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21년 한국인의 행복조사 및 한국인의 미래 가치관 연구 심층분석 보고서 / 연구진: 허종호, 민보경, 이채정, 이상직, 김영재, 김선, 김태희, 박강윤, 박민진, 서은국 [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회미래연구원, 2021
청구기호
152.42 -22-2
자료실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부산관] 의회자료실(2층)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xviii, 547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1-23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0858762
제어번호
MONO12022000005461
주기사항
참고문헌: p. 535-537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발간사 / 김현곤 4

요약 21

제1장 한국인의 행복조사 및 한국인의 미래 가치관 조사 39

제1절 한국인의 행복조사 40

Ⅰ. 조사 대상 40

Ⅱ. 조사 내용 40

Ⅲ. 실사 44

Ⅳ. 표본 설계 44

제2절 한국인의 미래 가치관 조사 53

Ⅰ. 조사의 배경 및 목적 53

Ⅱ. 조사 내용 및 응답자 특성 53

제3절 본 보고서의 작성 목적과 구성 57

Ⅰ. 본 보고서의 작성 목적 57

Ⅱ. 본 보고서의 구성 57

제2장 한국의 행복/삶의 만족도 수준과 실제 58

제1절 한국인의 행복 수준 결과와 행복조사 연구의 함의 / 허종호 59

Ⅰ. 2020년 한국인의 행복조사 결과 61

Ⅱ. Paradata에 따른 행복 수준 검증 68

Ⅲ. 파라데이터 변수에 따른 행복 수준 76

Ⅳ/Ⅲ. 결론 및 제언 82

제2절 일상재구성법(DRM)으로 살펴본 일상 사회성의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 이화령;서은국 83

Ⅰ. 서론 85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86

Ⅲ. 연구 방법 90

Ⅳ. 결과: 일상 사건과 전반적 행복에 대한 관계분석 95

Ⅴ. 결론 100

참고문헌 105

제3절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과 차이 분석: 무엇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며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 / 민보경;이용상;박강윤 108

Ⅰ. 서론 110

Ⅱ. 선행연구 분석 113

Ⅲ. 분석 결과 115

Ⅳ. 결론 및 제언 135

참고문헌 139

제3장 행복/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요인 141

제1절 한국에서 행복의 사회적 기반에 대한 연구: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환경, 가치의 영향 / 한준 142

Ⅰ. 연구배경과 문제제기 144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 145

Ⅲ. 연구 방법 153

Ⅳ. 분석 결과 158

Ⅴ. 토론 및 결론 164

참고문헌 166

제2절 개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사회경제적 요인 및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 김태희 169

Ⅰ. 서론 171

Ⅱ. 이론적 배경 173

Ⅲ. 연구 방법 181

Ⅳ. 분석 결과 185

Ⅴ. 결론 192

참고문헌 195

제3절 전자감시사회에서의 시민적 권리에 대한 한국과 유럽 인식 격차 / 신인철 198

Ⅰ. 서론 200

Ⅱ. 이론적 배경 201

Ⅲ. 연구자료 및 모형 204

Ⅳ. 연구 결과 208

Ⅴ. 결론 및 제언 217

참고문헌 220

제4장 일, 노동, 직업과 행복/삶의 만족도 222

제1절 일이 주는 기쁨과 슬픔: 행복과 일의 관계에 대하여 / 장효진;이채정 223

Ⅰ. 서론 225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226

Ⅲ. 연구 분석의 틀 및 기초자료 분석 230

Ⅳ. 분석 결과 235

Ⅴ. 결론 243

참고문헌 245

제2절 일이냐 여가냐의 구도를 넘어: 일-여가 인식 유형과 행복 / 신아름;이상직 248

Ⅰ. 서론 250

Ⅱ. 자료와 연구 방법 252

Ⅲ. 분석 결과 257

Ⅳ. 결론 266

참고문헌 268

제5장 세대와 행복/삶의 만족도 272

제1절 세대별 행복 차이 양상 및 결정요인 분석 / 장윤정;이채정 273

Ⅰ. 서론 275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277

Ⅲ. 분석 결과 282

Ⅳ. 결론 및 시사점 293

참고문헌 296

제2절 미래세대의 행복과 영향 요인 연구: MZ세대를 중심으로 / 박민진;민보경;이민주 298

Ⅰ. 서론 300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301

Ⅲ. 미래세대의 행복과 미래 전망 306

Ⅳ. 미래세대의 행복 영향 요인 311

Ⅴ. 결론 322

참고문헌 324

제6장 지역과 행복/삶의 만족도 328

제1절 정주여건에 대한 만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 민보경 329

Ⅰ. 서론 330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331

Ⅲ. 연구 방법 333

Ⅳ. 분석 결과 336

Ⅴ. 결론 340

참고문헌 342

제2절 행복의 지역 격차: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행복 영향 요인 비교 / 민보경 343

