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1부
관계형성이론의 이해

1장 관계형성이론 개관
2장 관계형성이론 상담의 구조화
Ⅰ. 초기상담
1. 초기상담의 이해
2. 주요 치유적 활동 및 요소
1) 라포
2) 가계도
3) 과거탐색기법
Ⅱ. 중기상담
1. 중기상담의 이해
2. 주요 치유적 활동 및 요소
1) 아동기 감정양식
2) 마음의 틀
3) 마음의 병
4) 무의식적 가정
5) 미해결과제
6) 말속의 말 찾기
7) 질문하기
8) 직면
9) 둔감화
10) 자각
11) 통찰
12) 과제부여
Ⅲ. 종결기
1. 종결상담의 이해
2. 주요 치유적 활동 및 요소
1) 삶의 질 향상
2) 애도기간
Ⅳ. 관계형성이론 모형도
1. 관계형성이론 모형도
2. 관계형성이론의 상담 전ㆍ후 변화과정 모형

2부
관계형성이론 심리상담의 실제
1장 배려를 갈망하는 부부
Ⅰ. 사례소개
Ⅱ. 내담자의 기초정보
Ⅲ. 상담목표와 접근방법
Ⅳ. 상담과정
Ⅴ. 상담에 대한 평가
2장 마음의 병에 영향을 미친 대상표상
Ⅰ. 사례소개
Ⅱ. 내담자의 기초정보
Ⅲ. 상담목표와 접근방법
Ⅳ. 상담과정
Ⅴ. 상담에 대한 평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관계형성이론 심리상담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46970 158.3 -2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46971 158.3 -2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40173 158.3 -22-12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집안에 쌓인 마음의 먼지를 사회에 나와 털면
사회가 오염되고 마음의 병도 깊어진다!
우리 정서에 맞는 이론과 기법이 조화된 심리상담으로
내담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부정적인 반응을 없앤다!

상담학박사 임향빈의 관계형성이론과 사례로 배우는 심리상담

‘항상 긍정적ㆍ낙관적ㆍ미래지향적 사고를 갖자!’ 길을 가다 돌부리를 만나면 부정적인 사람은 걸림돌로 생각하고, 긍정적인 사람은 디딤돌로 생각한다. ‘때문에’보다는 ‘덕분에’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자. 이는 생각한 대로 그림이 완성되기 때문이다.
관계형성이론은 우리 정서와 실정에 맞는 심리상담이론으로서 상담을 배우고자 하는 후학이나 임상현장에 있는 상담사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상담사의 기법사용은 이론적 모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적용하는 근거가 있어야 하며, 적합한 사용에 관해 훈련을 받아야 한다. 즉, 이론적 배경이 없는 임상경험은 사상누각(砂上樓閣)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론적 지식과 기법은 임상지식에 목말라 하는 사람들에게 단비와 같이 갈증을 풀어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23] 서로의 신뢰 관계를 의미하는 라포는 상담의 초기부터 종결까지 전체과정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정서적인 것이기에 상담사가 따뜻하고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자연스럽고 편안한 능력을 갖추고 있을 때, 내담자를 더 빨리 이해하게 된다. 상담사 자신이 안정되어 있으며 내담자에게 관심을 보인다면, 내담자는 상담사에게 반응을 보이게 될 것이다. 라포가 형성되었다면 내담자는 자기 방식대로 상담사를 이해하게 되며, 상담사에게 자신의 마음을 숨기지 않고 상담사에 대한 내담자의 감정과 생각까지도 표현하게 된다. 상담과정에서 저항이 생겨도 서로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해결과제로 남지 않고 쉽게 해결되기도 한다.
- 2장 관계형성이론 상담의 구조화
[P. 106~107] 상담을 원하는 내담자는 마음의 병(심인성 질환)으로 인하여 삶의 질이 낮아져 있으며, 이를 해소하고자 상담의 문을 두드린다. 상담사는 초기상담에서 상담목표를 정하고 상담을 구조화하며, 내담자와 치료관계 및 동맹을 형성한다. 상담사는 지지, 격려, 공감기법 등을 활용하여 우호적 관계를 형성한 후 가계도와 과거탐색기법 등을 통하여 탐색과 분석을한다. 이를 통하여 상담사는 말속의 말을 찾아야 하며, 적절한 질문을 하여야 한다. 상담이 중기로 흘러가면서 내담자의 핵심감정에 직면과 둔감화를 시킨다. 내담자는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자각과 통찰이 일어나며, 현실을 직시하게 된다. 종결기에는 상담사의 조력으로 인하여 내담자는 자아기능이 강화되고 사고의 전환과 순기능적 수용적 태도를 갖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삶의 질이 향상되고 단기상담에서는 긍정적 변화와 중ㆍ장기상담에서는 치유가 나타난다.
- 2장 관계형성이론 상담의 구조화
[P. 140] 부부는 관계개선을 위하여 노력하는 모습이 보였으며, 재결합을 하고자 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따라서 상담을 통하여 건강한 가정으로 회복하도록 조력하고자 한다. 상담 후 과제를 내주었다. 상담에서 과제부여의 역할은 상담실 밖의 일상생활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 상담에 올 때까지 상담실 밖의 시간을 상담에 연결시켜 부부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이며, 상담의 연장선상으로 머물게 하기 위함이다.
- 1장 배려를 갈망하는 부부