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아무도 모르는 인어왕자 이야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C00008243 아동2 811.33 ㅈ534 v.102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인어공주 곁에 늘 인어왕자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유난히 반짝이던 인어들의 사랑, 꿈, 용기와 만나 보세요!

명작의 감동에 새로움을 더하다

오랜 시간 동안 세계의 수많은 독자들에게 사랑받아 온 <인어공주>는 여전히 우리 마음속에 잔잔한 감동과 울림을 주는 명작입니다. 동화 작가의 아버지라 불리는 안데르센이 스스로도 최고의 작품으로 꼽았을 만큼 그의 삶과 꿈, 사랑, 열정 등이 잘 녹아 있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지요. 그런데 좋은 작품일수록 다양한 생각과 상상을 불러일으키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강정연 작가도 이 글을 쓰게 된 계기를 밝히면서 ‘인어공주를 위로하고 싶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인어공주가 인간 세상 왕자에게 사랑을 쏟아부은 것처럼, 인어공주 자신도 누군가에게 깊이 사랑받을 수 있는 존재라는 걸 알려 주고 싶었던 것이지요. 그래서 인어공주를 사랑한 인어왕자 이야기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어쩌면 자기 자신보다 인어공주 ‘미오’를 더 사랑했던 인어왕자 ‘마오’. 아무도 몰랐지만 어쩌면 우리 모두의 마음 한구석에 존재하고 있었는지도 모르는 인어왕자의 이야기 말입니다.

사랑, 꿈 그리고 반짝이는 용기
귀한 인연으로 한날한시에 태어난 마우와 미오는 아주 자연스럽게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성장해 갔습니다. 특히 마오는 인어에게 성년의 나이인 열다섯 살이 되면 미오와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고 싶은 꿈이 생겼고요. 그런데 미오에게 다른 꿈이 생기고 말았습니다. 어느 날 우연히 인간 세상의 왕자를 보고 사랑에 빠진 것이지요. 안타깝게도 왕자는 미오가 아니라 인간 세상의 다른 아가씨를 사랑했지만, 미오는 물거품이 되면서까지 자기 방식으로 사랑을 지켜 냈습니다. 그것은 마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사라진 미오의 소식을 알고 싶어서 검은 문어에게 소중한 비늘을 떼어 주었고, 인간 세상으로 나가 수조에 갇혔고, 결국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모든 게 스스로 찾은 꿈이었고, 자신의 선택에 따르는 책임이 자기 몫이라는 걸 알았기 때문에 용기를 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안데르센의 원작 <인어공주>에서도 인어공주가 왕자를 죽이고 목숨을 연장하는 대신 스스로 죽음의 길을 선택해서 지고지순한 사랑과 이타적인 행위로 구원을 받았다고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인어들의 삶이 슬퍼도 아름답게 다가오는 까닭이 아닐까요?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아주 먼 옛날, 깊고 깊은 바닷속에 인어들이 모여 사는 산호성이 있었어. 산호성은 말 그대로 산호로 만들어진 성이야. 인어들은 산호성 안에 커다란 조개로 집을 짓고 살았는데, 집집마다 인어 가족들의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았지. 산호성은 늘 평화로웠어.
바다 생명들은 인어를 무척 좋아하고 귀하게 여겼어. 인어들은 노래하기를 참 좋아했는데 인어의 노랫소리에는 특별한 힘이 있었거든. 그것은 바로 치유의 힘이었어. 상처가 있거나 병든 바다 생명이 인어의 노랫소리를 들으면 서서히 회복되어 결국 건강을 되찾곤 했지. 그리고 인어들이 잠들기 전 부르는 마지막 노래는 하루 종일 쌓였던 피로를 싹 날려 주었어. 그러니 모두 인어를 아끼고 좋아할밖에.
마우와 미오는 인어야. 마우는 남자 인어고, 미오는 여자 인어.
둘은 같은 날, 같은 시각에 각각 다른 집에서 태어났어. 산호성에서는 아주 특별한 일이었지. 왜냐하면 인어 세상에서는 한 해에 딱 한 인어만 아기를 가질 수 있거든. 누군가 이미 아기를 가졌다면 다른 인어는 아기를 가질 수 없는 거야. 아기를 가진 인어에게서 묘한 향이 풍기는데, 그 향이 다른 인어들이 아기 갖는 것을 방해한대. 그런데 한 해에 두 인어가 아기를 갖게 된 거야. 게다가 두 집안은 워낙에 아주 절친한 사이였지.
또한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렇게 같은 날 태어난 남자 인어와 여자 인어는 서로 결혼할 운명이라는 거야. 그러니 양쪽 집에서 얼마나 기뻐했겠어? 이름을 ‘마우’와 ‘미오’로 지은 것도 그 때문이지. ‘마우미오’가 인어들의 언어로 ‘영원한 사랑’이라는 뜻이거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