Ⅰ. 서론 345

Ⅱ. 선행연구 검토 346

Ⅲ. 연구 방법 349

Ⅳ. 분석 결과 351

Ⅴ. 결론 354

참고문헌 356

제3절 행복과 불평등의 지형 분석: 지역 내 사회서비스 시설 접근성 분석을 중심으로 / 조희찬;이채정 357

Ⅰ. 서론 358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358

Ⅲ. 분석 방법 361

Ⅳ. 분석 결과 363

Ⅴ. 결론 375

참고문헌 377

제7장 미래 인식 380

제1절 한국인의 미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 연구: 과학기술과 환경문제 인식을 중심으로 / 김영재;민보경 381

Ⅰ. 서론: 연구 배경 및 목적 383

Ⅱ. 선행연구 검토 384

Ⅲ. 미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소 387

Ⅳ. 연구 방법 390

Ⅴ. 분석 결과 394

Ⅵ. 결론 및 정책적 함의 396

참고문헌 400

제2절 머신러닝을 이용한 미래 인식 영향 요인 탐색 / 민보경;이용상;박강윤 403

Ⅰ. 서론 405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407

Ⅲ. 분석 결과 411

Ⅳ. 결론 및 제언 419

참고문헌 423

제8장 코로나19 관련 심층분석 연구 424

제1절 한국의 COⅥD-19 백신접종 주저의 인구사회학적, 심리적, 경험적 예측인자 / 황서은, 허종호 425

Ⅰ. Ⅰntroduction 427

Ⅱ. Materials and methods 428

Ⅲ. Results 431

Ⅳ. Discussion 440

Ⅴ. Policy implication 443

References 446

제2절 코로나19 대유행 동안의 한국인의 흡연량 및 음주량의 변화: 고용형태, 경제적, 사회인구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 이선엽;김선;허종호 448

Ⅰ. Ⅰntroduction 450

Ⅱ. Methods 451

Ⅲ. Results 455

Ⅳ. Discussion 463

Ⅴ. 정책적 함의 466

[Supplementary materials] 468

References 470

제3절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코로나19 이후 건강행동 이행 및건강변화 비교 연구 / 조윤민;허종호 474

Ⅰ. 서론 476

Ⅱ. 이론적 배경 477

Ⅲ. 연구 방법 480

Ⅳ. 연구 결과 482

Ⅴ. 결론 489

참고문헌 494

제4절 코로나19 시대의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과 영향 요인 / 윤난희;허종호 498

