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허균의 가학家學: 부친 허엽과 네 남매들 1. 아버지 허엽許曄(1517~1580) 2. 허균의 큰 형 허성許筬 3. 허균의 둘째형 하곡荷谷 허봉許?(1551~1588) 4. 허균의 누이 허난설헌許蘭雪軒(1563~1589)
03 허균의 파란만장한 일생 1. 허균의 가계와 형제들 2. 허균의 생장과 교육과정 3. 유소년 시절의 추억: 이단에 빠지다 4. 왜란 때 아내와 아들을 잃고 강릉으로 돌아오다 5.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나아가다 6. 강릉 낙가사洛伽寺에서 억기시憶記詩를 쓰다 7. 정유재란 후 다시 벼슬길에 나가다: 종사관, 황해도 도사 8. 선조 34년: 호남 향시 시관試官과 조운판관으로 가다 9. 선조 35년: 원접사 종사관, 병조정랑 10. 선조 36년: 사복시정 파직, 금강산 유람 11. 선조 37년: 성균관 전적, 수안군수 12. 수안군수에서 파직되다 13. 선조 39~40년: 주지번朱之蕃과 교유, 삼척부사 파직되다 14. 선조 40~41년: 내자시정內資寺正, 공주목사 15. 광해군 즉위년: 공주목사 파직 후 부안으로 가다 16. 부안생활: 택당 이식을 만나다. 역모 혐의를 받다 17. 광해군 원년: 서울로 올라와 벼슬을 받다 18. 부안 매창의 노래사건, 10년을 사귀다 19. 광해군 1년: 원접사 이상의 종사관, 첨지중추부사 20. 광해군 2년: 천추사를 거절하고 감옥에 갇히다 21. 〈병한잡술〉에 실린 시들 22. 《한정록閑情錄》 편찬 23. 광해군 2~3년: 문과 고시관考試官 부정으로 함열咸悅로 귀양가다 24. 함열에서 〈식소록〉, 〈성수시화〉, 〈도문대작〉, 〈화백시〉, 〈화사영시〉를 쓰다 25. 광해군 4년: 허성이 죽고, 주청사奏請使 문제로 태인泰仁으로 귀양 가다 26. 광해군 5년: 칠서지옥 후 이이첨과 밀착하다 27. 계축옥사로 영창과 김제남이 제거되다 28. 광해군 6~7년: 두 차례 명나라에 가서 서적을 구입하다 29. 광해군 7~8년: 신경희사건, 해주옥사 사건 30. 광해군 9년: 경운궁 흉서투척 사건 31. 광해군 9~10년: 폐비를 위한 여론조작과 백관회의 32. 광해군 10년: 기준격이 허균의 반역을 고발하다 33. 광해군 10년 8월: 반역으로 처형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