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권6 지(志) 제일(第一)
예의(禮儀) 1

권7 지(志) 제이(第二)
예의(禮儀) 2

권8 지(志) 제삼(第三)
예의(禮儀) 3

권9 지(志) 제사(第四)
예의(禮儀) 4

권10 지(志) 제오(第五)
예의(禮儀) 5

권11 지(志) 제육(第六)
예의(禮儀) 6

권12 지(志) 제칠(第七)
예의(禮儀) 7

부록 : ≪수서(隋書)≫ 전체 구성과 전체

이용현황보기

수서 예의지 : 큰글씨책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42472 952.41 -2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42473 952.41 -2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혼란을 바로잡은 통일 왕조 수나라의 역사서
≪수서≫는 제기(帝紀) 5권, 지(志) 30권, 열전(列傳) 50권, 총 85권으로 되어 있다. 수(隋)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紀傳體) 사서(史書)로, ≪사기(史記)≫·≪한서(漢書)≫ 등과 함께 중국의 정사인 24사(史) 중 하나로 꼽힌다. 수나라는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했던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시기에 종지부를 찍은 통일 왕조다. 수나라는 폭군의 대명사로 알려진 양제(煬帝), 남과 북의 교류를 촉진한 대운하, 네 차례에 걸친 고구려와의 전쟁,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으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위진남북조의 혼란한 시기를 통일한 대제국 수나라는 581년 문제(文帝) 양견(楊堅)의 건국부터 618년 양제 양광(楊廣)이 멸망하기까지 불과 37년 만에 역사에서 사라졌다. 수나라의 멸망은 진시황(秦始皇)의 진(秦)나라와 유사하다. 2대에서 멸망했다는 점, 멸망한 후 한나라와 당나라라는 강한 왕조가 탄생했다는 점, 오랜 기간 이어진 난세를 통일했다는 점 등이 그렇다. 대제국을 형성했던 왕조의 흥망성쇠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흥미로운 내용과 교훈을 제공한다. 여기에 수나라는 고구려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수서≫를 읽는 것은 이처럼 흥망과 치란의 교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구려 역사에 대해서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예의지>의 구성과 내용
≪수서≫ <예의지>는 ≪수서≫에 수록된 십지(十志) 중의 첫째 편이다. ≪수서≫ 권6에서 권12까지 총 7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수서≫ 십지 중에서 분량이 가장 많다. 이에 대해 중국학자 차이더겅(柴德賡)은 ≪사적거요(史籍擧要)≫에서 “이것은 우홍 등이 ≪조의기≫를 지어, 각 조대의 의례에 관한 글들이 많아진 까닭이다(這因牛弘等曾撰≪朝儀記≫, 各朝儀禮文字本來多的緣故)”라고 했다.
‘예의(禮儀)’는 예절과 의식을 가리키는 말로, 한 나라의 제사·복식(服飾)·수레·관면(冠冕) 등과 관련된 각종 예법 제도를 말한다. ≪수서≫의 <예의지>는 남조 양(梁)나라에서 수(隋)나라에 이르는 약 300년의 보기 힘든 ‘예의’ 제도를 망라하고 있어 자료적 가치가 크다.
제사 관련 편에서는 제사를 지낸 유래와 변천, 각종 제사별로 제를 지내는 위치 제물 시기 등을 논하고, 의식 관련 편에서는 황제 선양 의식, 황태후 봉책 의식, 왕실의 가관례 등을 언급한다. 이 외에도 수레에 대한 예법 규정, 관면과 의상에 대한 예법 규정 등을 세세하게 거론한다. 수 문제(文帝) 양견(楊堅)이 북주(北周)의 마지막 군주 정제(靜帝)로부터 제위를 물려받는 과정, 수나라의 군사들이 고구려를 치기 위해 출정하기 전의 의식이 거행되는 상황 등의 기록이 담겨 있어 눈길을 끈다.

∙ 이 책은 중화서국(中華書局)의 ≪이십사사(二十四史)≫ 교점본 중 ≪수서(隋書)≫와 한어대사전출판사본(漢語大詞典出版社本) ≪이십사사전역(二十四史全譯)≫ 중의 ≪수서(隋書)≫를 텍스트로 삼아 번역했다.
∙ 이 책은 ≪수서(隋書)≫ 권6∼권12에 해당하는 <예의지>를 번역한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76] 추분 이후로는 더 이상 우제를 지내지 않고 기원만 한다. 제사 때마다 술과 육포를 사용한다. 처음에 비를 기원하고 20일이 지나도 비가 내리지 않으면, 시장을 작은 골목으로 옮기고 소와 양의 살육을 금지한다. 황제는 흰옷을 입고 정전에서 공무를 처리하지 않으며 음식을 줄이고 음악을 멀리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노천에 앉아서 정무를 본다. 백관들은 우산과 부채를 접는다. 집집마다 흙으로 빚은 용을 만들 것을 명한다. 비가 오면, 담당 관리에게 천신에게 보답할 것을 명한다. 주군의 장관들이 비를 기원할 때는 억울한 일을 심리하고, 홀아비·과부·고아를 돌보고, 길에서 죽은 자의 유해를 묻어 주고, 재계 후에 토신에게 기원한다.
[P. 183~184] 북제의 황제는 늘 계추(季秋)의 달에 도성 밖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했다. 담당 관리가 먼저 풀을 베고 넓은 마당을 만든다. 마당은 두 개의 군이 훈련할 수 있을 정도다. 또 북쪽에는 마당을 하나 만들어 황제가 이곳에서 검열토록 한다. 이에 장군들에게 무사를 뽑고 병사들을 조련하며 병사를 배치하고 진 치는 법을 훈련할 것을 명한다. 진을 펼칠 때마다 젊은 사람은 앞에 있고 나이 있는 사람은 뒤에 있는다. 물러날 때는 나이가 있는 사람이 앞에 있고, 젊은 사람이 뒤에 있는다. 몸이 큰 사람은 활과 화살을 들고, 몸이 왜소한 사람은 깃발을 든다. 용사들은 징·북·칼·방패를 들고 대오의 가장 앞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병사들이 있고, 그다음으로 긴 창을 가진 병사들이다. 궁전수(弓箭手)가 가장 뒤에 있다. 장수는 먼저 하급 장교들을 조련하여, 그들로 하여금 깃발의 지휘를 따르는 데 익숙해지게 한다. 출격하려고 할 때는 깃발을 땅에 눕히고 꿇어앉는다. 무사들의 귀를 조련하여 금고(金鼓)의 진퇴를 알리는 소리에 익숙해지게 한다. 북소리를 들으면 전진하고, 쇳소리가 울리면 멈추었다. 무사들의 마음을 조련하여 징벌의 고통과 상을 받을 때의 이로움을 알게 한다. 무사들의 손을 조련하여, 무기들을 능수능란하게 다루게 하고 격투에 숙련되게 한다. 무사들의 발을 조련하여, 꿇어앉거나 대오가 진흙이나 험준한 길을 가는 데 익숙해지게 한다.
[P. 470] 북주의 문제(文帝)는 정수리에 혹이 있어 사람들에게 보여 주길 싫어했다. 그래서 자주 이 모자를 이용했다. [북주의 문제가] 북위의 재상으로 있을 때, 이 모자를 쓰고 황제를 알현한 적이 있다. 그래서 북주 때 계속 유행하는 복식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