Ⅰ. 서론 499

Ⅱ. 연구 방법 500

Ⅲ. 연구 결과 503

Ⅳ. 논의 522

Ⅴ. 결론 525

참고문헌 526

제5절 코로나19 감염증의 대유행에 따른 미충족 의료의 이해 / 황종남;허종호 528

Ⅰ. 서론 530

Ⅱ. 연구 분석의 틀 533

Ⅲ. 연구 결과 537

Ⅳ/Ⅶ. 논의 554

참고문헌 561

제9장 연구의 요약 및 결론 564

Ⅰ. 연구의 요약 565

Ⅱ. 연구의 결론 및 정책적 함의 567

Abstract 569

판권기 571

제1장 43

[표 1-1] 조사 문항 구성 43

[표 1-2] 모집단 현황 45

[표 1-3] 지역 층화 방법 46

[표 1-4] 서울시와 경기도의 권역별 구분 현황 방법 46

[표 1-5] 층별 모집단 집계구 현황 47

[표 1-6] 층별 모집단 가구 현황 48

[표 1-7] 층별 표본 배분 결과: 집계구 수, 가구 수, 표본 수 49

[표 1-8] 표본 현황 50

[표 2-1] 조사 문항 54

[표 2-2] 응답자의 특징 55

제2장 제1절 68

[표 1] 조사 방법에 따른 응답 비율 68

[표 2] 조사 요일에 따른 응답률 69

[표 3] 방문횟수에 따른 응답률 70

[표 4] 첫 번째 응답한 가구원의 가구주와의 관계 71

[표 5] 두 번째 응답한 가구원의 가구주와의 관계 72

[표 6] 기초생활수급 가구 여부에 따른 응답률 73

[표 7] 다문화가정 여부에 따른 응답률 74

[표 8] 가구형태에 따른 응답률 75

제2장 제2절 91

[표 1]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징 91

[표 2] 일상재구성법에 제공된 선지: 활동 정보와 같이 한 사람, 정서 경험 93

[표 3] 전반적 행복감, 삶의 만족도, 정서적 안녕감에 대한 인구학적 변인과 일상 사회성의 위계적 회귀분석 99

제2장 제3절 111

[표 1] 지역별 응답자 분포 111

[표 2] 설명변수 요약 112

[표 3] 주요 설명변수의 상관분석 결과 116

[표 4] 설명변수 간 다중공선성 검증 결과 116

[표 5] 삶의 만족도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117

[표 6]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 검정 119

[표 7] 응답자의 혼인 상태별 기술통계량 119

[표 8] 응답자의 혼인 상태별 삶의 만족도 차이 검정 120

[표 9] 응답자의 혼인 상태별 삶의 만족도 차이 사후 검정 121

[표 10] 주거 형태별 기술통계량 122

[표 11] 응답자의 주거 형태별 삶의 만족도 차이 검정 123

[표 12] 주거 형태별 삶의 만족도 차이 사후 검정 123

[표 13] 월평균 소득별 기술통계량 124

[표 14] 월평균 소득별 삶의 만족도 차이 검정 125

[표 15] 월평균 소득별 삶의 만족도 차이 사후 검정 126

[표 16] 교육수준별 기술통계량 129

[표 17] 교육수준별 삶의 만족도 차이 검정 130

[표 18] 교육수준별 삶의 만족도 차이 사후 검증 131

[표 19] 경제활동상태별 기술통계량 132

[표 20] 경제활동상태별 삶의 만족도 차이 검정 133

[표 21] 경제활동상태별 삶의 만족도 차이 사후 검정 133

제3장 제1절 154

[표 1] 종속변수들의 측정 154

[표 2] 사회적 참여 관련 독립변수들의 측정 155

[표 3] 사회적 관계 관련 독립변수들의 측정 155

[표 4] 사회적 환경과 가치 관련 독립변수들의 측정 156

[표 5] 범주형 변수들의 분포 156

[표 6] 연속형 변수들의 분포 157

[표 7] 전반적 행복도의 모형 158

[표 8] 삶의 만족도 모형 160

[표 9] 긍정-부정 정서 모형 162

제3장 제2절 184

[표 1] 요인 분석 결과 184

[표 2] 주요 변수 기술통계 185

[표 3] 상관관계 분석 186

[표 4] 개인의 특성 및 경제 수준별 삶의 만족도 비교 187

[표 5] 다중회귀분석 결과(종속변수: 삶의 만족도) 189

[표 6] 다중회귀분석 결과(종속변수: 삶의 만족도):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 크기 190

제3장 제3절 207

[표 1] 한국과 유럽권 자료의 기술통계량 207

[표 2] CCTⅤ 설치 및 E-Mail 모니링 찬성률에 대한 로짓모형 분석 결과 208

[표 3] CCTⅤ 설치 찬성여부에 대한 임의절편모형 분석 결과 212

[표 4] E-Mail 모니터링 찬성률에 대한 임의절편모형 분석 결과 213

[표 5] CCTⅤ 설치 찬성률에 대한 한국과 비동유럽권 비교 214

[표 6] E-Mail 모니터링 찬성률에 대한 한국과 비동유럽권 비교 215

제4장 제1절 234

[표 1] 변수 설명 234

[표 2] 기초통계(연속형 변수) 235

[표 3] 기초통계(범주형 변수) 236

[표 4] 변수 간 상관관계 236

[표 5] 고용형태가 일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237

[표 6] 일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효과 239

[표 7] 분석의 적합도(근로시간이 일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240

[표 8] 가구 조절효과 241

[표 9] 성별 조절효과 242

[표 10] 가구 및 성별 근로만족도 242

제4장 제2절 254

[표 1] 잠재집단분석에 활용된 독립변수(일-여가 인식)의 통계 254

[표 2] 응답자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 256

[표 3] 일-여가인식의 잠재계층분석 집단 모형 비교 257

[표 4] 잠재집단별 일-여가 가치관 문항의 응답분포 257

[표 5] 잠재집단 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성 261

[표 6] 잠재집단유형의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일-여가 동시 중시형 기준) 263

