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제2의 천국) 조지아를 가다 : 자연, 역사, 생활, 문화 인문 가이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035310 914.758 -21-3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조지아는 제2의 천국이다. 조지아를 가보지 못한 사람은 아직 세상을 보지 못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조지아는 제2의 천국이다. 조지아를 가보지 못한 사람은 아직 세상을 보지 못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조지아인들은 격정적이고, 자존심이 강하며, 맹렬하고 명랑하다. 소련의 다른 민족들은 이들을 보고 감탄한다. 이들은 힘과 생명력이 넘치는 위대한 기마병이다... 이들은 시와 음악, 춤의 민족이고, 조지아 남자들은 뛰어난 사랑꾼이다. 분명한 것은 조지아인들은 자연의 축복을 받은 나라에서 살고 있고, 이것을 지키기 위해 2천년을 싸워왔다." _ 존 스타인벡

남한의 2/3 정도 밖에 되지 않는 작은 땅에 자리 잡은 나라이지만, 5천 미터가 넘는 절경의 고산준령과 깊은 계곡, 푸른 강과 수많은 광천과 온천이 국토에 산재해 있다.
조지아를 찾는 많은 사람들이 이 유서 깊은 나라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풍광, 음식, 와인만 경험하고 돌아온다면 아쉬운 일이다. 조지아를 찾는 한국 사람들이 인문적 관점에서 조지아의 자연, 역사, 문화, 풍습 등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조지아인들이 자신들의 국토를 자랑스러워 하는 것은 조지아 땅에 대한 전설에도 잘 드러난다. 전설에 따르면 하나님의 각 민족에게 땅을 분배할 때, 조지아인들은 하나님 앞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은 연회와 풍악을 즐기고 와인을 마시느라 땅의 분배가 다 끝난 후에 하나님 앞에 나타났다. 하나님은 모든 땅을 다 나누어 주었기 때문에 조지아인들에게 줄 땅이 남아 있지 않다고 했다. 그러자 아직도 술에서 덜 깬 조지아인 대표는 모든 사람이 돌아가며 신을 위해 건배를 하다가 시간이 지체되었다고 설명하며 자비를 구했다. 그러자 하나님은 할 수 없이 자신이 살기 위해 남겨놓은 마지막 땅을 조지아인들에게 주었다.

잘 정비된 티플리스의 모퉁이는 페테르부르그를 연상시켰는데... 발코니의 격자 창틀은 바구니와 하프 모양의 곡선이었고 인적 드문 골목길은 아름다웠다. 레즈긴카(카프카스의 민속 무용) 의 리듬을 빠르게 치는 탬버린 소리가 어딜 가든 계속 뒤쫓아 왔다. _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조지아인들은 뛰어나고 고결하며, 솔직하고 용감하며 너그러워서 이 사람들을 별도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_알렉상드르 뒤마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29] 그들은(조지아인들은) 격정적이고, 자존심이 강하며, 맹렬하고, 명랑하다. 소련의 다른 민족들은 이들에 대해 감탄을 한다. 그들은 언제나 힘과 생명력과 위대한 기마병이자 전사인 자신들의 능력에 대해 얘기한다. 그리고 조지아 남자들은 러시아 여인들을 쉽게 쟁취한다. 그들은 시와 음악, 춤의 민족이고, 전통에 의하면 뛰어난 사랑꾼들이다. 그리고 분명한 것은 이들은 자연의 축복을 받은 나라에서 살고 있고, 이것을 지키기 위해 2천년을 싸워왔다."
[P. 39] 조지아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 거주지였다. 조지아 중부의 드마니시 마을에서는 180만-170만 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과 화석이 발견되었다. 일부 고고인류학자들은 아프리카를 벗어나 인류의 조상이 아라비아반도와 터키 지역을 거쳐 이동하다가 현재의 조지아 땅에 정착했고 후에 유럽으로 건너가서 백인의 조상이 되었다고 말한다.
[P. 58] 조지아어는 계통상으로 인도유럽어족의 카르트벨리 어군(Kartelvelian languages)에 속한다. 그러나 조지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다른 언어와의 유사성을 찾기가 쉽지 않다. 피레네 산맥에 거주하는 바스크족이 사용하는 바스크어와의 계통적 관계를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기는 하지만 근거가 약하다. 이 학자들은 능격(能格) 언어라는 점과 음성의 일부 유사성을 근거로 이러한 주장을 한다. 카르트벨리 어군에는 조지아어 외에도 북북 산악 지역 언어인 스반어(Svan), 북서 조지아에서 사용되는 멘글레리안어(Mengrelian)와 서쪽 흑해 연안 지방에서 사용되는 라즈어(Laz)어가 있다. 조지아 언어학자들을 이 언어들을 조지아의 방언으로 취급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