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프롤로그_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의사들 이야기

1장
초보 의사, 열정 하나로 돌진합니다
뭐? 공중보건의사가 되겠다고?
나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
호된 신고식
예감 좋은 날

2장
의사와 환자, 그 가깝고도 먼 거리
대화가 필요해
고요 속에서 혼자 외치다
전쟁터와 콘서트, 그리고 팬 사인회
깨지고, 치이고, 욕을 먹어도
나쁜 의사가 되기로 했다
그래도 나에겐 처음이었다
다 똑같은 사람입니다



3장
공중보건의사는 이렇게 삽니다
출퇴근은 2분이면 충분합니다
국산은 안 물어
나의 근무 지역은 동물농장?
걷고, 달리고, 사진 찍기

4장
팬데믹, 그 어두운 동굴을 지나
빼앗긴 자유, 되찾을 수 있을까?
25일간의 기억
공감,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5장
미숙하지만 한 걸음 나아가겠습니다
이야기로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
그때 그 마음, 지킬 수 있을까?
아직은 두렵다
상처는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다
더 많은 이들과 대화하기 위해선

에필로그_초보에서 ‘찐’이 되기 위해

이용현황보기

나는 공중보건의사입니다 : 겉에서 보면 평화롭고 안에서 보면 전쟁터 시골 청년 의사의 보건소 수난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40633 610.2 -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40634 610.2 -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48266 610.2 -22-4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공중보건의사를 소개합니다

"공중보건의사들을 코로나19 방역 업무에 투입합니다."
뉴스를 통해 친숙해진 공중보건의사. 방역 최전선을 지키는 그들의 존재를 매스컴을 통해 인식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어떤 일을 하는지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 공중보건의사란 대체 복무의 일환으로, 농어촌 같은 의료 취약지역에서 공중보건업무를 수행하는 의사이다. 이들은 기간제 공무원이자, 대체 복무자이자, 감염병 확산 방지에 앞장서는 공공 의료진이기도 하다. 그리고 누구보다 열정 가득한 초보 의사이다.
저자는 아름다운 시골 마을 보건소에서 일하며 수많은 환자를 진료한다. 예방접종과 성인병 관리, 허리 통증 같은 1차 진료를 전담하며 현실에서의 어려움과 보람을 오간다. 그러다 코로나19 의료진으로 대구에 파견된다.
이 책은 한 청년이 의사로 차츰차츰 나아가는 과정을 소개하는 한편, 공중보건의사의 역할과 애환을 소개하며 그들을 알아가도록 돕는다.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장 위험한 현장에, 가장 소외된 곳들을 돌보는 공중보건의사를 알려준다.

시골이라 한가하겠다고?
바람 잘 날 없는 보건소에서의 눈물겨운 고군분투


시골 보건소는 노인 환자가 대부분이다. 작가는 귀가 어두운 환자를 진료하며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다 목이 다 쉬어버리기도 하고, 아무리 설명해도 이해하지 못하는 환자를 상대하느라 진땀을 빼기도 한다. 완고한 노인 환자와 갓 부임한 햇병아리 의사의 케미는 이 책을 읽는 묘미 중 하나다.
웃고 넘길 수 없는 일들도 있다. 작가는 주의사항을 지키지 않는 환자들을 보면 화가 나 폭풍 잔소리를 퍼붓고, 무례한 환자들을 대할 때면 인간적인 모독을 느껴 ‘나도 사람인데’ 하는 마음에 울컥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자신을 ‘미생’이라 자칭하는 작가는 진짜 의사가 되기 위한 고군분투를 멈추지 않는다. 아무리 힘든 일이 많아도 회복하는 환자를 보면 보람을 느낀다는 작가는 환자들의 건강을 위해서라면 잔소리 대마왕이 되는 것을 주저하지 않으며 꿋꿋하게 보건소로 출근하고 있다.

코로나19 방역의 최전선에서 구슬땀을 흘립니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공보의와 방역의 세계


2019년 말, 코로나19 초유의 사태 앞에 모두가 우왕좌왕할 때, 방역 최전선에서 국민의 건강을 수호한 이들이 바로 공중보건의사다. 작가는 대구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된 시점에 자원하여 생활치료센터로 파견 근무를 간다. 숨을 쉴 수 없을 정도로 겹겹이 입은 방호복, 뙤약볕 아래에서의 드라이브 스루 검체 채취 등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경험담이 《나는 공중보건의사입니다》에 생생하게 녹아 있다.
작가는 생활치료센터에서 통화 업무를 하며 환자들과 많은 대화를 나누었다. 좁은 방 안에 격리되어 공포에 떠는 환자들을 위로했지만 혹여 무심코 한 말이 상처가 되지 않을까, 환자들의 마음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한 채 쉽게 위로의 말을 내뱉은 것은 아닐까 늘 고민한다.
끝이 보이지 않는 코로나19 사태에 좌절하고, 자신의 부족함에 자책하지만, 그럼에도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통해 의료진의 고충과 지금 이 순간에도 코로나19 종식을 위해 묵묵히 노력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들여다볼 수 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공중보건의사들은 국가 재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2009년 신종플루부터 2020년 코로나19에 이르기까지 각 지자체의 선별진료소, 생활치료센터 등에서 전염병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 현재는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 파견 업무까지 수행하며 국가 의료를 보완한다.
공중보건의사는 의사 면허증을 가진 사람이자, 임기제 공무원 신분에, 대체 복무자다. 의료인으로서 의료법을 준수해야 함은 기본이고 국가공무원법, 국가공무원복무규정, 대체복무제도와 관련된 병역법, 거기다 공중보건의사 제도의 법률적 기반인 농어촌의료법까지 따라야 한다.
- ‘뭐? 공중보건의사가 되겠다고?’ 중에서
“내가 먼저야.”
“아니, 방금 새치기하셨잖아요?”
“내가 언제?”
오가는 고성이 보건소 곳곳을 꽉꽉 채웠다. 그 와중에 수많은 소리 또한 내 귀에 가득 들어왔다.
“선생님, 병원 예약 때문에 빨리 가야 하는데, 바로 접종하면 안 될까?”
“한참 기다렸어. 그냥 나 먼저 해주소.”
“아까 앞에 줄 서 있었는데 화장실 다녀왔어. 바로 문진표에 사인해 줘.”
순서를 무시하고 찾아와 바로 접종해 달라고 사정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접종 문진하랴 순서를 무시하고 찾아온 사람들에게 안 된다는 설명을 하랴, 정신이 없었다. 거기다 싸우는 소리까지 울려 퍼지니 자아가 두 개로 갈라질 뻔했다.
- ‘전쟁터와 콘서트, 그리고 팬 사인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