[표 7] 일-여가 인식 잠재유형별 행복 수준 비교 264

[표 8] 일-여가 인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265

제5장 제1절 278

[표 1] 본 연구의 세대 구분 278

[표 2] 관련 선행연구 요약 282

[표 3] 세대 구분별 주관적 만족도 283

[표 4] 모형 포함 변수의 기초통계량 283

[표 5] 객관적 범주형 변수의 빈도표 284

[표 6] 세대 구분을 더미변수화한 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만족도 285

[표 7] 세대를 더미변수화 한 회귀분석 결과: 삶의 사다리 286

[표 8] 세대별 취업 여부 빈도표 287

[표 9] 회귀분석 결과: 취업과 세대 상호작용항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288

[표 10] 빈도표 289

[표 11] 회귀분석 결과: 자가 거주와 세대 상호작용항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290

[표 12] 빈도표 291

[표 13] 회귀분석 결과: 단독가구 여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292

[표 14] 옥사카-블라인더 분해 결과 293

제5장 제2절 302

[표 1] 세대 구분(해외) 302

[표 2] 세대 구분(국내) 302

[표 3] 세대별 특징 303

[표 4] 미래세대 인구와 비율 307

[표 5] 세대 구분 307

[표 6] 세대별 행복도 정도 308

[표 7] 세대별 행복도 310

[표 8] 현재 행복도와 행복한 이유 310

[표 9] 행복하지 않은 이유 311

[표 10] 미래 행복도 311

[표 11] 변수의 정의 314

[표 12] 기술통계(전체 세대, 연속형 변수) 315

[표 13] 기술통계(전체 세대, 범주형 변수) 315

[표 14] 전체 세대 행복 영향 요인 모형 318

[표 15] 기성세대 및 MZ세대의 행복 영향 요인 모형 320

[표 16] 기술통계(기성세대, 연속형 변수) 326

[표 17] 기술통계(기성세대, 범주형 변수) 326

[표 18] 기술통계(MZ세대, 연속형 변수) 327

[표 19] 기술통계(MZ세대, 범주형 변수) 327

제6장 제1절 335

[표 1] 측정변수의 조작적 정의 335

[표 2] 주요 변수 기술통계 337

[표 3]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338

[표 4] 다중회귀분석 결과(종속변수: 행복감) 339

제6장 제2절 347

[표 1] 지역균형발전 및 삶의 질 측정 항목 347

[표 2] 측정변수의 조작적 정의 350

[표 3] 비수도권과 수도권의 행복과 만족도 평균 점수 비교(t-test) 352

[표 4] 전반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비수도권와 수도권) 353

제6장 제3절 362

[표 1] 변수의 구성 362

[표 2] 기술통계 1(연속형 변수) 364

[표 3] 기술통계 2(명목형 변수) 365

[표 4] 주요 사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의 불평등도와 행복 간의 관계 분석 결과 368

[표 5] 사회서비스 종류에 따른 접근성의 불평등도와 행복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 개별 서비스 비중 372

[표 6] 사회서비스 종류에 따른 접근성의 불평등도와 행복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 전체 서비스 비중 373

[표 7] 사회서비스 종류에 따른 접근성의 불평등도와 행복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 개별 서비스 수 374

제7장 제1절 390

[표 1] 연구 가설 390

[표 2] 표본의 특성 391

[표 3] 종속변수: 한국인의 미래 인식 392

[표 4] 독립변수 393

[표 5] 회귀분석 결과: 미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N=5,321) 396

