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조조를 바탕으로 발전한 건안 문학 1. 문제(文帝) 조비(曹丕) 2. 조식(曹植) 3. 명제(明帝) 조예(曹叡) 4. 건안칠자(建安七子) 5. 여류시인 채염(蔡琰) 6. 정시(正始) 이후의 시
제11장 유비劉備 ·손권孫權과 삼국三國 1. 왜 이 글을 쓰는가? 2. 촉나라 임금 유비의 행적 3. 오나라 임금 손권의 행적 4. 삼국 사이의 싸움 성격 5. 삼국의 정치와 학술문화의 발전
제12장 맺는말
주요 참고서목
이용현황보기
조조의 재발견 : 중국 전통문학을 발전시킨 시인이자 동한 말년을 지탱해 준 장군 조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32304
952.32092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32305
952.32092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49456
952.32092 -22-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중국 전통문학을 발전시킨 시인이자 동한 말년을 지탱해 준 장군 조조
조조에 대한 평가는 아직도 여러 면에서 문제가 적지 않다. 이 책의 제목인 『조조의 재발견』이라는 말에는 조조에 대한 평가를 모든 면에서 새롭고 바르게 하겠다는 필자의 뜻이 실려 있다. 따라서 먼저 조조의 출생부터 그의 일생 경력을 올바로 따지며, 조조와 그의 아들 손자들의 사람됨에 대하여 올바른 평가를 하려고 노력하였다. 그와 아들 손자들이 모두 무척 바르고 훌륭한 인간성의 소유자들임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한나라를 위하여 장군으로서 올린 공적을 밝힌 뒤 그가 동한과 위나라를 다스리면서 올린 정치가로서의 여러 가지 업적도 올바로 드러내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미 밝힌 것처럼 조조의 문학 활동을 제대로 평가하는 데 가장 큰 무게를 두었다. 특히 그가 시를 중심으로 하여 본격적인 문학 창작을 처음으로 시작하여 중국에 처음으로 문단을 형성시킨 실황을 밝히는 데 가장 큰 힘을 기울였다. 이것은 중국 문학사상 조조가 전통문학의 발전을 유발한 문인임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