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발간사

축사 / 성정용

목차

화보 8

제1부 백제의 통합과 교류의 서막 19

기조강연 : 대통백제, 통합과 교류의 장을 펼치다 / 노중국 19

Ⅰ. 들어가며 22

Ⅱ. 한성기 : 최초로 대통백제를 이룬 근초고왕 23

Ⅲ. 웅진기 : 대통백제를 재건하여 다시 강국으로 만든 무령왕 28

Ⅳ. 사비 전기 : 대통백제를 꽃피운 성왕 32

Ⅴ. 사비기 후기 : 대왕폐하와 일통삼한을 표방한 무왕 37

Ⅵ. 마무리하며 : '백성낙종'·'백가제해'와 대통 41

참고문헌 42

제2부 한성백제의 탄생과 성장 44

주제발표 46

백제의 국가 성장에 마한사회 통합 / 김기섭 46

Ⅰ. 머리말 47

Ⅱ. 백제의 국가 형성과 성장 49

Ⅲ. 백제의 마한사회 통합과 인구 변동 75

Ⅳ. 맺음말 79

참고문헌 80

한성기 백제의 대외교류 / 권오영 86

Ⅰ. 백제와 중국 - 서해를 둘러싼 교섭의 진전 87

Ⅱ. 백제와 일본 -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연결한 백제 92

Ⅲ. 백제와 동남아시아 -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연결 99

Ⅳ. 맺음말 - 동아시아 문화교섭의 중심, 백제 103

참고문헌 104

토론 107

백제의 국가 성장과 마한사회 통합에 대한 토론 / 신희권 107

한성기 백제의 대외교류에 대한 토론 / 조윤재 109

제3부 백제의 통합과 교류, 현재적 의미 112

주제발표 114

웅진기 대통사상의 부상과 의미 / 정재윤 114

Ⅰ. 머리말 115

Ⅱ. 대통과 백제 116

Ⅲ. 백제의 동아시아 교류 주도 의미 127

Ⅳ. 맺음말 134

참고문헌 136

웅진·사비기 백제와 왜국의 관계 / 박재용 140

Ⅰ. 머리말 141

Ⅱ. 웅진기 백제의 대왜관계 142

Ⅲ. 사비기 백제의 대왜관계 151

Ⅳ. 맺음말 - 백제 멸망 이후 168

참고문헌 172

서울 백제유산의 계승과 현대적 활용 / 김선영 176

Ⅰ. 시작하며 177

Ⅱ. 백제유산 활용의 의외와 방향 179

Ⅲ. 서울 백제유산 활용방안 184

Ⅳ. 맺으며 196

토론 199

웅진기 대통사상의 부상과 의미에 대한 토론 / 박현숙 199

웅진·사비기 백제와 왜국의 관계에 대한 토론 / 강은영 202

서울 백제유산의 계승과 현대적 활용에 대한 토론 / 심준용 205

제4부 종합토론 / 노중국 ; 김기섭 ; 권오영 ; 정재윤 ; 박재용 ; 김선영 ; 신희권 ; 조윤재 ; 박현숙 ; 강은영 ; 심준용 208

판권기 235

이용현황보기

대통백제, 통합과 교류의 장을 펼치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26374 951.33 -21-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26375 951.33 -21-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