[표 6] 가설 검증 396

제7장 제2절 411

[표 1] 나의 미래에 대한 관심 집단 분류 411

[표 2] 분류 양호도 지표 411

[표 3] 주요 변수 문항 내용 412

[표 4] 주요 연속변수 기술통계량 413

[표 5]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관심 집단 분류 415

[표 6] 분류 양호도 지표 415

[표 7] 주요 변수 문항 내용 417

[표 8] 주요 연속변수 기술통계량 417

[표 9] 주요 변수 비교 420

제8장 제1절 432

Table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vaccination hesitancy 432

Table 2. The reasons for vaccine hesitancy(n=5,532) 433

Table 3. Psychological and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vaccination hesitancy 434

Table 4. Odds ratios(OR) and 95% credible intervals(CⅠ) based on multivariate binomial logit models of hesitancy to vaccination against COⅥD-19 437

제8장 제2절 456

Table 1. Characteristics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in South Korea 456

Table 2.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or the associations between a range of factors and the changes in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459

제8장 제3절 482

[표 1] 기초 특성 482

[표 2] 1인 가구 여부가 코로나19 방역 관련 행동에 미친 영향 483

[표 3] 1인 가구 여부가 코로나 이후 건강행동에 미친 영향 485

[표 4] 1인 가구 여부가 코로나 이후 건강변화에 미친 영향 486

[표 5] 1인 가구 여부가 코로나 이후 건강변화에 미친 영향 488

제8장 제4절 502

[표 1] 변수 구성 502

[표 2] 연구대상자의 특성 504

[표 3] 연구대상자의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 505

[표 4]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1) 초조함과 불안함 506

[표 5]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2) 걱정을 멈추거나 통제할 수 없음 508

[표 6]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3) 우울감 또는 절망감 510

[표 7]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4) 일을 하는 것에 대한 흥미나 재미가 거의 없음 512

[표 8]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5) 외로움 514

[표 9]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6) 한 가지 이상 증상 경험 516

[표 10] 연구대상자의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1) 한 가지 이상 증상 경험 518

[표 11] 연구대상자의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2) 증상별 경험 영향 요인 520

[표 12] 연구대상자의 정신건강 문제 증상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 - 종합 522

제8장 제5절 537

[표 1] 미충족 의료 경험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37

[표 2] 코로나19 감염증에 대한 두려움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39

[표 3] 성별에 따른 코로나19 감염증에 대한 두려움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41

[표 4] 연령에 따른 코로나19 감염증에 대한 두려움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42

[표 5] 코로나 방역정책에 대한 이해와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n=13,491) 543

[표 6] 코로나 방역정책에 대한 신뢰와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n=13,491) 544

[표 7] 코로나 방역정책에 대한 만족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n=13,491) 545

[표 8] 성별 층화(여성)에 따른 코로나 방역정책에 대한 인식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46

[표 9] 성별 층화(남성)에 따른 코로나 방역정책에 대한 인식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47

[표 10] 연령 층화(19~64세)에 따른 코로나 방역정책에 대한 인식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49

[표 11] 연령 층화(65세 이상)에 따른 코로나 방역정책에 대한 만족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50

[표 12] 코로나19 감염증의 대유행에 따른 미충족 의료 불평등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n=13,491) 551

[표 13] 코로나19 감염증의 대유행에 따른 미충족 의료 불평등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52

[표 14] 미충족 의료 관련 불평등 집중지수 분해결과 - 한국인의 행복조사 연구 2020 553

제1장 41

[그림 1-1] 한국인의 행복 조사 문항 구성 프레임 41

제2장 제1절 61

[그림 1] 전반적 행복감: 성/연령/지역별 61

[그림 2] 전반적 행복감: 기초생활수급 여부/가구형태/상용근로 여부/직장 내 차별 경험/개인소득 62

[그림 3] 전반적 행복감: 학력/건강상태/만성질환 여부/장애 여부 62

[그림 4]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 전체/성별/연령별/지역별 63

[그림 5]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 기초생활수급 여부/가구형태/상용근로 여부/직장 내 차별 경험/개인소득 64

[그림 6]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 학력/건강상태/만성질환 여부/장애 여부 64

