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 건강한 식생활
2 탄수화물
3 지질
4 단백질
5 소화와 흡수
6 에너지와 영양
7 지용성 비타민
8 수용성 비타민
9 다량 무기질
100 미량 무기질
11 한국인의 식생활 현황 및 정책
12 음주와 건강
13 분자영양학
14 노화와 영양
15 항산화 영양
16 환경과 영양

이용현황보기

(21세기) 영양학 = Nurtition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26860 613.2 -21-5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26861 613.2 -21-5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체계적인 이론과 올바른 실천을 위해 필요한 광범위한 내용을 심도 있게 포괄하는 영양학 교재로서, 1998년에 처음으로 출간되었고 그 후 학문의 발전을 따라잡고 새로이 발표된 개념들을 충실히 담기 위해 2000년과 2006년, 2011년, 2016년에 개정된 바 있다.
최근 개정으로부터 5년이 흐르는 동안 인터넷 이용이 증가하면서 영양정보 면에서 크나큰 변화와 발달을 겪게 되었고 분자생물학 분야의 발달은 분자영양학 분야에 새로운 개념과 접근방법이 첨가되었으므로 그에 따른 수정.보완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더구나 2020년에 한국인을 위한 영양소 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이 개정발표되었고, 2016년에 발표되었던 국민 공통 식생활지침을 개정하여‘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이 2021년 4월에 발표되었습니다. 또한 최근까지 보고된 국민건강통계를 토대로 하여 우리 국민의 만성질환 및 생활습관 자료의 최근 추이를 이 책에도 반영할 필요가 대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