부하는 풍조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가 2011년부터 국제회계기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을 전면 채택함에 따라 회계학을 공부하는 학생이나 회계학을 가르치시는 교강사님들에게 공히 피해갈 수 없는 도전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IFRS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미국의 규칙중심(rule-based)의 회계기준과는 달리 원칙중심(principles-based)의 회계기준으로서 큰 틀의 원칙만을 규정하고 실제 실무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회계처리 방법은 규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흔히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기준서 자체가 영문원본을 국문으로 번역한 것이고 난이도와 관계없이 기준서 나름대로의 전개 순서에 따라 딱딱한 조문식의 문장으로 서술되어 있어 초심자가 그 내용을 이해하고 해석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게다가 IFRS의 제정이 완료된 것이 아니고, 향후 기준서의 제ㆍ개정이 연이어 예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계학을 심도 있게 학습하려는 학생들에게 IFRS의 핵심주제를 선별하여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학습자 친화적인(student-friendly) 교재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하겠다.

한편 저자들이 몸담고 있는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의 2016학년도 학제개편에 따라 회계학과가 다시 독립되어 회계학 전공 학생들은 중급회계1을 필수과목으로 수강하도록 교과과정이 개편되었으므로, 이를 계기로 회계원리 과정에서 기본적인 이해를 습득한 학생이라면 중급회계의 기본주제를 쉽게 접하고 섭렵하여 다양한 특수회계 주제에 응용하는 데 기초를 제공하는 교재 개발의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본서가 집필되었다. 지금까지 설명한 집필취지에 충실하기 위해 본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특징을 갖는다.

첫째, 회계원리를 공부한 학생들이 중급회계 수준의 교재를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중급회계를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주제, 즉 자산, 부채와 자본회계 및 현금흐름표를 포함한 재무제표의 주요 내용을 배우기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되도록 한 학기의 수강을 통해 본 교재를 끝마칠 수 있도록 논의되는 내용의 범위와 난이도를 조정하였다.

둘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사용되는 새로운 회계용어와 회계개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책의 집필취지 중 하나는 본서를 공부한 학생이 스스로 다양한 주제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와 해석서를 읽고 이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각 장의 설명내용을 학습하고 그 이해 정도를 점검할 수 있도록, 그리고 더 나아가 회계 관련 각종 자격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수록하려고 노력하였다.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서술형 문제와 이를 실무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점검하기 위한 연습문제를 다양하게 수록하였다.

금번 간행되는 제3판에서는 2019년 중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가 전면 개정되어 공포됨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제2장을 대폭 개정하였다. 아울러 제2판을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부적절한 용어 및 오류들을 바로잡아 본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일부 장들에는 최근의 공인회계사 시험에서 출제된 문제를 수정하여 보충함으로써 독자들이 각종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데 좀 더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저자들 나름대로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미진한 부분이나 혹시 있을 오류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저자들의 몫이며 향후에도 독자들의 고견과 충고를 반영하여 보다 나은 교재가 될 수 있도록 계속 정진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본서가 회계학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과 각종 회계학 관련 자격시험을 목표로 공부하고 있는 수험생들, 그리고 회계실무자들로부터 사랑받는 교재가 되기를 희망하면서, 마지막으로 본서를 출판하기까지 애써주신 도서출판 시대가치의 김광범 대표님과 편집?교정에 애써주신 편집부 직원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또한 연습문제의 해답 초안을 작성하면서 그 적정성을 검토하는 데 조력을 아끼지 않은 본교 회계학과 출신의 네 명의 공인회계사(고병찬, 김진희, 이종희, 박건화)들의 노고에 지면을 빌어 고마움을 전하고자 한다. 또한 2015년 3월 초판 간행 이후 본서를 세심히 읽고 여러 오류들을 지적해준 많은 학생들의 관심과 노고에 감사드린다.

2021년 8월
제3판 발간에 즈음하여 목멱산 기슭에서
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