[그림 7] 현재 자신의 사다리 위치: 전체/성별/연령별/지역별 65

[그림 8] 현재 자신의 사다리 위치: 기초생활수급 여부/가구형태/개인소득 66

[그림 9] 현재 자신의 사다리 위치: 학력/상용근로 여부/직장 내 차별/건강상태/만성질환 여부/장애 여부 66

[그림 10] 5년 전/후의 삶의 만족도: 전체/성별/연령별/지역별 67

[그림 11] 파라데이터에 따른 전반적 행복감 76

[그림 12] 파라데이터에 따른 전반적 행복감_세부 비율 77

[그림 13] 파라데이터에 따른 삶의 의미 78

[그림 14] 파라데이터에 따른 삶의 의미_세부 비율 79

[그림 15] 파라데이터에 따른 현재 자신의 사다리 위치 80

[그림 16] 파라데이터에 따른 현재 자신의 사다리 위치_세부 81

제2장 제2절 92

[그림 1]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일상재구성법 예시 92

[그림 2] 첫 번째 사건의 활동 정보별 긍정/부정 정서와 정서 비율 95

[그림 3] 첫 번째 사건을 같이 한 사람별 긍정/부정 정서와 정서 비율 96

[그림 4] 첫 번째 사건을 같이 한 사람(혼자 vs. 같이)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 차 98

제2장 제3절 120

[그림 1] 혼인 상태별 삶의 만족도 120

[그림 2] 주거 형태별 삶의 만족도 122

[그림 3] 월평균 소득별 삶의 만족도 125

[그림 4] 교육수준별 삶의 만족도 130

[그림 5] 경제활동상태별 삶의 만족도 132

제3장 제1절 150

[그림 1] 행복의 원천이 되는 삶의 측면들 150

[그림 2] 전반적 행복도에 대한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신뢰의 상호작용 효과 159

[그림 3] 삶의 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신뢰의 상호작용 효과 161

[그림 4] 긍정-부정 정서 경험에 대한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신뢰의 상호작용 효과 163

[그림 5] 20201년 세계 행복 순위와 그 기여요인들 165

제3장 제2절 182

[그림 1] 연구 모형 182

제3장 제3절 209

[그림 1] 유럽국가별 CCTⅤ 설치 찬성률과 10만명당 살인율 간의 산점도 209

[그림 2] 유럽국가별 CCTⅤ 설치 찬성률과 투명성지수 간의 산점도 210

[그림 3] 유럽국가별 E-Mail 모니터링 찬성률과 국제테러지수 간의 산점도 211

[그림 4] 한국 및 비유럽권 국가들의 CCTⅤ 설치 찬성률과 국가투명성지수 간의 관계 216

[그림 5] 한국 및 비유럽권 국가들의 E-Mail 모니터링 찬성률과 국가테러지수 간의 관계 217

제4장 제1절 232

[그림 1] 고용형태가 일에 대한 만족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모형1) 232

[그림 2] 근로시간이 일에 대한 만족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모형2) 232

[그림 3] 고용형태가 일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239

[그림 4] 근로시간이 일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241

제4장 제2절 259

[그림 1] 잠재집단별 일-여가 가치관 문항의 응답분포 259

제6장 제1절 336

[그림 1] 연구 모형 요약 336

제6장 제2절 351

[그림 1] 연구 모형 요약 351

제7장 제2절 406

[그림 1] 미래 관심에 대한 문항 406

[그림 2] 기계학습 알고리즘 중 랜덤 포레스트 모형 408

[그림 3] 오차 행렬 408

[그림 4] 설명변수 상대적 중요성 도표 412

[그림 5] 나의 미래 관심도 부분의존성 도표 413

[그림 6] 설명변수 상대적 중요성 도표 416

[그림 7] 대한민국 미래 관심도 부분의존성 도표 418

제8장 제2절 458

Figure 1. Bivariate relationships between (a) smoking status vs. drinking status and (b) smoking change vs. drinking change. 458

Figure 2. Probabilities of smoking changes for (a) age and (b) household income in restricted cubic spline function. 460

Figure 3. Probabilities of drinking changes for (a) age and (b) household income in restricted cubic spline function. 460

Figure 4. Probabilities of (a) smoking changes and (b) drinking changes by household income within employment statuses. 462

Supplementary Table 1.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or the associations between a rangeof factors and the changes in smoking... 468

Supplementary Table 2.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or the associations between a rangeof factors and the changes in smoking... 469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97109 152.42 -22-2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이용가능
B000039374 152.42 -22-2 [부산관] 의회자료실(2층)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