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개요 19
1.1. 계획의 목적 19
1.1.1. 하천기본계획 19
1.1.2. 하천시설관리대장 19
1.2. 계획의 범위 19
1.2.1. 계획의 범위 19
1.2.2. 하천구간의 조정 19
1.3. 기본원칙 20
1.3.1. 수립주체 20
1.3.2. 수립방향 20
1.4. 하천기본계획 수립 연혁 및 하천 지정·고시 현황 20
1.4.1. 하천기본계획 수립 연혁 20
1.5. 유역현황도 21
제2장 기초자료 조사 및 검토 23
2.1. 유역현황 23
2.1.1. 유역의 개황 23
2.1.2. 수계의 구성 23
2.1.3. 유역의 특성 26
2.2. 하도특성 조사 39
2.2.1. 하상재료 및 유사량 조사 39
2.2.2. 하도현황 및 특성량 42
2.2.3. 하상변동량 조사 45
2.3. 하천의 치수특성 조사 54
2.3.1. 치수시설물 현황 54
2.3.2. 치수성능 지표 56
2.3.3. 홍수피해 및 취약지역 57
2.4. 하천의 이수특성 조사 59
2.4.1. 이수시설물 현황 59
2.4.2. 하천수 사용량 현황 64
2.4.3. 지하수 이용량 현황 65
2.4.4. 가뭄피해 현황 및 취약지역 71
2.5. 하천환경 특성 조사 72
2.5.1. 환경시설물 현황 72
2.5.2. 환경성능지표 72
2.5.3. 환경영향평가 등 결과조사 73
2.5.4. 하천의 수질 및 저질 현황 76
2.5.5. 유역의 수질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조사 82
2.5.6. 하천생태 현황 84
2.5.7. 수질오염 원인 및 취약현황 102
2.6. 하천이용 현황 조사 103
2.6.1. 하천공간 현황 103
2.6.2. 친수시설 및 하천활용 현황 103
2.7. 관련계획 검토 및 조정 104
2.7.1. 치수관련계획 104
2.7.2. 이수관련계획 107
제3장 종합분석 109
3.1. 치수특성 분석 109
3.1.1. 홍수량 109
3.1.2. 홍수위 122
3.1.3. 계획하폭 126
3.1.4. 하상변동 분석 126
3.1.5. 시설물 능력검토 133
3.2. 이수특성 분석 140
3.2.1. 수자원 부존량 산정 140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141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145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152
3.3.1. 물리특성 152
3.3.2. 생물특성 153
3.3.3. 수질특성 154
3.3.4. 하천환경자연도 155
제4장 하천 정비 및 관리 계획 157
4.1. 치수 종합계획 157
4.1.1. 기본방향 설정 157
4.1.2. 치수 정비 및 관리 계획 158
4.2. 이수 종합계획 177
4.2.1. 기본방향 설정 177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178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185
4.3.1. 기본방향 설정 185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 계획 186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197
4.4.1. 하천공간관리의 기본방향 197
4.4.2. 지구별 관리계획 정비방향 200
제5장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213
5.1. 경제성 분석 213
5.1.1. 경제성 분석의 개요 213
5.1.2. 피해액 조사 215
5.2. 소요재원 산정 216
5.2.1. 편익 및 비용 산정 216
5.2.2. 경제성 평가 217
5.3. 투자우선순위 검토 218
5.3.1. 적용기준 218
5.3.2. 투자우선순위 선정 218
5.3.3. 단기 및 중장기 투자계획 218
5.4. 결론 및 기대효과 219
5.4.1. 하천기본계획 고시에 관한 사항 219
5.4.2. 주요 사업내용 222
5.4.3. 기대효과 223
부도 224
지형평면도 225
종단면도 246
횡단면도 255
〈그림 1.2-1〉 시·종점 현황 및 구간조정 현황 20
〈그림 1.5-1〉 유역현황도 21
〈그림 2.1-1〉 수계모식도 24
〈그림 2.1-2〉 유역현황도 25
〈그림 2.1-3〉 표고 및 경사분석도 28
〈그림 2.1-4〉 지질도 29
〈그림 2.1-5〉 토양도 30
〈그림 2.1-6〉 토지이용현황도(2007년) 31
〈그림 2.1-7〉 토지이용현황도(2013년) 31
〈그림 2.1-8〉 행정구역도 32
〈그림 2.1-9〉 문화재 위치도 35
〈그림 2.1-10〉 관측소위치 및 티센망도 37
〈그림 2.1-11〉 수위관측소 위치도 38
〈그림 2.2-1〉 하상재료 조사지점 40
〈그림 2.2-2〉 하폭 변화도 48
〈그림 2.2-3〉 최심하상고 변화 51
〈그림 2.5-1〉 하천수질 조사지점 위치도 77
〈그림 2.5-2〉 수질측정망 위치도 79
〈그림 2.5-3〉 하천저질 채취지점 위치도 81
〈그림 2.5-4〉 과업하천 및 조사지역 전경지점 85
〈그림 2.5-5〉 과업하천 및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91
〈그림 2.5-6〉 과업하천 및 조사지역의 식생보전등급 94
〈그림 2.5-7〉 과업하천 및 주변지역의 생태·자연도 97
〈그림 2.5-8〉 현지조사에서 확인된 보호종 분포도 101
〈그림 2.5-9〉 수질오염 취약현황도 102
〈그림 3.1-1〉 홍수량 산정지점도 110
〈그림 3.1-2〉 관측소위치 및 티센망도 112
〈그림 3.1-3〉 홍수량 배분도 121
〈그림 3.1-4〉 유사량 산정지점 127
〈그림 3.2-1〉 수자원 부존량의 구성 141
〈그림 3.2-2〉 유황곡선 142
〈그림 3.2-3〉 하천관리유량과 하천수 사용량 관계(모식도) 145
〈그림 3.2-4〉 용수수요량 추정을 위한 지구 분할도 146
〈그림 4.1-1〉 제방표준단면도 160
〈그림 4.1-2〉 제방표준단면도(계속) 161
〈그림 4.2-1〉 물수지 모식도(2020년) 181
〈그림 4.2-2〉 물수지 모식도(2025년) 182
〈그림 4.2-3〉 물수지 모식도(2030년) 183
〈그림 4.2-4〉 물수지 모식도(2035년) 184
〈그림 4.3-1〉 수질모델링은 위한 과업하천 모식도 191
〈그림 4.4-1〉 공간관리계획도 202
〈그림 5.1-1〉 치수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위치도 21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826388 | 627.12 -21-9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826389 | 627.12 -21-9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